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080, other1=080 번호로 시작하는 무료전화번호, rd1=수신자 부담 전화, paragraph1=3, anchor1=무료 전화번호)]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리그 오브 레전드/용어/은어, top2=마이충)] [목차] == 개요 == [[서유리]]의 [[서유리/논란 및 사건 사고#s-3|0/8/0 마스터 이 사건]]에서 SNS 징징글의 논란 관련 문제점들이 희석되고 스코어 자체의 상징성만이 남아 순수한 'KDA 카운팅 개념'의 의미로 남게 된 것을 지칭한다. 1차적으로 3/5/0이 [[베인충]]의 상징적인 단어가 되었듯 0/8/0이 [[마이충]]의 상징적인 단어가 된 것이 먼저다. 그 다음으로는 킬 관여 없이 8데스만 적립한 것 그 자체가 가지는 스코어 기록으로서의 의미가 확정되어 비하의 의미가 희석된 채 한국 롤판에 자리 잡게 되었다. == 상세 == 킬도 어시도 없는 0/8/0은 실제 게임 내에서 굉장히 나오기 힘든 스코어이고, 특히나 유래가 된 사례가 미드 [[마스터 이|마이]]였다 보니 어시스트 하나는 먹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유저들 사이에 여러 가지 재평가가 일어났다. 메인 이슈는 대체로 두 가지로 분화되었는데, 첫 번째는 과연 이 점수가 진짜로 프로씬에서 나올 일이 있을까 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그것에 비하적인 요소가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2017년 들어 이 두 가지의 메인 이슈는 전부 해결되었다. 첫 번째는 아래에 언급하게 될 경우들 때문에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상황이 되어 재론의 여지가 없어졌고, 두 번째는 당장 2013년 안에서 비하적 요소가 완전히 희석되면서 역시나 재론의 여지가 없어졌다. 두 번째 이슈에 대한 이야기를 간략하게 정리해서 설명하자면, 해당 스코어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이 가벼워지며 [[http://i.imgur.com/1nPOAyP.png|누적 데스 패러디글]]과 같은 여러 가지 바리에이션들이 나왔고, 점수 그 자체에 집중하게 되면서 '''서유리에 대한 비하 의미가 빠른 속도로 사라졌다'''는 말로 결론 내릴 수 있다. 실제로 서유리 본인도 이 스코어에 대해 해탈의 경지에 이른 듯, 2014년 1월 18일 [[NLB]] 윈터 결승전을 앞둔 용드컵 이벤트 매치 때 "[[반어법|마스터 이 장인]] 서유립니다" 라고 자기소개를 하는가 하면, 2017년 3월 10일에는 아예 본인이 직접 "엥 이거 완전 서유리 스코어 아니냐" 하고 직접 거론할 정도로 웃어 넘어갈 수 있는 과거의 일로 마무리되었다. 이후로는 프로씬의 경기에서 데스가 누적될 때마다 '하프 서유리 스코어', '쿼터 서유리 스코어' 하는 식으로 서유리를 비하하는 요소가 완전히 사라진 채 그저 놀리는 밈으로만 살아남았다. == 실제 프로씬에서의 사례 == LCK 소속 팀과 관련되어 서유리 스코어가 나온 것은 총 4회이다. 첫 번째는 2017년 10월 6일에 있었던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시즌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B조#s-2.2.4|월드 챔피언십 2017 그룹 스테이지 B조 4경기]]에서 [[Longzhu Gaming|롱주]] 상대로 [[GAM Esports|GAM]]이 3단 스왑 날빌을 시전했다가 대실패해서 [[모데카이저/9.12 업데이트 전|모데카이저]]가 0/8/0을 기록한 것. 해당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중계진들도 이 스코어를 거론하며 매우 안타까워했고, 당시 실시간 라이브 채팅에서도 1유리 스코어라며 애도의 물결이 한참 동안이나 몰아쳤을 정도였다. 두 번째는 2020년 7월 30일에 있었던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7주차#s-3.1|2020 LCK 서머 60경기 1세트]]에서 [[정지훈(2001)|쵸비]]가 미드 [[카밀]]로 기록한 것이다.[* 이 경기의 임팩트 덕에 서유리 스코어가 한동안 '쵸비 챌린지'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세 번째는 두 번째 경기로부터 채 한달이 지나지 않은 2020년 8월 22일에 있었던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10주차#s-6.1|2020 LCK 서머 87경기 1세트]]에서 [[진성준(프로게이머)|미스틱]]이 원딜 [[애쉬(리그 오브 레전드)|애쉬]]로 기록한 것이다. 그 결과 2020년 서머 시즌은 '''한 시즌만에 킬/어시 포인트 없는 최다 데스 LCK 신기록이 2번'''[* 참고로 킬 포인트가 없는 LCK 최다 데스 기록은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s-3.2|2015 롤챔스 서머 결승전 2세트]]에서 [[노동현|애로우]]의 애쉬가 기록한 0/9/1이다. 일명 ASH-091. 품번 번호 드립의 시초가 된(...) 경기.] 나오는 역사적인 시즌이 되고 말았다. 네 번째는 2022년 3월 13일에 있었던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8주차#s-11.2|2022 LCK 스프링 79경기 2세트]]에서 [[Fredit BRION]] 소속 [[임성민(프로게이머)|소보로]]가 탑 [[그레이브즈]]로 기록한 것이다. 이 선수는 모든 1군 선수들이 [[코로나19]] [[자가격리]]로 인해 경기에 나설 수 없어 2군 선수들과 함께 긴급 콜업되었는데, 하필이면 당시 상대가 그 시즌 [[전승 우승]]을 기록한 T1이라 결국 이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말았다. 경기 다음 날에는 코로나19에 확진되었다는 불운까지 겹쳐지며 팬들이 매우 안타까워 했다. == 기타 == * 서유리 스코어는 아니지만 아예 데스만 누적하는 끔찍한 경기력으로 회자되는 경우도 있다. 가령 2017년의 [[엄성현|엄티]] 같은 경우 경기를 저렇게 던질 수 있나 싶을 정도로 [[리 신]]으로 경기를 던지며 0/7/0의 처참한 스코어로 아쉽게 서유리 스코어를 달성하지 못했는데[* 워낙 처참한 커리어를 찍은 기간이어서, 선수를 [[자살]]시킬 기세로 비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갤러리|롤갤]]에서도 경기력을 욕하는 것보다 "차라리 엄티가 한 번 더 죽어서 서유리 스코어로 전설을 남겼어야 했다"는 식의 [[개드립]]을 했을 정도였다.], 이 때문에 '[[유사]] 서유리'라 불리기도 했다. 또한 [[김혁규|데프트]]같은 선수도 2019년에서는 DRX시절에 칼리스타로, 최근 2021년의 한화-T1전에서 이즈리얼로 0/7/0을 기록한 적도 있다. * 덧붙여 이 스코어의 정반대인 8/0/8의 경우 [[여명808]]에 빗대 숙취 해소 스코어 또는 해장 스코어라고 불린다. 공식 경기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나오지 않아 거의 잊혀진 표현이 되었다가 [[2021 LoL Champions Korea Spring/2주차#s-7.2|2021 LCK 스프링 16경기 2세트]]에서 [[김동범(프로게이머)|크로코]]의 [[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올라프]]가 정확하게 8/0/8을 달성하고 POG를 따내며 '술이 확 깨는 스코어'라는 말을 들으며 되살아났다. *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플레이오프#s-4.1.3.2|2022년 LCK 서머 PO 2R GEN vs LSB 2세트]]에서 기어이 서유리 스코어를 뛰어넘는 '''0/9/0'''이라는 신기록이 나오고 말았다. 그 대상은 바로 도브. 레넥톤을 쥐고도 초반부터 젠지의 끊임없는 탑 다이브에 완전히 무너지며 소위 유통기한이 너무 빨리 와버렸고, 그와중에도 잘 큰 오른과 CS를 맞춰가고 한타에서 상대 제리를 마크하는 등 최선을 다했으나 결국 딜도 탱도 아무것도 못하고 멸망했다.[* 사실 마지막에 우물에서 머물렀으면 0/8/0이긴 했지만, 마지막까지 어떻게 상대를 막으려다 데스를 당하며 0/9/0이 나오게 된 것.] == 관련 문서 == * [[김영태식 와드]][* 한국에서만 통하는 특정 스트리머 관련 개념이라는 것과, 원래 있었던 비하적 의미가 사라지고 그 자체로서 [[인터넷 밈]]이 된 개념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윌리엄 리|Scarra Ward]]라고 부르는데, 여기서도 비하적 의미는 진작에 사라졌다.] * [[케네디 스코어]][* 한국에서만 통하는 특정 점수의 개념이라는 것과, 이름이 인용된 인물과의 연관관계가 사실상 없어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케네디 스코어는 실제 케네디가 발언한 적 없는 거짓 정보이고, 서유리 스코어는 서유리가 실제로 기록한 점수라는 차이점이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유리/논란 및 사건 사고, version=24)]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은어]][[분류:리그 오브 레전드/밈]][[분류:서유리]][[분류:마스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