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 [include(틀:폐선)]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목차] == 개요 == 여기에는 폐선, 통합, 변경 등으로 인해 번호가 소멸된 노선을 기재하는 공간으로, 추가할 때는 오름차순으로 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편 당시 계획에 들어있었으나 실제로 운행하지 않았거나 노선이 바뀐 경우는 제외합니다. 시내버스 문서인 만큼, [[마을버스]]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폐선된 마을버스의 경우, [[서울특별시 마을버스/목록]] 문서를 이용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폐선 사유에서 노선의 흑자, 적자에 대해서는 될 수 있으면 기재하지 않도록 합니다. 준공영제하에서 '''개별 노선의 흑자, 적자 여부는 알 수 없습니다.''' 주간선버스는 ㈜, 현존하는 노선과 번호만 같은 노선은 ☆, 현존하는 노선과 번호와 회사 모두 같은 노선은 ★로 표시합니다. == 01(북부운수)★ == === 1기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01.jpg|align=center]] [[http://bluea929.blog.me/30170443254|출처]] 운행구간 : [[동대문운동장]] → [[종로]]4~6가 → [[광장시장]] → [[을지로]]1~4가 → [[삼성화재]] → [[서울신문사]] → [[한국통신]] → [[세종문화회관]] → [[덕수궁]] → [[삼성플라자]] → [[염천교]] → [[서울역]] → [[숭례문]] → [[남대문시장]] → [[명동]][[롯데]] → [[을지로]]1~6가 → [[동대문운동장]] 2004년 대개편 이전인 2003년 6월 10일 개통한 순환노선. 200원이라는 저렴한 운임을 무기로 내세웠으나, 홍보 부족과 극심한 정체, 그리고 무엇보다 대개편으로 버스환승제가 전면 실시됨에 따라 수요가 확 줄어버려 결국 2005년 9월 6일에 아래 청계천 순환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2기 === 운행구간 : [[청계천]]문화관 - 청계2~8가 - (→ [[종각역]] →/← 청계1가.[[광교]] ←) - [[동아일보]] 청계천 복원공사가 끝나면서, 2005년 9월 6일에 위와 같이 변경되었다. [[http://www.geumcheon.go.kr/program/board/detail.jsp?boardTypeID=4&menuID=001004004001&boardLines=10&boardID=49651|관련 공지사항]] 그러나 청계천은 그 당시나 지금이나 서울 도심에서 제일 막히는 곳 중 하나라 승객이 생길래야 생길 수가 없었다[* 게다가 청계천에서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에 수많은 노선들이 지나는 [[종로]]와 [[을지로]]가 심지어 거의 같은 방향축으로 있으니 더더욱 승객이 생길 리가 없었다.]. 현재 청계천로를 완주하는 [[서울 버스 173|173번]]의 소요시간과 배차를 보면 정체의 정도를 알 수 있다. 청계천이 주말 차 없는 거리로 지정된 이후에는 종로로 우회하였다. 2006년 4월 21일에 폐선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923|관련 공지사항]] === 3기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탄천01.jpg|align=center]] 운행구간 : '''[[탄천]][[주차장]]''' - 휘문중사거리 - '''[[삼성역]]''' - [[한국전력]] - [[코엑스]]사거리 - '''무역센터''' (굵게 표시한 정류장만 정차하였다.) 청계천로를 오가던 구 01번이 폐선된 2006년 4월 21일에 신설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925|관련 공지사항]] 요금은 성인 기준 550원이었으며, 차량 2대가 15~20분 간격으로 운행했다. 코엑스 안에 주차공간이 부족해 방문객의 편의 도모를 위해 탄천주차장 셔틀버스 노선으로 만든 것이다. 그러나 예상보다 수요가 저조했고, 2228번 인가댓수를 모아 41, 4434번을 만드는 과정에서 '''탄천주차장 - 삼성역''' 구간이 중복됨에 따라 2008년 8월 31일에 폐선되었다. 당시 존재하던 모든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권역 번호와 전혀 맞지 않았던 노선이다. === 4기(대원여객, 메트로버스, 북부운수) === [[서울 버스 01A, 01B(폐선)]] 문서 참고. == 02(북부운수) == [[파일:북부02번_현대일반.png]] [[서울 버스 01]] 문서 참고. 04번과 통합되어 노선을 청와대로 변경하면서 번호가 바뀌었다. 01번만 보면 5번째 사례. == 03(북부운수) == [[서울 버스 03]] 문서 참고. 1, 2기 모두 폐선되었다. == 04(북부운수) == [[서울 버스 04]] 문서 참고. == 05(북부운수) == [[서울 버스 05]] 문서 참고. == 41(대원교통) == 1~3기 모두 폐선되었다. [[서울 버스 41]] 참고. 3기 노선은 인가만 순환노선이었을 뿐, 실제로는 간/지선버스 요금을 징수했다. == 61(태진운수)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1.jpg]] [[http://blog.naver.com/jeonnongin/176238535|출처]] [[서울 버스 영등포10]] 참고. == 62(태진운수)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2.jpg]] [[http://blog.naver.com/jeonnongin/59530571|출처]] [[서울 버스 영등포11]] 참고. == 8001(북부운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 버스 01)]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1아폴로.jpg|width=100%]]}}}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서울특별시 순환버스 8001번 || ||<-2> 기점 ||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남산예장버스환승센터|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남산예장버스환승센터|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 || ||<|2> 종점행 || 첫차 || 07:0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3:10[* 22:35에 출발한 막차가 2바퀴 중 1바퀴를 돌고 통과하는 시각.] || 막차 || - || ||<-2> 평일배차 || '''미운행''' ||<-2> 주말배차 || 9~40분 || ||<-2> 운수사명 || [[북부운수]] ||<-2> 인가대수 || 0대[* 01번 주말 감축분 차량 3대로 운행] || ||<-2> 노선[* 기재된 정류장에만 정차했으며, 이 구간을 1회 운행에 2바퀴 돌았다.] ||<-4> [[남산예장버스환승센터|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 → [[충무로역]]2번출구.대한극장앞 → [[동대입구역]].장충동 → 국립극장.반얀트리호텔 → 남산서울타워 → 남산도서관 → 남산케이블카.남산산책로입구 → 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 || 2023년 4월 8일에 주말 맞춤노선으로 신설되었으며, 2023년 11월 25일에 상시 운행으로 전환함에 따라 01B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서울 버스 8001, version=75)] == 8663(공항버스, 다모아자동차, 신길운수, 신촌교통, 영인운수, 오케이버스, 중부운수) == [[서울 버스 8663]] 문서 참고. 정확히는 맞춤버스이나, TOPIS에서 순환버스로 등록했었다. [[서울 버스 8777|8777번]]과 비슷한 사례. [[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