[include(틀:미개통)] [[파일:서해남북평화도로.jpg]] [목차] == 개요 == [[영종국제도시]] - [[신시모도|신도]] - [[강화도]] - [[개성시]]/[[해주시]]를 잇는 총연장 80.44km의 도로로, 총사업비 2조 4,322억원 규모의 사업이다. [[남북통일]] 이후 [[인천국제공항]]과 북한 지역의 물류 연계를 위해 계획되었다. 현재 [[영종도|영종]] - [[신시모도|신도]]를 잇는 왕복 2차로, 길이 3.82km 규모의 1단계 구간이 추진 중이다. == 역사 및 진행 상황 == == 구성 == [[한화건설]] 컨소시엄과 [[대림건설]] 컨소시엄이 신도대교 건설 사업 수주를 위해 경쟁하다[[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2007161705496500743|#]], 최종적으로 한화건설 컨소시엄이 사업을 따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4&aid=0004550921&sid1=001|#]] === 1단계 === [[영종도|영종]] - [[신시모도|신도]]를 잇는 왕복 2차로, 길이 3.82km 규모의 구간이다. 이 구간의 사업은 2019년 1월 행정안전부의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에 포함되면서 사업이 본격화되었다. 이어 국가균형발전프로젝트 계획에 따라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대상사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개통은 2025년 예정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1&aid=0003704136|#]] [youtube(c79KtBIPqEo)] 2021년 2월 1일 착공식을 가졌다. 이 교량과 도로가 개통되면 현재 영종도 삼목선착장과 신도 선착장, [[장봉도]] 선착장을 잇는 삼목~신도~장봉 여객선 노선이 신도~장봉 구간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옹진군 공영버스#s-2.4|옹진군 동인천행, 신시모도 공영버스]]나 [[인천 버스 인천e음16|인천e음16번]]버스가 각각 북도면과 영종도로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 === 2단계 === [[신시모도|신도]] - [[강화도|강화]]를 잇는 길이 11.1km의 구간이다. 당초 영종 - 강화 연도교 사업은 2010년 5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기공식을 가진 바 있으나, 민자사업자를 구하지 못해 실제 착공이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인천시에서는 이 구간 역시 국토교통부 국가도로망 계획에 반영, 국가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1&aid=0003704136|#]] 이 연도교가 개통되면 [[강화대교]], [[초지대교]]에 이어 강화도 본섬과 타 지역을 연결하는 3번째 다리이자 [[교동대교]], 석모대교에 이어 강화도 본섬과 인근 섬을 연결하는 3번째 연도교가 된다. 아울러 인천 본토에서 강화로 들어오는 교통량이 분산됨에 따라[* 현재는 인천과 김포에서 오는 차들이 강화도 동쪽을 통해서만 진입할 수 있었으나 이 도로가 개통되면 강화도 남쪽을 통해서도 섬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문제는 해당 도로가 유료화가 되지 않는 이상 [[제3연륙교]] 건설 당시 있었던 [[영종대교]]/[[인천대교]] 손실보전금 문제에 부딪힐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만성 정체를 겪는 구간도 숨통이 트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인천광역시 중구와 강화도가 맞닿게 된다. 강화군은 행정구역상 인천광역시에 속하면서도 인천광역시로 통하는 길이 없어 생활권 측면에서는 김포시에 종속되어 있었는데, 이 도로가 개통하면 강화군과 인천광역시 본토를 김포시를 거치지 않고 통할 수 있게 되어 강화군과 인천광역시 본토 사이의 연계도 강화할 수 있다. === 차후 연장 === 통일 시 북한 지역의 물류 처리 수요를 대비해 개성, 해주까지 연장될 계획이 있다. [[분류:서해의 교량]][[분류:대한민국의 교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