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西]][[便]][[制]]}}} [목차] == [[판소리]]의 유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판소리, 앵커=서편제/강산제)] [[광주광역시]]를 비롯한 [[전라남도]] [[나주시]], [[보성군]], [[강진군]], [[해남군]] 등지에서 성행하였으며 특히 [[섬진강]] 서부에 위치한 지역들을 중심으로 행하였다고 하여 불러지게 되었다. '[[동편제]](東便制)'는 무겁고 매김새가 분명하다면 서편제는 애절하고 정한(情恨)이 많다는 대사가 나오기도 했는데[* 영화 서편제에서 유봉이 씨암탉 서리로 닭주인에게 매질을 맞아 건강악화로 죽기 전 송화 앞에서 했던 유언을 가리킨다.] 동편제는 무겁고도 강한 가락을 뜻하지만 서편제는 가볍고도 부드러운 가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동편제]]는 주로 [[섬진강]] 동부에 위치하여 [[경상도|영남]] 지방과 인접해 있는 [[전라남도]] 동부([[구례군]], [[곡성군]]), [[전라북도]] 남부([[남원시]], [[순창군]], [[고창군]]) 등지에서 성행한 판소리를 이야기한다. == [[이청준]]의 [[서편제(소설)|소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편제(소설))] == [[서편제(영화)|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편제(영화))] == [[서편제(뮤지컬)|뮤지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편제(뮤지컬))] [[분류:판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