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1 서정희}}}[br]徐廷禧'''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external/rokps.or.kr/11.jpg|width=100%]]}}} || ||<|2> '''출생''' ||[[1876년]][* 대구서씨세보 1권에는 1877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10월 10일]] || ||[[한성부]] 서부 || ||<|2> '''사망''' ||[[1959년]]{{{-1 (추정)}}} (향년 82세?) || ||[[북한]] || || '''학력''' ||관립영어학교 {{{-2 (졸업)}}}|| || '''최종 당적''' ||[include(틀:민주국민당)]||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본관은 [[달성 서씨|대구]](大丘)[* 만사공(晩沙公) 경우(景雨)파. 대구 서씨 26세 '''정(廷)''' 재(載) 항렬.[[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8181|#]]], 자는 성전(聖傳), 호는 농천(農泉) 또는 묵재(默齋)이다. 6선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인 [[서범석(1902)|서범석]]이 그의 장남이다. == 생애 == 1876년([[고종(대한제국)|고종]] 13) 10월 10일 [[한성부]] 서부(현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봉래동]]·만리동)[* [[경기도]] [[포천시]]는 원적지로 보이며, 해방 전 포천군으로 이주했다는 기록이 있다.[[http://db.history.go.kr/id/im_107_00243|#]]]에서 선전관(宣傳官)을 지낸 아버지 서병갑(徐丙甲)[* 초명은 서광정(徐光正)이며, 1885년(고종 22) 부사과(副司果, 종6품)로 재직 중에 서병규(徐丙圭, 徐丙奎)로 개명했다.[[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2_05A_25A_00300_2003_112_XML|#]] 족보명은 서병진(徐丙眞), 무보(武譜)에는 서광진(徐光眞)으로 등재되어 있다.]과 어머니 [[경주 이씨]][*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79_035940|이규일]](李圭一)의 딸이다.] 사이의 3형제 중 차남으로 [[http://db.history.go.kr/id/ia_2573_1988|태어]][[http://db.history.go.kr/id/ma_016_0340_0611|났다]]. 이후 1907년을 전후해 한성부 중서 정선방 농포계 농포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권농동)에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016&evntId=0034970379&evntdowngbn=Y&indpnId=0000002840&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거주했으며]], 1933년에는 [[경기도]] [[경성부]] [[관철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철동)에 [[https://db.history.go.kr/id/ma_016_0340_0611|거주했다]]. 그는 [[숙종(조선)|숙종]] 때 [[영의정]]을 지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7744|서문중]](徐文重)의 9대손으로, 증조부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UB_6JOc_9999_000515|서병순]](徐秉淳)은 서문중의 6대 종손으로 선산도호부사(종3품)를 지냈다. 아버지 서병갑은 1874년(고종 11) 정시(庭試) [[무과]]에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874_423302|급제하여]] 1876년 무신겸선전관(武臣兼宣傳官)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13_08A_09A_00360_2004_064_XML|제수되었던]] 무관이었다. 어려서 한문을 수학하다가 1894년 관립영어학교에 입학하여 졸업하였으며, 1896년 [[독립협회]]에서 활동하였다. 1897년(고종 34) 10월 10일 무안우체사(務安郵遞司) 주사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4_10A_10A_00110_2004_174_XML|임용되었고]], 1900년 8월 17일 [[광주광역시|광주]]우체사 주사로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7_08A_17A_00050_2005_185_XML|전보되었다가]] 1904년 7월 17일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1_07A_17A_00090_2006_200_XML|해임되었다]]. 1905년에는 모종의 이유로 징계를 기다리다가 4월 9일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2_04A_09A_00060_2006_203_XML|사면되었다]]. 1906년 1월 [[나철]] 등과 [[한일의정서]]에 반대, 대한신민회(大韓新民會)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이완용]]을 비롯한 [[을사오적]]의 암살을 계획하였다. 1907년 2월 권중현 암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었고, 그해 7월 3일 평리원에서 소위 모살 혐의로 유배형 5년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016&evntId=0034970379&evntdowngbn=Y&indpnId=0000002840&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http://db.history.go.kr/id/gj_006_c11_070_060_030|받고]] [[전라남도]] [[나주시|나주군]] 지도(智島)[* 현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에 [[http://db.history.go.kr/id/ma_016_0040_0030|유배되었다]]. 이후 1908년 2월 23일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A_A02_02A_23A_00060_2015_002_XML|면직되어 징계를 받았고]], 얼마 뒤 탈주해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주군]] 부동방 금계리(현 [[광주광역시]] [[동구(광주)|동구]] 금동)에 정착했다. 이곳에 본적을 둔 그는 대한협회 광주지회를 조직해 활동했다. [[경술국치]] 후 1913년 사립 광주법학강습소를 창립하여 [[법학]] [[교수]]를 지냈다. 1915년 독립운동에 뜻을 품고 [[만주]]로 건너갔다가 1918년 귀국하였다.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6월 16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소위 출판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징역 2년형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402&evntId=0034991434&evntdowngbn=Y&indpnId=0000022481&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았다]]. 그는 이에 공소하여 9월 15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출판법 위반 혐의에 대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682&evntId=0034984674&evntdowngbn=Y&indpnId=0000016174&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원심 판결이 취소되었으나]], 형기는 그대로 유지되어 상고하였다. 그러나 10월 30일 고등법원에서 같은 혐의에 대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838&evntId=0034979680&evntdowngbn=Y&indpnId=0000011505&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상고가 기각되었고]], 총 3년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광주노동공제회 위원장, 전라노농연맹 위원장, 1924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6623&docId=3548554&categoryId=46623|남선노농동맹]] 위원장, 광주 소작인연합회 집행위원장, 경성 조선노농총동맹 총무부 집행위원장, 조선교육협회 평의원, [[신간회]] 조직부장 등을 지냈다. 1925년 [[조선공산당]]에 입당했다가 '제1차 조선공산당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된 바 있으며, 1933년 9월 15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825&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09276&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선고받았다]]. 이후 10월 30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형으로 감형되어 당일 대구형무소에 투옥되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서정희(제헌 국회의원).jpg|width=500px]]}}} || || 1934년 3월 15일, 대구감옥에서 촬영된 사진. || 이듬해인 1934년 10월 30일 특별사면으로 출옥하였다. 출옥한 뒤에는 은거하다가 [[8.15 광복]]을 맞았다. [[8.15 광복]] 후 우익 정치인이 되어 [[한국민주당]] 중앙감찰위원, [[신탁통치]] 반대 전국대회 집행위원장, 반탁독립투쟁위원회 지도위원,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본부 중앙상무집행위원 등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포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윤성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6.25 전쟁]] 직후 7월에 [[납북]]되었다. 이후 재북평화통일협의회(在北平和統一協議會) 중앙위원을 역임하다가 1958년 숙청·감금된 것으로 알려졌다. == [[제헌 국회]] 활동 == 1948년 6월 2일 제1회 3차 본회의 당시 [[라디오]]나 신문지를 통해 국회의 성명서를 북한에게 전달하자 제안하였고 국회기초위원 15인에 뽑혔다.[* [[장기영(1903)|장기영]],[[전진한]],[[최윤동]],[[이원홍(1903)|이원홍]],[[김약수]],[[김장열]],[[정광호(1897)|정광호]],[[김봉두]],[[배헌]],[[김명동]],[[성낙서]],정구삼,[[이유선(정치인)|이유선]],[[서정희(정치인)|서정희]],[[윤치영]]. ] 1948년 8월 4일 제1회 39차 본회의 국회 의장 선거때 3표를 받으며 떨어졌다. 1948년 8월 5일 제1회 40차 국회 본회의 당시 반민처벌법 기초위원으로 뽑혔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 [[포천시|포천군]]) || [include(틀:한국민주당)] || '''8,270표 (31.70%)''' || '''당선 (1위)''' || '''초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포천군) || [include(틀:민주국민당)] || 2,080표 (8.94%) || 낙선 (4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정희, version=24)]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876년 출생]][[분류:몰년 미상]][[분류:중구(서울) 출신 인물]][[분류:대구 서씨]][[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한국민주당 국회의원]][[분류:납북자]][[분류:실종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