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세훈)] ||<-2> '''[[서울특별시의 공원|{{{#000,#fff 서울특별시의 공원}}}]]''' || ||<-2> {{{#fff {{{+2 '''서울창포원'''}}}[br]Seoul Iris Garden}}}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다국어 표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본어 || ソウル菖蒲院 || || 중국어 || 서울菖蒲院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창포원, 너비=100%)]}}}|| ||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916[br]([[도봉동]] 4-1) || || '''개원일''' ||[[2009년]] [[6월 7일]] || || '''면적''' ||52,417㎡ || || '''분류''' ||식물원 || || '''개방 기간''' ||연중무휴 || || '''개방 시간''' ||05:00~22:00 || || '''이용료''' ||무료 || || '''관리'''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br]북부공원여가센터 || || '''전화번호''' ||02-954-0031 || || '''홈페이지''' ||[[http://parks.seoul.go.kr/template/sub/dreamforest.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위치한 서울시립식물원,생태공원이다. == 역사 == 과거엔 비닐하우스가 많은 도시 미관을 해치는 곳이였다. 서울시는 2006년 11월부터 서울창포원조성사업을 시작하였고, 서울식물생태원조성사업의 추진으로 2009년 6월 7일 [[오세훈]] [[서울시장]]과 [[최선길]] [[도봉구청장]] 등 관계 인사들과 주민 2천명이 보는 개원식에서 정식 개원하였다. == 특징 == 서울 강북의 끝자락에 위치한 도봉산과 수락산 사이에 세계 4대 꽃 중 하나로 꼽히는 붓꽃이 가득한 특수 식물원이자 생태공원으로 지정된 서울창포원은 약 1만 6천 평에 붓꽃원, 약용식물원, 습지원 등 12개 테마로 구분 조성되었다. 붓꽃원에는 노랑꽃창포, 부처 붓꽃, 타레붓꽃, 범부채 등 '붓'모양의 꽃봉오리로 된 붓꽃류 130여 종의 다양한 붓꽃 30만 본을 심어 매우 아름답다. 또한 약용식물원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약용식물의 대부분을 한자리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습지원에서는 각종 수생식물과 습지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관찰덱이 설치되어 있다고 한다. 초화원에는 꽃 나리, 튤립 등 화려한 꽃들이 계절별로 피어나기 때문에 계절마다 가는 것도 좋다. == 주요 시설 == == 주변 시설 == 서울창포원 근처엔 [[대전차 방호벽]](도봉[[시민아파트]])을 부분 철거 및 보존해 리모델링한 복합문화공간인 평화문화진지가 있고 평화문화진지 북쪽으로 바로 다락원체육공원이 나온다. 게이트볼장과 배드민턴장,테니스장,축구장이 있다. 창포원 동쪽으로 중랑천 자전거길이 잘되어있다. [[따릉이]] 대여소도 있으니 자전거 타기도 추천한다. == 연계 교통 == === 버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봉산역, 앵커=연계 교통)] === 지하철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도봉산역]]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 [[도봉산역]] [[분류:서울특별시의 공원]] [[분류:도봉구]] [[분류:2009년 설립]] [[분류:나무위키 공원 프로젝트]] [[분류:오세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