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 [[분류: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include(틀:폐선)]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목차] == 공번 == * 0011: 계획 단계에서 정릉으로 연장되어 [[서울 버스 1020|1020번]]으로 변경.[* 현재 0011과 비슷한 권역 연계 노선은 1711번이다.] * 0012: 옥수동으로 연장되어 0212번으로 신설. == 0013(삼성여객) == [[파일:서울 0013 노선도.png]] 운행구간 : 보광동 - 이태원역 -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 서울역 - 명동역 - 대한극장 - 동대문운동장 - 동대문 - 신설동역 - 제기동역 - 용두역 - 왕십리역 - 응봉동 - 금남시장 - 한남동 - 보광동 - 서빙고역 --이거 사실상 순환노선 아닌가--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013.jpg]] [[http://cafe.naver.com/bve/36617|출처]] 구 도시형 81번(보광동 - 서빙고)이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대개편 때 번호만 0013번으로 바뀌었다. 2006년 말부터 뉴 슈퍼 에어로시티(CNG 차량)가 대량으로 출고되기 시작되면서 가스충전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자가 충전소가 있던 염곡동까지 가서 충전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게 되었고, 이 때문에 '''[[경부고속도로]]에서도 목격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서울역고가차도에 노선버스 진입이 금지됨에 따라 2008년 8월 1일에 노선이 변경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1274|관련 공지사항]] 이후로도 잘 운행되다가 보광동 차고지 이전 문제로 인해 더 이상 운행이 어렵게 되었다. 이로 인해 2009년 6월 20일에 동사 0211번과 함께 421번으로 통합되어 현재까지 운행 중이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421]] 문서 참조. == 0014(삼성여객) == [[파일:서울 0014 노선도.png]] 운행구간 : 보광동 - 이태원역 - 한강진역 - 소월길 - 남산도서관 - 숭례문 - 시청 - 종로1가 - 신세계(명동)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014.png]] 위 차량은 2007년에 대차되었고, [[서울 버스 400|400번]]에서 운행하다 2018년에 다시 대차되었다. [[http://cafe.naver.com/bve/65883|출처]] 구 도시형 79-1번(서빙고 - 종로1가)이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바뀌었다. 2005년 9월 27일에 '서빙고역 - 이촌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2006년 4월 13일에 '이촌역 - 서빙고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한강중학교를 거쳐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909|관련 공지사항]] 0013번과 마찬가지로 차고지 이전 문제가 대두되어 2009년 6월 20일에 동사 0015번과 함께 405번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연혁은 [[서울 버스 405]] 문서를 참조. == 0015(삼성여객) == [[파일:서울 0015 노선도.png]] 운행구간 : 보광동 - 이태원역 - 후암동 - 시청 - 명동롯데 - 청파동 - 숙명여대 - 용산구청 - 이촌동 - 신동아아파트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015.jpg|width=100%]]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015-1.jpg|width=100%]] || ||<-2> '''좌측 차량은 우측 차량으로 대차되었고, 우측 차량은 2016년에 대차되어 421번에 있다.'''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다. 노선 자체는 구 23, 32, 56, 57번 등의 용산구 구간을 합친 형태였다.[* 舊 23, 57번은 대개편을 거치면서 폐선되었고, 舊 32번은 1016번이 되어 동대문으로 단축되었다. 舊 56번은 371, 3216번으로 분리되었고, 각각 신촌으로 연장, 청량리로 단축되면서 없어진다.] 2004년 9월 15일에 한남동 구간이 양 방향 보광동길 경유로 바뀌었다. 그 외에 및 산천동 구간이 변경되었으며, 우리은행후암동지점 구간이 단축되었다. 2005년 4월 13일에 '보광동 - 동부이촌동 신동아아파트' 구간과 산천동 구간이 단축되었다. 그리고 한 달도 안 되어서 2005년 5월 10일에 '동부이촌동 신동아아파트 - 서빙고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2005년 6월 15일에 '종각역 - 조계사 - 광화문 - 세종로사거리' 구간이 단축되었고, 보광동 방향은 '을지로입구역 → 시청 → 숭례문'으로, 이촌동 방향은 '숭례문 → 시청 → 세종로사거리 → 종각역 → 을지로입구역'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621|관련 공지사항]] 2006년 4월 13일에 도심 방향이 부영주유소에서 바로 원효대교북단교차로를 이용해 원효로로 가지 않고, 성촌공원과 현대자동차서비스로 우회해서 가도록 변경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908|관련 공지사항]] 앞서 이야기한 차고지 문제로 인해 [[2009년]] [[6월 20일]]에 [[서울 버스 400|400번]]으로 통합되었다. == 0016(신흥기업 → 오케이버스)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016.jpg]] [[http://blog.naver.com/jeonnongin/109226337|출처]] 운행구간 : 서부역 - 배문중 - 효창공원역 - 용산구청 - 남영역 - 숙대입구역 - 숙명여대 - 만리동시장 - 서부역 2223, 8001, 8331번과 같이 [[오케이버스]]에 양도된 후 마을버스인 [[서울 버스 용산04|용산04번]]로 전환되었다. == 0018(삼성여객)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018.jpg]] 위 차량은 [[서울 버스 400|400번]]에서 운행 중이다. 2007년 말 제작분이라 꽤 오래 살아남았다. 2018년 말에 개선형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http://blog.naver.com/sis04160/110139331298|출처]] 舊 [[서울 버스 0018]] 문서를 참조. == 0211(삼성여객) == [[파일:서울 0211 노선도.png]] 운행구간 : 보광동 - 용산역 - 전자상가 - 용산구청 - 남영동 - (←시청/서울역→) - 퇴계로 - 왕십리 - 금호동 - 옥수동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211.jpg]] 위 차량은 현재 [[서울 버스 405|405번]]으로 이동했다가 2017년에 NSAC F/L로 대차되었다. [[http://cafe.naver.com/bts6710/1088|출처]] 81-1번 도시형버스(보광동 - 옥수동)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0211번으로 바뀌었다. 2007년 1월 20일에 보광동 방향은 염천교를 건너 서울역으로 가던 것이, 서소문과 시청, 삼성플라자, 숭례문을 거쳐 가도록 변경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1043|관련 공지사항]] 서울역고가차도에 노선버스 진입이 금지되면서 2008년 12월 27일에 보광동 방향은 '명동역 → 북창동 → 염천교 → 서소문 → 시청 → 숭례문 → 서울역'으로 변경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1324|관련 공지사항]] 앞서 언급한 차고지 문제로 인해 2009년 6월 20일에 0013번과 통합하여 [[서울 버스 421|421번]]이 되었다. 별개로 삼성여객 노선들 중 당시에는 유일하게 보광동에서 유일하게 이태원을 경유하지 않았던 노선. == 0212(선진운수) == [[파일:서울 0212 노선도.png]] 운행구간 : 구기동(이북오도청) - 세검정 - 상명대입구 - 자하문고개 - 경복궁 - 광화문 - 종로 1~6가 - [[흥인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운동장]] - [[장충체육관]] - [[약수역]] - [[청구역]] - [[신금호역]] - 금남시장 - 옥수동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212.jpg|align=center&width=600]] 구 도시형 143-1번(구기동 - 종로3가)이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대개편 때 구 154번의 '동대문~옥수동'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종로3가에서 옥수동으로 연장되었고 번호도 0212번으로 바뀌었다. 2006년 12월 1일에 '경복궁 - 안국동 - 조계사 - 무교동 - 종로' 구간이 '경복궁 - 세종문화회관 - 종로'로 변경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1011|관련 공지사항]] 공차회송문제 해소와 7740번의 수요 증진을 목적으로 2010년 8월 21일에 7740번과 통합되어 [[서울 버스 7212|7212번]]으로 변경되었다. [[http://www.sunjinwoonsu.co.kr/htm/board2.php?table=board_06&uid=19&page=1&oper=view|선진운수 공지사항]]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1200|토피스 공지사항]] == 0213(삼성여객, 대원여객)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213.jpg]] [[http://cafe.naver.com/bve/100846|출처]] 2009년 6월 20일에 0013, 0014, 0015, 0211번의 보광동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서 신설되었고, 이후 1148번과 1118번의 폐선분을 가지고 대원여객이 공동배차를 시작했다. 이후 2011년에 대원여객의 운행분은 2225번(구 240B/신내동 - 면목천길 - 건대입구)와 통합되어 [[서울 버스 2016]]이 되었고, 삼성여객의 운행분은 다시 단축되어 0018번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0018]] 문서를 참조. == 0411(대원여객) == [[서울 버스 0411]] 문서 참조. == 여담 == 2009년 이전 지하철역 승강장 내 지도에는 0이 빠진 버스 노선 번호가 적혀 있었다. 0013번, 0014번, 0015번, 0211번, 0212번이 아닌 13번, 14번, 15번, 211번, 212번 식으로.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 version=1193,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