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울특별시)]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교통)] [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의 교통을 서술한 문서. [[구자춘]] 시장 재임 시절 서울이 사대문안, 영등포, 강남 3개의 도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3핵도시론을 주창했고, 그에 따라 도시계획이 실현되었다. == 도로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도로)]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 [[파일:Expressway_kor_1.svg|height=25]] [[경부고속도로]]: [[양재IC]][* 원래는 [[한남대교]]가 기점이었으나 한남대교~양재IC 구간은 2002년 고속도로에서 해제되어 [[경부간선도로]]라는 서울특별시도로 격하되었다.]~서울-성남시계 구간 → [[성남시]] * [[파일:Expressway_kor_15.svg|height=25]] [[서해안고속도로]]: ([[서부간선도로]]) ← [[금천IC]]~서울-광명시계 구간 → [[광명시]] * --[[파일:Expressway_kor_17.svg|height=25]] [[평택파주고속도로]]: [[부천시]] ← [[강서IC]] ↔ [[방화대교]][* [[88JC]]부터 방화대교까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구간을 공유한다.] → [[고양시]]-- (미개통) * [[파일:Expressway_kor_29.svg|height=25]] [[세종포천고속도로]]: --[[구리시]] ← [[고덕대교]]~[[강동IC]]~[[방아다리터널]] → [[하남시]]-- (미개통), [[중랑IC]] * [[파일:Expressway_kor_60.svg|height=25]] [[서울양양고속도로]]: [[강일IC]][* 강일IC~[[미사대교]]까지는 [[대통령령]]으로만 고속도로로 지정된 자동차전용도로이며, [[미사대로]]와 중첩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통행료가 무료다.] → [[하남시]], [[남양주시]] * [[파일:Expressway_kor_171.svg|height=25]] [[용인서울고속도로]]: [[헌릉IC]]~서울-성남시계 구간 → [[성남시]] * [[파일:Expressway_kor_100.svg|height=25]]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시]] ← [[강일IC]]-[[상일IC]] → [[하남시]] → [[송파IC]] → [[성남시]] * [[파일:Expressway_kor_120.svg|height=25]] [[경인고속도로]]: ([[국회대로]])[* 구 [[경인고속도로]]이다.] ← [[신월IC]] → [[부천시]] * [[파일:Expressway_kor_130.svg|height=20]]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광역시]] ← [[김포공항IC]]~[[88JC]]~[[방화대교]]~[[북로JC]] → [[고양시]] === 서울특별시도 === [include(틀:서울특별시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특별시도)] === [[국도]] === [[1번 국도]], [[3번 국도]], [[6번 국도]], [[39번 국도]][* 이 도로는 경유한다기도 참 뭐한게, 강서구의 개화동, 오곡동 구간을 아주 잠깐 지난다. 이 구간 다 합쳐도 1km도 안 된다.], [[43번 국도]], [[46번 국도]], [[47번 국도]], [[48번 국도]], [[77번 국도]]가 있다. * [[1번 국도]]: [[안양시]] ← [[서부간선도로]]-[[성산로(서울)|성산로]]-[[농수산시장로]]-[[월드컵로]]-[[증산로(서울)|증산로]]-[[연서로]]-[[통일로]] → [[고양시]] * [[3번 국도]]: [[성남시]] ← [[송파대로]]-[[자양로]]-[[천호대로]]-[[동일로]][* [[동부간선도로]]가 아닌 [[동일로]]가 3번 국도로 지정돼 있다.](47번 국도 중복)-동일로243길-도봉로170길-[[도봉로(서울)|도봉로]] → [[의정부시]] * [[6번 국도]]: [[부천시]] ← [[오정로]]-[[방화대로]]-[[발산로]]-방화대로6바길-[[마곡서1로]]-[[공항대로]](48번 국도 중복)-[[노들로]]-[[선유로]]-[[양화로]]-[[신촌로(서울)|신촌로]]-[[충정로]]-[[새문안로]]-'''[[도로원표]] 광화문사거리'''-[[종로]]-[[왕산로(서울)|왕산로]]-[[망우로]](47번 국도 중복)-[[경춘로]] → [[구리시]] * [[39번 국도]]: [[고양시]] ← [[개화동로]] → [[김포시]], [[인천광역시]] ← [[벌말로(부천)|벌말로]] → [[부천시]] * [[43번 국도]]: [[하남시]] ← [[하남대로(하남)|하남대로]]-[[조정대로]]-[[천호대로]]-[[아차산로]](46번 국도 중복) → [[구리시]] * [[46번 국도]]: [[부천시]] ← [[경인로]]-[[여의대로]]-[[강변북로]]-[[천호대로]]-[[아차산로]](43번 국도 중복) → [[구리시]] * [[47번 국도]]: [[과천시]] ← [[중앙로(과천)|중앙로]]-[[양재대로]]-[[영동대로]]-[[동일로]](3번 국도 중복)-[[망우로]](6번 국도 중복)-[[용마산로]] → [[구리시]] * [[48번 국도]]: [[김포시]] ← [[김포대로]]-[[개화동로]]-[[공항대로]](6번 국도 중복)-[[노들로]]-[[서부간선로]]-[[성산로(서울)|성산로]]-[[사직로(서울)|사직로]]-[[세종대로]] → '''[[도로원표]] 광화문사거리''' 종점 * [[77번 국도]]: [[부천시]] ← [[6번 국도]] 중복 - [[1번 국도]]+[[48번 국도]] 중복([[성산대교]]) - [[강변북로]] - [[자유로]] → [[고양시]] 잘 보면 서울시를 통과하는 국도가 가장 많이 들어가는 [[지방자치단체]]가 '''바로 [[구리시]]'''다. 6번, 43번, 46번, 47번 국도 4개나 구리시로 들어간다. 재미있는 건 구리시는 서울시 경계에 있는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면적이 작은(33.3㎢) 자치단체'''라는 점이다. 2번째로 많이 들어가는 지자체는 [[부천시]]인데[* 6번, 39번, 46번 국도] 여기는 서울시 경계에 있는 자치단체 중에서 2번째로 면적이 작다(53.4㎢). == [[대중교통]] == [include(틀:수도권의 대중교통)] 대한민국 최대 도시답게 대한민국에서 최고의 대중교통을 갖추고 있는 지역으로, 전 세계적으로도 대중교통이 매우 잘 구축된 도시로 평가받는다. === 철도 === ==== [[서울 지하철]]과 [[수도권 전철]] ==== [include(틀:수도권 광역전철 노선)] 상세한 내용은 '''[[서울 지하철]]''' 및 '''[[수도권 전철]]''' 문서를 참고하여도 좋다. [[수도권 전철]]은 [[서울특별시]] 도시교통실에서 관리하는 [[서울 지하철]]을 포함하여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하고 [[국가철도공단]]이 건설하여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 운영하는 광역전철, [[인천 도시철도]], [[경기도 도시철도]] 등 수도권 지역 각 도시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도시철도까지 모두 포함한 대규모 체계를 갖추고 있다.[* 수도권 전철은 위 표에 있는 노선 중 현재 운행을 중단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를 제외한 23개 노선을 일컫는데 반해, 서울 지하철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청량리역|청량리]]~[[서울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전 구간, [[수도권 전철 3호선]] [[지축역|지축]] 일부~[[오금역|오금]], [[수도권 전철 4호선]] [[당고개역|당고개]]~[[남태령역|남태령]], [[수도권 전철 5호선]] [[방화역|방화]]~[[상일동역|상일동]]/[[마천역|마천]], [[서울 지하철 6호선]] 전 구간, [[수도권 전철 7호선]] [[장암역|장암]]~[[온수역|온수]], [[서울 지하철 8호선]] 전 구간, [[서울 지하철 9호선]] 전 구간,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전 구간, [[서울 경전철 신림선]] 전 구간만을 일컫는다. 이 중 서울 지하철임에도 서울 외에 있는 역으로는 [[수도권 전철 3호선]] [[지축역]], [[수도권 전철 7호선]] [[장암역]], [[서울 지하철 8호선]] [[남위례역|남위례]]~[[모란역|모란]] 구간이 있다.] 따라서 서울 지하철은 수도권 전철의 하위 부류에 속하며, [[서울교통공사]]에서 배포하는 노선도에도 "[[서울 지하철]] 및 [[수도권 전철]] [[노선도]]"라는 표현을 써서 이 둘의 범위가 다름을 분명히 고지하고 있다. 깨끗한 시설과 낮은 운임, 버스와도 연계되는 무료환승, 거의 전 역사에 설치되어있는 스크린도어, 차내 무료 와이파이 등이 전부 갖춰져 있어서 엄청난 편의성을 갖추고 있다. ==== 고속 및 일반열차 ==== 고속 및 일반열차는 '''[[서울역]]''', '''[[용산역]]''', '''[[수서역]]''', [[영등포역]], '''[[청량리역]]''', [[상봉역]], [[왕십리역]], [[옥수역]]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고속철도는 서울역, 용산역, 수서역, 청량리역, 상봉역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영등포역에도 KTX 8편성이 정차하나 영등포역에서 KTX를 이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서울 - 영등포 - 수원 - 대전 구간 경부선 기존선 경유, 금토일은 12회 정차] 대신, 대전 이북까지만 간다면 서울역이나 용산역보다 영등포역이 나을 수 있는데, 일반열차는 영등포역에 필수정차하기에 경부선 경유노선만 출발하는 서울역, 호남선 경유노선만 출발하는 용산역보다 배차간격에서 이득이다. 서울특별시는 국내에서 가장 철도수요가 많은 서울-수원-천안-대전으로 이어지는 경부선 라인의 스타트를 끊는 관계로 역시 철도 초강세 지역이라서 시외·고속버스가 힘을 제대로 못쓴다. 하지만 이는 중서부 지역 한정이고, 동부 지역은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이 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동서울터미널]]이 가까워서 시외·고속버스가 경쟁력이 있는 지역이라서 정반대였지만, [[수서평택고속선]]이 개통하고 전술한 3역보다는 가까운 [[청량리역]]에서 출발하는 [[KTX-이음]]이 추가됨에 따라 철도로 이용객이 꽤나 옮겨갔다. 앞으로도 [[중부내륙선]]과 [[춘천속초선]], [[수서광주선]], [[여주원주선]] 등 다양한 지역이 철도로 서울과 연결된 예정이다. 그렇지만 서울 자체가 제1의 도시이자 수도라는 특성에 인구수도 많기 때문에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서 버스 교통도 철도교통만 못할 뿐, 수요가 적지는 않다. * [[서울역]]: [[KTX]]/[[KTX-산천]]('''[[경부고속철도]]'''[* 서울역 착발 KTX는 경부고속철도가 주 운행계통이며, 호남고속철도 운행 KTX는 많은 편수가 없다.]/[[호남고속철도]]), '''[[KTX-이음]]'''([[강릉선 KTX|강릉선]])[* [[청량리역]] 착발 하행 일부열차 및 행신 착발 1회 제외 모든열차 착발], ITX-마음(경부선), ITX-새마을([[경부선]]/[[경전선]]), [[무궁화호]]([[경부선]], [[충북선]]) * [[용산역]]: [[KTX]]/[[KTX-산천]]('''[[호남고속철도]]'''[* 용산역 착발 KTX는 호남고속철도가 주 운행계통이며, 경부고속철도 계통 열차도 일부 있었으나 다이어 개정으로 인해 사라졌다.]), [[ITX-청춘]]([[경춘선]]), ITX-마음(호남선, 전라선), [[ITX-새마을]]([[호남선]]/[[전라선]]), [[새마을호]]([[장항선]]), [[무궁화호]]([[호남선]]/[[전라선]]/[[장항선]]) * [[수서역]]: [[SRT]]([[경부고속철도]]/[[호남고속철도]]) * [[청량리역]]: [[ITX-청춘]]([[경춘선]]), ITX-마음(태백선),, ITX-새마을(중앙선) [[무궁화호]]([[중앙선]]/[[영동선]]/[[태백선]]), '''[[KTX-이음]]'''([[중앙선]]/[[강릉선 KTX|강릉선]])[* [[서울역]] 착발 일부 하행 열차 정차 및 일부 하행 열차 착발] * [[영등포역]]: [[서울역]], [[용산역]] 발착 일반열차 모두 정차, [[부산역]] 착발 [[수원역]] 경유 일부 [[경부선]] [[KTX]] 정차 * [[상봉역]]: '''[[KTX-이음]]'''([[강릉선 KTX|강릉선]])[* [[서울역]], [[청량리역]] 착발 일부 하행 열차 정차 및 일부 하행 열차 착발], [[ITX-청춘]]([[경춘선]])[* 평일 한정으로 출퇴근 시간대에 상하행 각 일 3회 운행하는 열차만 정차.] * [[왕십리역]], [[옥수역]] : [[ITX-청춘]]([[경춘선]]) === 버스 === ==== 시내버스/마을버스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및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문서로. ==== 버스 터미널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터미널)] 서울이라는 거대한 도시답게 터미널 규모도 상당하다. 주요 터미널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서울남부터미널]]이 있으며, 그 외 터미널 및 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 [[김포공항]]: 공항리무진을 이용해 각 지방으로 갈 수 있다. * [[잠실역]]과 [[가락시장역]], [[장지역]] 등지에도 시외버스 간이정류장이 있다.[* [[강원고속]] [[시외버스 8000|8000번]], [[경기고속]] [[시외버스 8105|8105번]] 등의 일부 노선을 제외하면 [[동서울터미널]] 착발 시외버스 노선들이 이 곳에 중간 정차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강남역]]에서는 안산, 시흥 방면 시외버스([[시외버스 700|700번, 700-1번]], [[선진고속(안산)|선진고속]])를 탈 수 있으며, 구 [[상봉터미널]] 앞의 임시 승강장에서는 [[원주종합버스터미널|원주]]행 시외버스([[시외버스 1228|1228번]], [[금강고속]])가 운행한다. 참고로 [[서울남부터미널]]은 1989년 이전엔 [[용산시외버스터미널]]로 한강로에 위치했으며, [[동서울터미널]]과 구 [[상봉터미널]] 역시 각각 1989년 및 1985년 개업 이전에는 동대문구의 [[동마장터미널]]에서 운행하던 노선들을 분산 이전시킨 것이다.[* 용산시외버스터미널은 현재 LG유플러스 본사사옥과 한강초등학교 사이에, 동마장터미널은 [[용두역|용두역]] 앞 [[동대문구청]]과 그 옆 홈플러스 부지에 있었다.] ==== [[광역버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광역급행버스)] == [[공항]] ==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공항동에 [[김포국제공항]]이 있으나, 이곳은 국내선과 대한민국 근방의 중단거리 국제선 노선 뿐이며, 멀지 않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관문인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할 수 있다. == [[택시]]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서울특별시 택시''' }}} || ||<|5> '''일반택시''' || || 기본요금 4,800원(1.6km) || || 추가(동시병산제) 100원(30초/131m) || || 심야할증 20%[* 22시~23시, 02시~04시]/40%[* 23시~익일 02시] || || 시계외할증 20% || ||<|4> '''모범택시[br]대형택시''' || || 기본요금 7,000원(3km) || || 추가(상호병산제) 200원(36초/151m) || || 심야할증, 시계외할증 각각 20% || ||<-2> 광명, 위례, 김포공항[* 광명, 인천, 부천, 김포, 고양 가는 승객 한정], 인천공항 시계외할증 없음 || ||<-2> [[고속도로/대한민국|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기사가 먼저 부담하는 경우 최종 요금에 합산된다.] || 서울에서 택시는 준 대중교통의 이미지가 있는데 택시운송사업자들은 요금 및 차량의 도색부터 시작해서 여러가지를 서울시장 및 서울시청의 관리지침에 따라야 한다. 서울특별시 소속 택시는 원칙적으로는 서울특별시 외에도 [[광명시]]와 [[인천국제공항]]에서도 손님을 태울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광명시에서 탑승하는 승객은 별로 없고, 인천공항도 공항철도 및 공항버스에 밀려 택시를 타는 사람이 거의 없다. 서울특별시의 택시 차량수는 법인택시 2만여 대, 개인택시 4만여 대로 편견(?)과는 다르게 개인택시가 더 많다. 법인택시는 대부분의 차량이 2교대 및 일차제(원칙은 2교대지만 기사수가 부족해 한명에게 24시간 배차)로 24시간 가깝게 가동되지만 개인택시는 운전자가 한명 뿐이므로 하루에 최대 12~15시간밖에 운행을 못하는데다 5부제이기 때문에 법인택시가 더 많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이미 [[1990년대]] 이후 더 이상 택시가 순수 증차되지 않는다.[* 택시에 조금만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택시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한참 초과된 상태다.] 택시가 늘어난 것처럼 보이는건 착시현상일 수도 있다. 택시의 종류는 일단 [[경차]]를 사용하는 경형택시, [[기아 K3]], [[아반떼]] 등을 사용하는 소형택시(배기량 1,800cc이하), [[쏘나타]],[[기아 K5]], [[올란도]], [[스포티지]], [[그랜저]], [[기아 K7]]등을 사용하는 중형택시(배기량 1,800cc 이상)와 모범택시(배기량 1,900cc 이상), 대형택시가 있다. 가장 자주 보이는 것은 세단 중형택시이고 경형과 소형은 2014년에 [[멸종]]되었다.(...) 개인 중형택시들은 5부제로 운행하는데 가조,나조,다조,라조,9조로 구분된다. 가나다조 중 한 조가 휴무하고 나머지 두개 조가 영업하여 2일 영업한 조는 그다음날 휴무한다. 따라서 가나다조는 한달에 최소 10일, 최대 20일을 운행해야 한다. 라조는 매주 일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휴무하는데 다시 수요일과 금요일은 1, 3번째 주에 휴무하는 조와 2, 4번째 주에 휴무하는 조로 구분된다. 9조는 매주 일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밤 9시부터 다음날 아침 9시까지 운행할 수 있다. 법인택시는 부제 그런거 없지만 기사 부족등의 사유로 평균적으로 법인 소속 100대의 택시 중 70~80대만이 운행된다고 한다. 법인택시들은 보통 4시 또는 6시에 맞교대를 한다. 즉 6시교대의 경우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오전반이 근무하고 오후6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오후반이 근무하는데 무조건 차고지에서 교대를 해야 되기 때문에 또 세차 및 LPG충전 등의 이유로 실제로 손님을 태우고 영업운행이 가능한 시간은 좀더 짧다. 당연하지만 교대시간을 이유로 승차를 거부(?)하는 것은 합법이다. 손님 입장에서는 택시잡기도 힘든 이 시간에 교대해야만 하는가 싶지만... 책임교대제라는 것을 채택하는 회사는 이 교대시간이 직원마다 조금씩 다르기도 하다. 물론 일차로 운행중인 법인택시는 교대시간 따위 없다. 서울특별시 소속 택시의 번호판은 개인택시(모범,대형포함) 서울31~서울32/서울35~38이 부여되고 법인택시는 서울33~37이 부여되어 있으며, 법인택시는 무조건 꽃담황토색으로 출고되지만 개인택시는 권장사항이기 때문에 은색이나 흰색이 더 많다. [[해치]] 택시 마크는 은색이나 흰색 택시에도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서울 곳곳에 택시 정류장이 있지만 서울역 등을 제외하면 아무도 택시를 정류장에서 타지 않는다. 버스 정류장에서 타고 내리는 경우가 훨씬 많다.(...) 그리고 과천, 고양(덕양구), 구리, 부천, 성남(중원구)에서는 오히려 서울택시가 대로변에 자주 다녀서 잡아타기 쉽다. 서울시 택시사업통합구역인 광명에서는 이면도로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고양 화전지역에가면 충전소마다 서울택시가 줄지어 서있다. 그래서인지 서울나가기 전에 행신동 인근에서 서울가는 손님을 모시고 서울로 떠나는 경우가 많다. [[분류:서울특별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