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고속도로)]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Expressway_kor_151.svg|width=50]]||{{{#ffffff {{{+1 '''서천공주고속도로'''}}}[br] 舒川公州高速道路[br] Seocheon - Gongju Expressway}}}||}}}||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external/ex.co.kr/img_151.jpg|width=100%]]}}} || ||<-2> '''{{{#fff 노선 번호}}}''' || ||<-2> '''151번''' || ||<-2> '''{{{#fff 기점}}}''' || ||<-2>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 ||<-2> '''{{{#fff 종점}}}''' || ||<-2>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 ||<-2> '''{{{#fff 연장}}}''' || ||<-2> 61.4km || ||<-2> '''{{{#fff 개통일}}}''' || || 2009. 5. 28. || [[동서천IC]] - [[서공주JC]] || ||<-2> '''{{{#fff 관리}}}''' || ||<-2> [[한국도로공사|[[파일:한국도로공사 CI.svg|width=200]]]] || ||<-2> '''{{{#fff 왕복 차로 수}}}''' || || [[왕복 2차로 고속도로|2차로]] || [[동서천IC]] - [[동서천JC]] || || [[왕복 4차로 고속도로|4차로]] || [[동서천JC]] - [[서공주JC]] || ||<-2> '''{{{#ffffff 구조}}}''' || ||<-2> [[나들목]] 5개소[* 동서천IC, 서부여IC, 부여IC, 청양IC, 서공주IC][* 북서천하이패스IC가 계획 중에 있다.][br][[분기점]] 3개소[* 동서천분기점([[서해안고속도로]]), [[부여JC|부여분기점]]([[익산평택고속도로]]), 서공주분기점([[서산영덕고속도로|서산영덕고속도로(당진-대전)]])][br][[터널]] 5개소[* 서천터널, 가덕터널, 부여2터널, 부여1터널, 앵봉터널][* 최장터널: '''앵봉터널[* 오르막을 낀 사고 다발구간이다.]'''(양방향 760m)][br][[고속도로 휴게소|휴게소]] 2개소[* 공주방면 1개소, 서천방면 1개소(부여백제휴게소)] || ||<-2> '''{{{#fff 주요 경유지}}}''' || ||<-2> [[서천군|서천]] ↔ [[부여군|부여]] ↔ [[공주시|공주]] || [목차] [clearfix] == 개요 == [[충청남도]] [[서천군]]과 [[공주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의 지선이다. 노선번호는 151번. 제한속도는 [[서공주JC|서공주 분기점]] - 서천터널까지 최고 110km/h, 최저 50km/h이다. [[목포시|목포]], [[군산시|군산]] 등의 '''[[전라도]] 서해안''' 또는 [[진도군|진도]], [[완도군|완도]] 등 '''남해안 서부''' 지역에서 [[서울특별시|서울]],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동남부, [[충청남도]] [[천안시]] 지역으로 갈 때 중간 연결을 해 주는 고속도로다. 다만 [[서울특별시|서울]] 서부([[구로구]], [[양천구]], [[마포구]], [[은평구]], [[영등포구]], [[금천구]], [[관악구]] 서부, [[동작구]] 서부)이나 [[인천광역시|인천]], [[광명시|광명]], [[부천시|부천]], [[안산시|안산]] 등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서부로 갈 때는 어차피 기존의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서해대교]]를 건너가야 하기 때문에 여기를 탈 일이 없어 도착지가 수도권 어디냐에 따라 이용 여부가 나뉜다.[* 대략적으로 [[안양시]] [[동안구]], [[과천시]], 사당 일대가 목적지일 때 두 도로의 이동 거리가 비슷하다. 서천공주고속도로 - [[논산천안고속도로]] 경로는 [[남풍세IC|남풍세 나들목]]에서 국도로 진출한 뒤, 평택화성고속도로-봉담과천로 경로 또는 [[천안JC|천안 분기점]] - [[신갈JC|신갈 분기점]] - [[북수원IC|북수원 나들목]] - 봉담과천로로 진입하고, 과천/사당은 정체만 감수할 수 있다면 [[경부고속도로]]를 쭉 타고 [[양재IC|양재 나들목]]이나 [[서초IC|서초 나들목]]에서 진출하여도 된다. [[서해안고속도로]] 경로는 [[조남JC|조남 분기점]] - [[평촌IC|평촌 나들목]]/[[학의JC|학의 분기점]]으로 연결된다.] 후술하지만 과거에는 교통량이 거의 없는 수준으로 유명한 고속도로였으나, 2023년을 기준으로는 예년에 비해 교통량이 상당히 증가한 편이다. == 역사 == [[1997년]]에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1997년 외환 위기|IMF]]로 계획이 약간 지체된 후, 2001년에 착공되어 [[2009년]] [[5월]] [[서산영덕고속도로]] 2단계인 [[당진JC|당진 분기점]] - [[유성JC|유성 분기점]] 구간과 함께 개통되었다.[* 다만 개통식이 [[노무현]] 전 대통령 장례 기간과 겹치면서 행사 규모를 많이 줄였다.] == 구간 == [include(틀:서천공주고속도로의 구간)] ||<-2> '''소재지''' || '''번호''' || '''이름''' || '''접속[br]노선''' || '''비고''' || ||<|12> [[충청남도|충남]] ||<|4> [[서천군]] || 1 || [[동서천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9)]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TG}}} || [[동서천TG|'''동서천''']] || || || || 2 || [[동서천JC]] || [[서해안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5.svg|height=25]]]] || || || || ~~{{{#aaa 북서천IC}}}~~[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5C5F5; font-size: .8em;" {{{#fafafa 하이패스}}}}}} || || 계획중[*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688793|북서천 IC 명칭, 주민 의견 반영키로]], 국제뉴스, 2023-04-04] || ||<|4> [[부여군]] || 3 || [[서부여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4)]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FAC 80%, #E60012 0%, #E60012 89%, #111E90 0%, #111E90 100%)" SA}}} || [[부여백제휴게소|부여백제]] || || 양방향 || || || ~~[[부여JC|{{{#aaa 부여JC}}}]]~~ || ~~[[익산평택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7.svg|height=25]]]]~~ || 공사중 || || 4 || [[부여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9)] || || ||<|2> [[청양군]] || 5 || [[청양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9)]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FAC 80%, #E60012 0%, #E60012 89%, #111E90 0%, #111E90 100%)" SA}}} || [[청양휴게소|청양]] || || 양방향 || ||<|2> [[공주시]] || 6 || [[서공주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6)] || || || 7 || [[서공주JC]] || [[서산영덕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30.svg|height=25]]]] || || == 특징 == [[충청남도|충남]]의 서남쪽 끝을 동부와 연결해 주는 도로로, 같은 도임에도 불구하고 교통이 매우 불편했던 충남의 동부, 중부, 서부를 단번에 연결해 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 [[대전광역시]]까지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이 약간 흠이지만, 사실 대전 유성에서 공주까지 국도가 워낙 잘 뚫린지라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서공주JC|서공주 분기점]]에서 [[서산영덕고속도로|당진대전고속도로]]를 이용해서 [[유성JC|유성]]까지 가는 방법도 있다. 개통 초창기때만 하더라도 [[공주시]], [[부여군]]과 [[서천군]] 일대가 인구밀집지역이거나 산업단지가 있는 지역이 아니다 보니 평상시에는 교통량이 매우 적은 노선 중 하나였다. 같은 시기에 개통한 [[서산영덕고속도로|당진대전고속도로]]는 개통 초창기에나 한산했지 지금은 이용량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과 비교된다. 특히 [[경부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 혹은 [[서해안고속도로]] 정체가 심각한 주말 및 공휴일에는 지도상으로 [[서산영덕고속도로|당진대전고속도로]] 우회하라고 안내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교통량은 적지 않지만, 그래도 정체 구간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2023년 기준으로는 과거에 비해 교통량이 크게 증가하여 명절 한정으로 양 끝 분기점 부근에서는 [[서해안고속도로]]와 [[논산천안고속도로]]와의 심각한 정체와 맞물려 같이 막히는 현상도 보이고 있으며, 실제로 2017년 설 연휴에 교통정보에서 이 부근은 '''정체'''로 표시되었다. 2023년 현재는 당시보다 교통량이 더 늘어서 명절 및 공휴일의 경우, 공주, 서천 이남 구간에서는 정체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안 그래도 교통량 많기로 악명 높았었던 [[논산천안고속도로]]의 교통량 증가에 기여한 점도 무시할 수 없는데, [[서해대교]]가 워낙 [[헬게이트]]니 '''서천 이남에서 출발하는 차량들이 [[정안IC|정안 나들목]] 인근에서 까먹는 시간을 감수하고도 논산천안선을 타고가니''' 병목현상을 만들어 버렸다. 실제로 정체상황을 보면 공주 - 논산 구간은 잘 안 밀리지만[* 물론 밀리지 않는다는 의미지, 교통량 자체는 적지 않은 편이다.] 공주 - 천안 구간, 특히 정안 - 천안 구간은 차령터널까지 더해져 매일 수시로 헬게이트가 열린다. 또한 [[대전광역시|대전]]에서 [[충청남도|충남]] 서남부, 전라도 서해안 지역으로 갈 때, 거리 및 시간 단축에 큰 효과를 주었으며, [[호남고속도로]]와 [[서해안고속도로]]의 교통량을 상당 부분 분산하는 효과도 가져다 주고 있다. 특히 [[인천광역시|인천]]과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남서부를 제외한[* 이쪽은 [[서해안고속도로]]를 관통한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 [[전라도]] 서해안 지역(목포, 군산 등) 및 전남 서부 도서지역으로 이동할 때 걸리는 시간 및 거리 단축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수도권에서 출발할 경우, 과거 이 고속도로가 개통하기 전 까지는 수도권에서 전라도 서해안 권역으로 이동할 때는 '''오로지 [[서해안고속도로]]만 이용했던 탓에''' 정체가 더 심각했으나, 이 고속도로가 개통한 이후 서해안고속도로의 경우 평일에는 서울-당진 구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간 교통량이 많이 감소했다.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2023년 기준으로 과거 개통 초창기와 비교하면 교통량이 꽤나 증가한 것은 사실이며, 그로 인한 효과 또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고속도로이다. 2023년 현재 [[고속버스]] [[고속버스 서울호남-군산|서울호남 ↔️ 군산]], [[부안시외버스터미널|부안]], [[영광종합터미널|영광]], [[해남종합버스터미널|해남]], [[진도공용터미널|진도]], [[완도공용버스터미널|완도]], [[시외버스 서울남부-암태|서울남부 ↔️ 암태]] 노선의 주 통로다. 그 동안 [[서울특별시|서울]] - [[전라남도|전남]] 서부권은 [[경부고속도로]] - [[논산천안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 [[고창담양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를 이용하거나, [[경부고속도로]] - [[논산천안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를 타다가 [[정읍IC|정읍 나들목]]에서 국도로 진출하여 [[22번 국도]]를 타고 가다가 [[선운산IC|선운산 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로 진입하여서 목적지까지 갔는데[* 주로 [[금호고속]] 단독의 노선이 이 루트를 이용했다.][* [[고속버스]] [[고속버스 서울호남-해남|서울호남 ↔️ 해남]], [[고속버스 서울호남-완도|완도]] 노선은 [[호남고속도로]]타고 광주에서 [[13번 국도]] 루트로 이용했다.] 서천공주고속도로가 개통함으로써 [[호남고속도로]] 이남 코스 대신 [[공주JC|공주]]에서 서천공주선으로 진입해 [[서해안고속도로|서해안선]]으로 이용한다.[* [[탄천휴게소]]와 [[이인휴게소]]는 [[공주JC|공주 분기점]]에서 한참 남쪽에 있다. 그래서 서천공주선으로 빠지는 고속버스 노선들은 [[정안알밤휴게소]]에 정차할 수밖에 없다.] 덕분에 [[센트럴시티|서울]]에서 [[군산고속버스터미널|군산]]까지 평균 2시간 30분, [[목포종합버스터미널|목포]]까지 [[금호고속]]의 105 - 110km/h 정속으로 평균 3시간 50분 ~ 4시간만에 도착하게 된다. 대부분 구간이 [[왕복 4차로 고속도로|왕복 4차로]]지만, [[동서천IC|동서천 나들목]] - [[동서천JC|동서천 분기점]] 구간은 [[왕복 2차로 고속도로|왕복 2차로]]이다. == 주행 영상 == || [youtube(9Bu4nKDvEnw)] || || 공주 방향 주행 영상 || || [youtube(0XCGJgJnXdk)] || || 서천 방향 주행 영상 || [[분류:서천공주고속도로]][[분류:나무위키 도로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