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탄인덕원선의 동명의 역, rd1=서천역(동탄인덕원선), other2=경춘선의 한 때 역명이 서천역이었던 역, rd2=굴봉산역)] || '''{{{#ffffff {{{-1 폐역}}}}}}''' || [[판교역(장항선)|{{{#000000,#ffffff 판교}}}]] - --[[기동역|[ruby(기동, ruby=~2006)]]]-- - '''서천''' - --[[삼산역(장항선)|[ruby(삼산, ruby=~2006)]]]-- - --[[구절역|[ruby(구절, ruby=~불명)]]]-- - --[[장항화물역|[ruby(舊장항, ruby=~2021)]]]-- - --[[장항잔교역|[ruby(장항잔교, ruby=~1938)]]]-- || ||<-3> {{{+2 {{{#ffffff '''서천역'''}}}}}} || || [[용산역|{{{#!html
용산 방면}}}]][[웅천역|웅 천]][br]← 19.8 ㎞ || [[새마을호|{{{#!html
장항선
새마을호
}}}]] ||<|2> [[익산역|{{{#!html
익산 방면}}}]][[장항역|장 항]][br]4.8 ㎞ → || || [[용산역|{{{#!html
용산 방면}}}]][[판교역(장항선)|판 교]][br]← 8.6 ㎞ || [[무궁화호|{{{#!html
장항선
무궁화호
}}}]] || ||<-3>[include(틀:지도, 장소=서천역, 너비=100%, 높이=225px)]|| ||<-3> '''{{{#fff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eocheon || || [[한자]] ||<-2><|2> 舒川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舒川, ruby=ソチョン)] || ||<-3> '''{{{#ffffff 주소}}}''' || ||<-3>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역길 57 (화금리)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br]([[대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 ||<-3> '''{{{#ffffff 운영 기관}}}''' || || [[장항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ffffff 개업일}}}''' || || [[장항선]] ||<-2> 1930년 11월 1일 || || [[새마을호|{{{#ffffff 새마을호}}}]] ||<-2> 1991년 11월 25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1984년 1월 1일 || ||<-3> '''{{{#ffffff 철도거리표}}}''' || || [[천안역|{{{#!html
천안 방면}}}]][[판교역(장항선)|판 교]][br]← 8.6 ㎞ || '''[[장항선]]'''[br]서 천 || [[익산역|{{{#!html
익산 방면}}}]][[장항역|장 항]][br]4.8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천역.jpg|width=100%]]}}}|| || {{{#ffffff '''서천역 전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천역 구역사.jpg|width=100%]]}}}|| || {{{#ffffff '''(구) 서천역[* 2019년 3월에 서천군청 신청사 건축을 위해 철거되었다.]'''}}} || >'''1930년 개업, 한때 충남서천역으로 개명''' >1930년 10월 22일 경남철도주식회사(사설철도) 충남선 광천~장항간 연장개통과 함께 지명을 따 서천역이라 칭하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으나 1954년 12월 20일 서천역을 충남서천역으로 개정하게 되었고 1960년 7월 1일 경춘선 서천역을 경강역으로 변경하면서 충남서천역을 다시 서천역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이후 1978년 176㎡ 규모의 단층역사로 신축되어 30년간 지역 교통중심지로 역할을 다하였고 2008년 장항선 개량사업으로 현재 위치의 역사로 이전하면서 서해안 고속철도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천안역]] 기점 121.2km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역길 77 (화금리 702-2)에 위치해 있으며,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필수정차 하고 있다. == 위치 == 기존 역사는 서천읍 중심부[* 기존 역사의 주소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문로 38 (군사리 55-6)이다.]에 있었으나 장항선 직선화 공사를 하면서 [[서천읍]] 외곽으로 쫓겨났다.[* 구 역사는 [[서천군]]청 신청사가 들어설 예정이여서 2019년 3월에 철거되었다. 2009년 9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서천군맑은물사업소가 자리잡고 있었으나 현재는[[장항읍]] 장항터미널 옆으로 이전하였다.] 따라서 읍내까지의 거리가 1~2km 정도로 멀어져 접근성이 낮아졌지만 그렇게 크게 멀리 쫓겨난 것이 아니고 읍내로 가는 버스도 5~30분 간격으로 자주 운행하기에[* 첫차, 막차 시간대에 일시적으로 50~70분 간격으로 벌어짐] 이용에 큰 불편함은 없는 상황이다. 2023년 3월에 완공될 [[서천군청]] 신청사가 역에 매우 가깝게 지어지고, 군청 주위에도 상업 시설이 들어오면 이용객이 약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천시외버스터미널]]에 [[서울남부터미널|남서울행]] 직통 버스가 없던 시절엔 완행 시외버스가 [[부여시외버스터미널|부여]], [[공주시외버스터미널|공주]], [[천안시외버스터미널|천안]] 등을 경유[* 거기다가 이 터미널만 경유한 것도 아니다. 중간중간 읍·면 규모 단위 시외버스 정류소에도 정차하기 때문에 소요 시간이 오래걸리는 것이다.]하여서 근 5시간 가까이 걸리는 탓에 서울 가려면 그래도 기차밖에 길이 없었으나 서천터미널에서 남서울행 직통 버스가 1일 4회로 생긴 뒤로, 버스로 가도 소요시간이 2시간 20분으로 줄어든 데다, 장항선의 나쁜 특성인 굴곡진 선형과 여객열차의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 이용객은 더더욱 줄어들었다. 그래도 [[천안]], [[아산]] 등을 가기엔 아직 기차만한게 없기 때문에 불편을 감수할 수 밖에 없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새마을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5288F5; font-size: .9em" {{{#ffffff '''새마을호'''}}}}}}]]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 2004년 || 158명 || 727명 || 885명 || || || 2005년 || 192명 || 725명 || 917명 || || || 2006년 || 214명 || 666명 || 880명 || || || 2007년 || 309명 || 527명 || 836명 || || || 2008년 || 293명 || {{{#f55839 757명}}} || {{{#red 1,050명}}} || || || 2009년 || 277명 || 704명 || 981명 || || || 2010년 || 288명 || 664명 || 952명 || || || 2011년 || 312명 || 623명 || 935명 || || || 2012년 || 307명 || 628명 || 935명 || || || 2013년 || {{{#5288f5 320명}}} || 609명 || 929명 || || || 2014년 || 299명 || 623명 || 922명 || || || 2015년 || 251명 || 622명 || 873명 || || || 2016년 || 226명 || 591명 || 817명 || || || 2017년 || 229명 || 569명 || 798명 || || || 2018년 || 229명 || 543명 || 772명 || || || 2019년 || 228명 || 531명 || 759명 || || || 2020년 || 142명 || 318명 || 460명 || || || 2021년 || 157명 || 311명 || 468명 || || ||<-5> {{{#ffffff '''출처'''}}} || ||<-5>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승강장 == ||<-8> ↑ [[판교역(장항선)|판교]] || || ㅣ || {{{#ffffff 1}}} || {{{#ffffff 2}}} || ㅣ || ㅣ || {{{#ffffff 3}}} || {{{#ffffff 4}}} || ㅣ || ||<-8> ↓ [[장항역|장항]] || || {{{#ffffff 1·2}}} ||<|2> [[장항선]] ||<|2> [[새마을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5288F5; font-size: .9em" {{{#ffffff '''새마을호'''}}}}}}]]·[[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대천역|대천]]·[[천안역|천안]]·[[용산역|용산]] 방면 || || {{{#ffffff 3·4}}} ||[[장항역|장항]]·[[군산역|군산]]·[[익산역|익산]] 방면 || == 주요 역과의 소요 시간 == || 서천역 기준 주요 역과의 소요시간의 출처는 [[http://www.letskorail.com/|렛츠코레일]]입니다. || ||<-4> {{{#fff '''서천역 기준 주요 역과의 소요시간'''[br]2018년 2월 7일 기준}}} || || {{{#fff 역명}}} || {{{#fff 새마을호 기준 소요시간[br](평균 소요시간)}}} || {{{#fff 무궁화호 기준 소요시간[br](평균 소요시간)}}} || {{{#fff 비고}}} || || [[용산역|{{{#fff 용산}}}]] || 2시간 55분~3시간 10분[br](약 3시간) || 3시간 13~30분[br](약 3시간 30분) || || || [[수원역|{{{#fff 수원}}}]] || 2시간 24분~2시간 36분[br](약 2시간 30분) || 2시간 34분~2시간 57분[br](약 2시간 50분) || || || [[천안역|{{{#fff 천안}}}]] || 1시간 45분~1시간 53분[br](약 1시간 50분) || 1시간 56분~2시간 14분[br](약 2시간 10분) || || || [[천안아산역|{{{#fff 아산}}}]] || 1시간 39분~1시간 47분[br](약 1시간 40분) || 1시간 50분~2시간 7분[br](약 2시간) || || || [[익산역|{{{#fff 익산}}}]] || 32~33분 (약 30분) || 33~36분 (약 40분) || || ||<-4> {{{#fff '''소요시간은 열차 및 선로 사정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며, 특히 장항선을 운행하는 열차의 경우 단선 구간으로 인하여 열차 시간 지연을 많이 받을 수 있다.'''}}} || == 시간표 == === 상행 === |||||||| [[새마을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288f5; font-size: .9em" {{{#ffffff '''새마을호'''}}}}}}]]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6:01 || 무궁화 || 1552 || 용산 || || 06:31 || 새마을 || 1052 || 용산 || || 07:14 || 무궁화 || 1554 || 용산 || || 09:04 || 새마을 || 1054 || 용산 || || 09:34 || 무궁화 || 1556 || 용산 || || 10:19 || 새마을 || 1056 || 용산 || || 12:22 || 무궁화 || 1558 || 용산 || || 13:29 || 무궁화 || 1560 || 용산 || || 14:36 || 새마을 || 1058 || 용산 || || 15:48 || 무궁화 || 1562 || 용산 || || 17:30 || 무궁화 || 1564 || 용산 || || 18:46 || 무궁화 || 1566 || 용산 || || 19:35 || 새마을 || 1060 || 용산 || || 20:45 || 무궁화 || 1568 || 용산 || === 하행 === |||||||| [[새마을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288f5; font-size: .9em" {{{#ffffff '''새마을호'''}}}}}}]]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8:50 || 무궁화 || 1551 || 익산 || || 09:33 || 무궁화 || 1553 || 익산 || || 10:33 || 무궁화 || 1555 || 익산 || || 12:20 || 새마을 || 1051 || 익산 || || 13:43 || 무궁화 || 1557 || 익산 || || 15:23 || 새마을 || 1053 || 익산 || || 16:02 || 무궁화 || 1559 || 익산 || || 16:44 || 새마을 || 1055 || 익산 || || 17:46 || 무궁화 || 1561 || 익산 || || 18:21 || 새마을 || 1057 || 익산 || || 19:36 || 무궁화 || 1563 || 익산 || || 20:58 || 새마을 || 1059 || 익산 || || 21:32 || 무궁화 || 1565 || 익산 || || 23:57 || 무궁화 || 1567 || 익산 || == 연계 교통 == === [[서천군 농어촌버스]] === || 버스 시간표의 출처는 [[http://www.seocheon.go.kr/tour/sub06_01_04_02.do|서천군 문화관광 사이트]]이다. || 이 문단에서는 서천역을 경유하여 주요 행선지로만 가는 시간표를 적었으므로 보다 세부적인 경유지가 포함된 시간표가 필요한 경우 참고하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3> {{{#fff '''서천역 경유 서천·한산행 노선 시간표'''}}}[br]{{{#fff 2015년 12월 7일 기준}}} || || {{{#fff '''서천행'''[br](1일 38회 운행)}}} || {{{#fff '''시각'''}}} || {{{#fff '''한산행'''[br](1일 23회 운행)}}} || || 40 || {{{#fff 06시}}} || 50 || || 30 55 || {{{#fff 07시}}} || 00 50 || || 30 || {{{#fff 08시}}} || 20 45 || || 10 20 30 30 50 || {{{#fff 09시}}} || 15 45 || || 10 30 || {{{#fff 10시}}} || 15 50 || || 00 40 50 || {{{#fff 11시}}} || 15 45 || || 10 20 30 55 || {{{#fff 12시}}} || 35 || || 20 40 || {{{#fff 13시}}} || 10 || || 20 30 || {{{#fff 14시}}} || 15 || || 50 || {{{#fff 15시}}} || 15 45 || || 10 30 || {{{#fff 16시}}} || 15 50 || || 20 40 50 || {{{#fff 17시}}} || 15 50 || || 00 20 30 || {{{#fff 18시}}} || 15 || || 00 40 50 || {{{#fff 19시}}} || 15 50 || || 10 20 30 || {{{#fff 20시}}} || || || 05 || {{{#fff 21시}}} || 05 || ||<-5> {{{#fff '''서천역 경유 화양·동백정·문산·이사리행 노선 시간표'''}}}[br]{{{#fff 2015년 12월 7일 기준}}} || ||<-5> {{{#fff '''문산행'''[br](1일 10회 운행)}}} || || 08:00 || 09:35 || 11:25 || 12:25 || 13:25 || || 15:25 || 16:25 || 17:25 || 18:25 || 19:25 || ||<-5> {{{#fff '''동백정행'''[br](1일 10회 운행)}}} || || 09:50 || 10:50 || 11:50 || 13:20 || 14:20 || || 15:20 || 16:20 || 18:20 || 19:50 || 20:50 || ||<-5> {{{#fff '''화양행'''[br](1일 8회 운행)}}} || || 08:00 || 09:00 || 11:00 || 13:00 || 15:00 || || 17:00 || 19:00 || 21:10 || || || ||<-5> {{{#fff '''이사리행'''[br](1일 5회 운행)}}} || || 09:30 || 11:30 || 14:30 || 16:30 || 19:40 || === 택시 === 본래는 서천역 폴사인 옆으로 택시승강장이 있었으나 2021년 주차장 확대공사를 위해 역 바로 앞으로 이전했다. == 여담 ==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있는 역이기도 하다. * 장항선을 경유하는 모든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정차하지만 [[서해금빛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장항선의 역 목록)]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장항선의 철도역]][[분류:193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서천군의 철도역]][[분류:장항선 새마을호]][[분류:장항선 무궁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