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성수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2>
'''{{{+1 서울의 봄}}}''' (2023)[br]12.12: The Da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 [[파일:서울의 봄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역사물|시대극]], [[스릴러]], [[느와르]], [[액션]], [[정치]] || || '''감독''' ||<|2>[[김성수(1961)|김성수]] || || '''각본''' || || '''기획''' || || || '''제작''' || || || '''각색''' || || || '''촬영''' ||이모개 || || '''조명''' || || || '''미술''' || || || '''편집''' ||김상범 || || '''음악''' ||이재진[* [[박하사탕(영화)|박하사탕]], [[파이란]], [[오아시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영화)|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주홍글씨(영화)|주홍글씨]], [[생일(영화)|생일]], [[완득이]], [[파괴된 사나이(영화)|파괴된 사나이]], [[정직한 후보]], [[인간중독]], [[아수라(영화)|아수라]], [[검사내전]], [[이 구역의 미친 X]] 등 작업.] || || '''의상''' || || || '''출연'''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배우)|이성민]], [[박해준]], [[김성균]] 外 || || '''제작사''' ||[[하이브미디어코프]]||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플러스엠]] || || '''개봉일'''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1월 22일]] || || '''촬영 기간''' ||[[2022년]] [[2월 17일]] ~ [[2022년]] [[7월 3일]] || || '''화면비''' ||[[시네마스코프|2.35:1]] || || '''상영 타입''' ||[[2차원|2D]], [[Dolby Atmos]], [[IMAX]] || || '''상영 시간''' ||141분 (2시간 21분 15초) || || '''총제작비''' ||270억 원 [[https://funderful.kr/investdetail/project/92/project|#]][* 마케팅비를 제외한 순제작비는 232억 5000만원이다.]|| || '''손익분기점''' ||460만 명 [[https://funderful.kr/investdetail/project/92/project|#]] || || '''대한민국 총 관객수''' ||'''219,446명''' ^^([[2023년]] [[11월 22일]] [[https://www.kobis.or.kr/kobis/mobile/main/findDailyBoxOfficeList.do|기준]])^^ || || '''[[영상물 등급 제도|{{{#fff 상영 등급}}}]]'''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https://www.kmrb.or.kr/kor/CMS/TotalSearch/gradeResultView.do?mCode=MN132&site_code=&category_code=ORS&category_code2=MV&category_code3=&grade_name=12%EC%84%B8%EC%9D%B4%EC%83%81%EA%B4%80%EB%9E%8C%EA%B0%80&rcv_no=2409312&return_url=&searchKeyword=%EC%84%9C%EC%9A%B8%EC%9D%98+%EB%B4%84|등급분류 결정내용]]: 군사반란을 모티브로 전개되는 사건을 다루고 있는 주제를 비롯하여, 경미한 음주 및 흡연 묘사, 고문의 정황이나 차량으로 사람을 들이받는 장면, 총격전 및 총격 살상 장면이 약간의 유혈과 함께 간결하게 표현되는 등 약물 및 폭력성 요소의 유해성이 보통 수준이므로 12세이상관람가[br](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약물_2021.svg|width=40]])]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까지의 [[12.12 군사반란]]과 [[서울의 봄]]을 배경으로 한 2023년 한국 영화. == 개봉 전 정보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의 봄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의 봄 인터포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의 봄 인터포 2.jpg|width=100%]]}}} || || '''타이틀 포스터''' ||<-2> '''인터내셔널 포스터'''[* IMAX 포스터는 좌측 포스터의 뒷배경이 쓰였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의 봄 전두광.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의 봄 이태신.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의 봄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2> '''티저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두광.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전두광'''}}}}}}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이태신'''}}}}}}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상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태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헌병감 김준엽.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정상호'''}}}}}}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노태건'''}}}}}}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김준엽'''}}}}}} || ||<-3> '''캐릭터 포스터'''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의 봄 Dolby Atmos 포스터.jpg|width=100%]]}}} || ||<-3> '''Dolby Atmos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YZTpiZS91BM)]}}} || || '''론칭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qqKYLf5TzA)]}}} || ||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AZ7cnwn2YI)]}}} || || '''메인 예고편''' || ===# 기타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dxBPfWV2rc)]}}} || || ''''작전 일지'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qUPCExnnmBA)]}}} || || '''리뷰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9OD8gYAaq-E)]}}} || || '''20인 캐릭터의 향연, [서울의 봄] '캐릭터 영상'''' || == 시놉시스 ==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 [[12.12 군사반란|군사반란]] 발생 >그날, 대한민국의 운명이 바뀌었다 > >대한민국을 뒤흔든 [[10.26 사건|10월 26일]] 이후, 서울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온 것도 잠시 >12월 12일, 보안사령관 전두광이 반란을 일으키고 >[[하나회|군 내 사조직]]을 총동원하여 최전선의 전방부대까지 서울로 불러들인다. > >권력에 눈이 먼 전두광의 반란군과 이에 맞선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을 비롯한 >진압군 사이, 일촉즉발의 9시간이 흘러가는데… > >목숨을 건 두 세력의 팽팽한 대립 >오늘 밤, 대한민국 수도에서 가장 치열한 전쟁이 펼쳐진다! == [[서울의 봄(영화)/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의 봄(영화)/등장인물)] === 명대사 ===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사운드트랙 == 음악감독은 [[박하사탕]], [[파이란]], [[오아시스(영화)|오아시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영화)|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주홍글씨(영화)|주홍글씨]], [[생일(영화)|생일]], [[완득이]], [[파괴된 사나이(영화)|파괴된 사나이]], [[정직한 후보]], [[인간중독]], [[아수라(영화)|아수라]], [[검사내전]], [[이 구역의 미친 X]] 등 작업한 이재진이다. 영화 후반부에 대한민국 국군의 군가 [[전선을 간다]]를 어레인지한 사운드트랙이 흘러나오고 엔딩 크레딧이 흐를 때 전선을 간다가 나온다. >“[[훈련소]]에서 들었던 [[군가]]는 다 별로였던 것 같은데 [[전선을 간다]]는 좋았던 것 같다. 그 노래는 비장하다. 전선에서 용감하게 전진하는 병사들에게 ‘총알이 날아오지만 죽어라.’는 식으로 독려하는 노래이다. 노래 가사도, 음률도. 전투를 끝내고 허망한 병사들에게 무언가 말을 한다. 그럼에도 계속 전진하라고. 문학적인 느낌이 들었다. 되게 사실적이다. 군대 있을 때 보초를 서는데 저도 그 노래를 흥얼거리더라. [[아수라(영화)|아수라]]를 함께했던 이재진 음악감독과 처음 미팅할 때 ‘이 군가는 반드시 써야한다.’고 그랬다. 영화에서는 이 곡이 엔딩 말고도 다섯 번 정도 변주되어 사용 된다. 음악 감독님이 잘 만들어주셨다. >---- >[[김성수(1961)|김성수]] 감독 [[https://kstar.kbs.co.kr/list_view.html?idx=289356|출처]] ||<-5>
{{{#aa9872 '''<서울의 봄>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mhQ2GxxYhafcmsJK4DnFu0Pr2tuA7IPTA&si=gGtJLesZg0VrYFgg|전체 듣기]] }}} || ||<-5><#aa987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의 봄 ost 앨범커버.jpg|width=100%]]}}} || || {{{#aa9872 '''No''' }}} || {{{#aa9872 '''제목'''}}} || {{{#aa9872 ''' 재생시간 '''}}} || {{{#aa9872 ''' 듣기 '''}}} || {{{#aa9872 ''' 비고 '''}}} || || 01 || March for Power || 3:55 || [[https://youtu.be/LcR0Uyku1LQ?si=v_0LUFOHZy9Vj7Zf|[[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02 || General Lee || 2:59 || [[https://youtu.be/TWJUrVtk4UY?si=KomXrhfWhH7a9-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03 || Move All (출정가) || 1:32 || [[https://youtu.be/hcvM5LCBKy4?si=iSt-82FBWodmVR4p|[[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04 || The Seoul Spring (서울의 봄) || 2:05 || [[https://youtu.be/B1Oy0ucXNng?si=ZYNDLpsOWiHVsTK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05 || The Insurrection || 2:23 || [[https://youtu.be/2ldG3pTxgA0?si=dDE_Dik1tpJKHRy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06 || The Day After October 26th || 3:22 || [[https://youtu.be/k9-RIzCGXQ4?si=x_Iela3Sa5hdGUub|[[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07 || New Era || 2:33 || [[https://youtu.be/GjXBfYV7YEE?si=F1LzA5pos627eS_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08 || Hanahoe (하나회) || 2:08 || [[https://youtu.be/riK7l7j861g?si=si3hyD6bG4bgkH_x|[[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09 || Allies || 1:29 || [[https://youtu.be/8XWd8-BFtmg?si=2L3CFGRYgKVkicK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10 || Irresistible || 1:35 || [[https://youtu.be/3Txk-kgLw1I?si=hMSKCF7YNjhYTfW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11 || No Turning Back || 0:45 || [[https://youtu.be/RlnGu7z8IXw?si=kfCwULZGBrCLXmK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12 || Conspiracy || 0:51 || [[https://youtu.be/yXxfKortHNM?si=n4n7_Uy4OcHa-HT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13 || Plotting Attack || 1:18 || [[https://youtu.be/P1lU5o6DqdY?si=44B7tB0yY7x1XDH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14 || The Launch || 0:23 || [[https://youtu.be/QDgBnqPw8Yo?si=mvKOJUuFof5eJjh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15 || Call From the Chief of Staff (참모총장의 호출) || 0:59 || [[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16 || Code Name: Birthday Party (작전명: 생일집 잔치) || 2:52 || [[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17 || 12.12 || 5:59 || [[https://youtu.be/KBPCUYjEb1g?si=0iewxMYJu8F-yfFB|[[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18 || Action || 2:12 || [[https://youtu.be/xXt8KnC3dhM?si=0CVHh6kwkHMe82D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19 || Gunfight || 1:21 || [[https://youtu.be/8KNh8dStnP0?si=LdE6yaM-hsKyrvc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20 || Crash || 0:23 || [[https://youtu.be/3fmpIIAsVd0?si=RUabPX5DCixZQOQ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21 || Escape || 1:33 || [[https://youtu.be/S2AB_vo-MQE?si=t6cEnsTgDrkx2Wx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22 || Warning || 1:36 || [[https://youtu.be/I2SExjaK_6I?si=-lNJiy_AK6eIhK4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23 || Back-Up || 1:56 || [[https://youtu.be/WJIKxgb0arg?si=C0nu7uw0s3riDXx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24 || Strategy || 3:31 || [[https://youtu.be/TkpptvEtkPU?si=m_nYX1Pw5z7HIDD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25 || A Pack of Wolves || 1:31 || [[https://youtu.be/QLasrqM3tdw?si=fkAsRoDJIk083aN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26 || Trust No One || 1:12 || [[https://youtu.be/AAjJCYMV2bk?si=FOCpdVDvDm3CPV6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27 || Block Bridges || 2:16 || [[https://youtu.be/Ek4hG7rxzc0?si=rCkVpjEyi2LI3VA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28 || The Dawn || 0:43 || [[https://youtu.be/x_uxa1jDMZ4?si=ZOL7isnQJeS9OLf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29 || The One Man || 2:46 || [[https://youtu.be/0AHuAkoZP1Y?si=YvrDeyWos_LAfMsz|[[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30 || Temptation || 1:23 || [[https://youtu.be/cCUd61S92Lg?si=BTORJXb_5qncsu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31 || Copy Cat || 2:35 || [[https://youtu.be/SzvQdH3qUSA?si=M_yvsKrHahjgZt-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32 || Earnest Request || 2:35 || [[https://youtu.be/hbYWMuRLpPQ?si=Pks7V27mwvmBbEf7|[[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33 || A Genius of Deception (기만술의 천재) || 1:36 || [[https://youtu.be/FZxwD4n0mNE?si=hnlpRrD8GzhubGeZ|[[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34 || Gentleman's Agreement (신사협정) || 1:22 || [[https://youtu.be/L_O38aZLOko?si=yzKHlx24RStxme7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35 || Surprise Attack || 1:20 || [[https://youtu.be/1uZ6EHCY0cU?si=u9oqhRXsr1KwXnC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36 || General’s Wrath (장군의 분노) || 1:05 || [[https://youtu.be/SG2-KM402i4?si=K-7NBptoCmdm7Q8f|[[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37 || The Day || 5:28 || [[https://youtu.be/RloPaVSr7zg?si=ZOKujsu9c80MI4RH|[[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38 || Major Oh (오 소령) || 4:33 || [[https://youtu.be/Gr6RjUsiB5E?si=YFfs9AvfJa-_HXk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39 || The Last Soldier || 2:15 || [[https://youtu.be/ll8jmpQ-Ok8?si=SEIGIufPM_9X6JDH|[[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40 || Bunker || 1:33 || [[https://youtu.be/NrBVCZb1jtk?si=OZ7qlSVHT8ZoQV6p|[[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41 || Late-Night Call (아내와의 통화) || 1:10 || [[https://youtu.be/2JrKFgn8OXY?si=OvnO9LYr2Ub-oMz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42 || 전선을 간다 (Voice Version) || 4:49 || [[https://youtu.be/5VlKkVhzh98?si=qmquDAApfrhwcHaH|[[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군가 [[전선을 간다]]를 편곡한 곡이다.] || || 43 || The Last Order || 4:09 || [[https://youtu.be/f3BH70Fld5c?si=gPhxdY3eW9bJzwH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44 || The Last Words || 1:20 || [[https://youtu.be/PTfYMWClw6Y?si=cu__5pQLfkLyFP4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45 || The End || 3:32 || [[https://youtu.be/7MxZAsRBk5Y?si=UEjaqf_5g9LobbJ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 로튼토마토=,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 IMDb=tt22507524, IMDb_user=, ## IMDb_highlight=display, ## IMDb_list=, IMDb_rank=, ## IMDb_date=, ## 레터박스=1212-the-day, 레터박스_user=,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 알로시네=,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 키노포이스크=1226470, 키노포이스크_user=,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 야후재팬영화_highlight=display, Filmarks=102482, Filmarks_user=5.0, ## Filmarks_highlight=display, ## 도우반=35712804, 도우반_user=, ## 도우반_highlight=display,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 야후키모_highlight=display, 왓챠=mWvqVXx, 왓챠_user=3.8,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26910, 키노라이츠_light=97.37, 키노라이츠_star=4.0,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서울의 봄, 네이버영화_audience=9.50,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코드=,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코드_highlight=display, 다음영화=156628, 다음영화_user=8.6, ## 다음영화_highlight=display, CGV=87554, CGV_egg=98, ## CGV_highlight=display, 롯데시네마=20443, 롯데시네마_user=9.6,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메가박스=23081200, 메가박스_user=9.4,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 MRQE=, MRQE_user=, ## MRQE_highlight=display, ## 시네마스코어=,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 TMDB=919207, TMDB_user=, ## TMDB_highlight=display,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 RogerEbertcom=, RogerEbertcom_user=,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 MyDramaList=717141-spring-in-seoul,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 JustWatch=, JustWatch_user=, ## JustWatch_highlight=display, 맥스무비=M000118377, 맥스무비_user=10,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씨네21=58978, 씨네21_expert=6.67, 씨네21_user=10, ## 씨네21_highlight=display, ## 갤럭시시네마=, 갤럭시시네마_user=, ## 갤럭시시네마_highlight=display, ## 엠파이어=, 엠파이어_user=,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 인디와이어=, 인디와이어_user=,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 11월 9일 첫 시사회 평가가 공개되었는데, 평가가 상당히 긍정적인 편이다. 개봉 첫날 호평과 긍정적인 후기들이 쏟아졌다. [[https://theqoo.net/square/3010251394|#1]] [[https://fmkorea.com/6424594669|#2]] [[https://extmovie.com/movietalk/91676906|#3]] [[https://theqoo.net/square/3010622001|#4]] 배우들의 연기에 대한 호평이 많으며, 영화 속 소재가 소재다보니[* [[12.12 군사반란]]과 [[서울의 봄]].] 보는 동안 답답한 마음이 들 정도로 몰입이 되어 치가 떨렸고, 전두광의 행적에 분노했다는 관객들의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사실 전두광보다는 국방장관 [[노재현|오국상]]과 참모차장 [[윤성민|민성배]]의 트롤짓에 암걸릴뻔했다는 평가가 많다.] === 평론가 평점 === >'''권력이 영원할 줄 아는 사악한 바보들에게''' >---- >[[박평식]] ([[씨네21]]) (★★★☆) >'''검사의 봄에 되돌아보는, 뱀의 욕망이 낳은 탄식과 울분의 밤'''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씨네21]]) (★★★) >'''여러모로 아슬아슬하다''' >---- >안시환 ([[씨네21]]) (★★★☆) >'''‘어떻게 성공했지?’라는 궁금증과 하나회를 향한 분노가 왔다 갔다''' >---- >[[임수연]] ([[씨네21]]) (★★★☆) >'''‘전두광 영화’가 되지 않았다는 점이 놀랍다''' >---- >이유채 ([[씨네21]]) (★★★☆) >'''바둑을 오셀로로 뒤집으려는 병법의 하룻밤''' >---- >유선아 ([[씨네21]]) (★★★) == 흥행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15,632명 || 15,632명 || 미집계 || 142,236,000원 || 142,236,000원 || ||<|7> 1주차 ||2023-11-22. 1일차(수) || 203,814명 ||<|7> -명 || '''1위''' || 1,884,031,172원 ||<|7> -원 || ||2023-11-23.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11-24.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11-25.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11-26.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11-27.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11-28.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23-11-29.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11-30.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12-01.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12-02.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12-03.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12-04.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12-05.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23-12-06.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12-07.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12-08.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12-09.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12-10.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12-11.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12-12.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23-12-13.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12-14.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12-15.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12-16.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12-17.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12-18.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12-19.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219,446명, 누적매출액 2,026,267,172원'''[* ~ 2023/11/22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손익분기점은 '''460만 명'''이다. 아직은 비수기에 속하는 11월에 개봉하는 영화임에도 순제작비가 웬만한 텐트폴 영화를 상회하는 약 230억 원가량 들어갔다.[* 2023년 한국 영화 중 본작보다 높은 손익분기점을 책정받은 영화는 〈[[더 문(2023년 영화)|더 문]]〉, 〈[[비공식작전]]〉, 〈[[노량: 죽음의 바다]]〉 세 작품이며, 전부 여름과 겨울 성수기에 개봉하는 텐트폴 영화이다.] * 개봉 전 * 개봉 시기적으로 개봉 1주 전에 개봉한 〈[[프레디의 피자가게(영화)|프레디의 피자가게]]〉가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때에 개봉하며, 해당 작품은 물론 개봉일이 같은 〈[[사채소년]]〉보다도 월등히 높은 예매율로 보아 개봉과 함께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할 확률이 높다. 거기에 여럿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비슷한 장르의 영화 〈[[아수라(영화)|아수라]]〉를 제작한 [[김성수(1961)|김성수]] 감독의 전적, 주연 [[황정민]], [[정우성]]의 [[티켓 파워]], 개봉 이전 긍정적인 축의 사전 평가, IMAX 포맷 상영으로 소소하게 확보한 특별관 환경, 비슷한 시기의 한국 사회를 다뤘던 영화 〈[[1987(영화)|1987]]〉, 〈[[남산의 부장들]]〉, 〈[[택시운전사]]〉, 〈[[헌트(2022)|헌트]]〉가 좋은 흥행을 보였던 선례 등이 흥행의 요소라고 볼 수 있다. * 다만 460만 명이라는 높은 손익분기점을 가지고 있는데, 본 작품의 개봉 전까지 개봉한 2023년의 영화 중에서 해당 수치에 도달한 작품은 《[[슬램덩크]]》와 [[범죄도시 시리즈]]라는 IP를 각각 가지고 있던 〈[[더 퍼스트 슬램덩크]]〉와 〈[[범죄도시3]]〉, 전 세대를 아우르는 폭넓은 관객층이란 이점이 있던 애니메이션 영화 〈[[스즈메의 문단속]]〉과 〈[[엘리멘탈(애니메이션)|엘리멘탈]]〉, 관객 확보에 유리한 여름 성수기 텐트폴 영화 〈[[밀수(영화)|밀수]]〉뿐이다. 허나 전무한 IP, 관객층이 폭넓지 않은 장르, 비수기 영화로 이들의 이점이 하나 없는 입장이고, 이에 더해 고금리 및 물가상승 등에 의해 위축된 2023년의 경제 상황에 더해 상승한 티켓값과 한국 영화의 부진으로 인해 저하된 극장 소비심리, 더는 출연진과 감독의 명성에 기대어 흥행이 보증되지 않는 극장 상황으로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티켓 파워, 다음 주 차에는 보다 폭넓은 관객층을 갖고 있는 로맨스 코미디 영화 〈[[싱글 인 서울]]〉이 개봉해 해당 작품과 예정된 경쟁 등의 약점이 있어 손익분기점 돌파 달성은 결코 쉽지는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 예매 추이 * 개봉 16일 전인 11월 6일, 예매가 열린지 얼마 지나지 않아 예매율 5위권에 진입했다. * 개봉 14일 전인 11월 8일, 약 9%의 예매율로 〈[[더 마블스]]〉에 이어 예매율 2위로 올라섰다. 또한 배급사인 [[플러스엠]]이 체인으로 두고 있는 [[메가박스]]에서는 당일 저녁 즈음에 〈더 마블스〉를 제치고 예매율 1위를 달성했다. 다만 전체 예매율로는 〈더 마블스〉와 수 배의 차이가 있고,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가 주말이 다가옴에 따라 예매율을 다시 반등시키며 예매율 2위를 탈환함에 따라 2위 자리를 두고 해당 작품과 경쟁을 이어가는 등 등 아직 화력이 부족해 예매율 선두를 달성하기에는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개봉 10일 전인 11월 12일, 12시경에 3만 7천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15.8%의 예매율로 〈더 마블스〉를 제치고 예매율 1위를 달성했으며, 이후로도 주말 휴일이 끝나가는 영향으로 〈더 마블스〉의 예매 관객이 계속해서 줄어들자 상대적으로 예매율이 증가한 결과 19시경에 2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 개봉 4일 전인 11월 18일, 18시경에 3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 개봉 3일 전인 11월 19일, 15시 30분경에 4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 개봉 2일 전인 11월 20일, 1시 30분경에 10만 명의 예매 관객 수를 돌파했다. * 개봉 하루 전인 11월 21일, 10시경에 5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2023년 한국 영화가 50%의 예매율을 돌파한 것은 5월의 〈범죄도시3〉 이후 최초의 경우다. * 개봉일 자정을 기준으로 18만 6천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54.0%의 예매율로 7.6%로 2위에 있는 〈싱글 인 서울〉을 크게 따돌리며 예매율 1위를 기록했다. * 1주 차 * 같은 주 차의 주요 개봉작으로는 〈사채소년〉 등이 있으며, 이에 더해 CGV에서 특별관 프로모션으로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매드맥스: 분노의 도로]]〉를 재개봉한다. * 예매율 면으로 보았을 때 과반을 차지하는 데다가 다음 주 차에 개봉하는 작품을 제외하고 2%대의 예매율로 2, 3위에 있는 〈프레디의 피자가게〉, 〈사채소년〉을 크게 따돌리고 있어 압도적으로 박스오피스 선두 자리를 달성할 것이 확정적이다. 한편 예매 관객 수로는 개봉일 자정을 기준으로 24만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한 〈밀수〉의 3/4 정도인데, 해당 작품이 514만여 명의 성적을 기록한 것을 생각하면 단순 계산으로는 손익분기점인 460만 명까지 조금 화력이 부족하다. 더구나 전술했듯 〈싱글 인 서울〉의 존재로 2주 차에 입지가 일정량 감소할 것이 예고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관객을 독점할 수 있는 이 주 차에 얼마나 많은 관객을 끌어모으느냐에 따라 손익분기점 돌파의 여부가 갈리게 될 것이다.[* 〈밀수〉와 비슷한 관객 추이를 보인다 가정할 경우 1주 차에 200만 관객에 준하는 성적을 거둬야 한다.] * 개봉 첫날, 20만 3천여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1만 4천여 명으로 2위에 있는 〈프레디의 피자가게〉와 격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 주 차 동안 안정적으로 선두 자리를 유지할 것이 확정적이다. 한편 이 개봉일 관객 수는 〈밀수〉가 기록한 개봉일 관객 수 31만 8천여 명의 2/3 정도에 해당하며, 〈밀수〉와 비슷한 시기에 개봉했으며 최종 384만여 명의 흥행 성적을 거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개봉일 관객 수 23만여 명과 비교해도 소폭 낮은 수치다.[* 다만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개봉 7일차부터 [[오펜하이머(영화)|강력한 경쟁작]]과 맞붙은 끝에 나온 결과이기에 섣불리 비교하기는 어렵다.]토대로 보았을 때 아직까지는 손익분기점 돌파를 위한 화력이 부족하므로 개봉 이후 받고 있는 높은 평가를 바탕으로 한 입소문을 통해 관객들을 계속해서 끌어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래도 개봉이 이루어졌음에도 개봉 2일 차 자정까지 개봉일 자정 때의 예매 관객 수를 회복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전술한 입소문의 발생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2주 차 * 이 주 차의 주요 개봉작으로는 〈[[괴물(일본 영화)|괴물]]〉 ,〈싱글 인 서울〉 등이 있으며, 이에 더해 [[겨울왕국 시리즈]] 개봉 10주년을 기념해 〈[[겨울왕국]]〉, 〈[[겨울왕국 2]]〉, CGV에서 4DX 포맷 상영 기념으로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이 재개봉한다. == 기타 == * [[김성수(1961)|김성수 감독]]이 자신의 페르소나 [[정우성]]과 5번째로 협업하는 작품이다. 또한 김성수 감독의 전작인 [[아수라(영화)|아수라]]에 이어 [[황정민]]과 정우성이 또다시 서로를 적대하는 캐릭터를 맡았으며, 정우성은 바로 전에 출연한 시대극인 [[헌트(2022)|헌트]]에 이어 또 12.12 군사반란의 당사자인 전두환과 대립하는 역할로 출연하게 됐다. * 김성수 감독이 기자시사회에서 밝힌바에 따르면 12. 12 군사반란 당시 자신은 고등학생이었는데 마침 사건이 벌어졌던 [[한남동]]에 살고 있었다고 한다. 밤새도록 총소리가 나서 무섭기도 했지만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알 수가 없어 당시 호기심과 의문이 가득했었다고 밝혔다. 비록 본인이 시나리오를 쓴 작품은 아니지만 당시의 그 궁금증을 푸는 일종의 숙원사업 같은 느낌으로 작업에 임했다고 한다. * [[정우성]] 외에는 [[황정민]]과 [[정만식]]이 두 번째 협업이며. [[최병모]]와 [[박정학]]은 세 번째 협업이다.[* 둘 다 아수라에 씬스틸러로 출연했으며, 최병모는 그 이전에 [[감기(영화)|감기]], 박정학은 [[무사(영화)|무사]]에서 김성수 감독과 첫 인연을 맺었다.] 여담으로 최병모는 김성수 감독과 협업한 영화에서 모두 [[마지막에 성공하는 악당]] 캐릭터를 맡게 되었다.[* 감기: 최동치 분당 갑 국회의원, 아수라: 오철순 경기지검 부장검사, 서울의 봄: 도희철] * 비슷한 시기의 역사를 다룬 [[남산의 부장들]]이나 [[헌트(2022)|헌트]]와 마찬가지로 [[실제 인물이 모티브가 된 캐릭터|실존인물의 이름을 그대로 쓰지 않고 비슷한 가명을 쓰는 쪽]]을 택했다. 똑같이 독재정권 시기를 다뤘다가 개봉 이후에 [[명예훼손]] 등의 시비로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 등 여러 모로 시달린 [[그때 그 사람들]]의 전례가 있다보니, 본작을 포함해 최근의 많은 현대사 관련 작품들은 고의적으로 약간의 각색을 통해 실제 역사와 다소 떨어뜨려놓는 식으로 논란을 피하는 편이다. 예외가 있다면 실화 드라마를 표방했던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이 있는데 이쪽은 아예 5공 측 인사인 [[장세동]]과 [[허화평]]에게 감수를 받았다. * 물론 각색이 있었던들 '전두광'[* 이름의 광이 [[대머리]]를 떠오르게 하는 빛 광(光)이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미칠 광(狂)으로도 [[https://www.sportsw.kr/news/newsview.php?ncode=1065555415229876|해석]]할 수 있다.]은 [[전두환|누군지는 뻔하니]], 해당 인물의 생전 외모 특징인 [[대머리]]를 살리기 위하여 배역을 맡은 [[황정민]]도 대머리 특수분장을 하고 [[https://www.sportsseoul.com/news/read/1366984|등장]]했다.[* [[국제시장(영화)|국제시장]]에서도 볼드캡 위에 가발을 쓴 채로 노인 연기를 한 적이 있다.] 덕분에 실존인물이 좀 더 얼굴에 살이 붙어있는 것 빼고는 싱크로율이 엄청나다는 평을 받는다. 이에 따라 황정민의 출연작들 중에서 흔치 않은 대머리 상태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작품이 됐다. 그와 대립하는 이태신의 모델인 [[장태완]] 사령관 또한 생전에는 머리가 상당히 벗겨져 있었는데, 전두광과는 달리 이마를 벗기지 않고 담당배우인 정우성의 머리에 흰머리를 조금 추가하는 정도로 [[https://www.sportsw.kr/news/newsview.php?ncode=1065555415229876|각색]]했다. 12.12 반란 당시의 장태완 소장(1931년생으로 당시 40대 후반)의 경우 정수리 뒤쪽으로는 머리가 꽤 남아있는 편이었다. * 티저 예고편에서 공개된 주요 인물들의 모습은 대체적으로 호평이 많다. 우선 황정민이 분한 '전두광'은 말할 것도 없고 또다른 주요 인물인 [[정승화|정상호]]와 [[노태우|노태건]] 역시 싱크로율이 상당한 편. [[염동헌]]이 연기한 [[유학성]]은 빼다 박은 수준으로, 눈매는 물론 머리 스타일 모두 닮았다.[* 참고로 [[염동헌]]은 드라마 [[빛과 그림자]]에선 전두환을 모티브로 한 정장군 역을 연기한 바 있다. [[대머리]]라는 공통점이 있어 역시 싱크로율이 나쁘지 않았다. 서울의 봄이 유작이고 엔딩크레딧에 추모 문구가 적혀있다] 다만 정우성이 분한 [[장태완|이태신]]의 경우 외관상으로는 싱크로율이 많이 떨어지는 편이고 풍채가 좋은 최규하에 비해 정동환은 마른 체형이라 아쉽다는 반응이 많다. 물론 영화 자체가 실화를 기반으로 하긴 했어도 기본적으로 픽션을 추구하는 영화이고 동시기를 다룬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이나 [[남산의 부장들]]에서도 싱크로율이 떨어진다는 문제를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력으로 만회했던 바가 있다. * 작중 등장하는 군부대들도 적절히 각색을 거쳤는데, 공수여단들은 전부 짝수번호가 붙은 가상의 부대로 변경되었고, 수도경비사령부는 부대마크에 검은색 역삼각형[* [[서울의 봄(영화)/등장인물|서울의 봄 캐릭터 문서]]에 있는 강동찬의 사진을 자세히 보자.]이 더해지고 원래있던 검은 삼각형[* 흰색 검을 감싸고 있는 삼각형.]은 검은 테두리가 있는 노란색 삼각형으로 바뀌었다. 한편 영화 초반, 필동 사령부 본청 중앙현관 현판에는 현재 사용중인 부대마크가 그대로 들어가있다. * [[10.26 사건|바로 이전 시점]]을 다루는 [[남산의 부장들]]에서 [[박정희]] 역으로 나온 [[이성민(배우)|이성민]]은 이 영화에서는 [[정승화]]역으로 나온다. 두 배역 모두 당하는 쪽이라 약간 기분이 묘할 수 있다. 참고로 남산의 부장들에서는 [[정승화]] 육참총장이 장승호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여기선 정상호란 이름으로 나온다. 어느 이름이든 실제 인물을 짐작할 수 있게끔 변형시켰다. *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 이후 약 20년 만에 [[12.12 군사반란]]이 미디어화 되는 것으로, 당시의 현실을 얼마나 구현했는지, 역사적 사실을 어떻게 담아낼지가 주 관심사다. 제5공화국 방영 이후 12.12 쿠데타의 두 주역인 [[전두환]]과 [[노태우]]는 이미 세상을 떴지만[* 두 사람 모두 개봉 2년 전 한 달 간격으로 숨졌으며, 특히 이 영화의 개봉일은 전두환의 2주기 하루 전날이다.], 여전히 [[장세동]]이나 [[허화평]], [[정호용]], [[박희도]] 등 [[신군부]] 시절의 인사들 일부가 살아있기도 하고, 이들을 지지하는 세력도 남아있어 역사적, 정치적 이슈와 맞물리지 않을 수 없는 상황. 전두환을 미화해도, 비판적으로 바라봐도 어느 진영에서든 비난이 날아올 형국이다. 게다가 제5공화국처럼 제작진이 비판하는 입장에서 제작해도 [[이덕화|주연 배우의 연기]]만으로 이를 미화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잠재 요소도 있다.[* 다만 우렁찬 장군 스타일에 가까웠던 이덕화의 전두환과는 달리 예고편에서 공개된 황정민의 전두광은 늠름한 장군보다는 배우 본인이 이전에 연기했던 수리남에서 마약 카르텔 수장 겸 사이비 종교 교주 [[전요환]] 목사와 비슷하게 제정신이 아닌 악한 스타일이라 이런 논란은 없을 듯 하다.] 때문에 커뮤니티에선 농반진반으로 황정민 팬들은 자기배우가 연기를 잘해도 멋있다고 칭찬할 수 없는 영화란 말도 나온다. *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 이어 서울의 봄에서도 장태완을 모델로 하는 이태신 역의 정우성 또한 제5공화국에서 장태완 역을 맡은 [[김기현(성우)|김기현]]이 보여준 [[장포스]] 연기와 비교해 얼만큼의 호연을 보여줄 것인지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사실 정우성은 그간 연기 경력 중 격하게 화를 내거나 욕설을 퍼붓는 모습이 드물었는데 이 두가지 모두 필요한 장포스 연기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해하는 의견이 많다. 김성수 감독과 함께했던 아수라에도 욕지거리를 내뱉으며 화내는 장면이 많긴 했으나, 여기선 캐릭터 특성 상 쪼잔한 양아치의 푸념 정도로밖에 묘사되질 않았기에...] * 소품이나 당시 장비, 배경 구현 등에서 어느 정도의 완성도를 담아낼지 그 귀추가 주목되는데,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의 경우 배우들의 연기와는 별개로 아무래도 40부작이 넘는 드라마고 소품에 신경을 많이 쓰지 않던 2000년대였던 반면[* 다만 제5공화국은 당시는 물론이고 지금기준으로도 소품에 꽤나 신경을 많이 쓴 작품이다.], 이 영화가 개봉하는 2020년대 시점엔 영화 등지에서 사용하는 CG도 고도화됐고 자문을 위한 전문가, 소품, 무대 디자인 등에 있어 진일보했을 것으로 보인다. * 당초 [[안성기]]의 출연 소식이 기사로 전해졌으나 당시 혈액암 투병관계로 취소되었다. 그리고 [[박정희]] 대통령은 사진으로만 등장한다. 이러한 점을 보면 안성기가 박정희 대통령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로 출연할 예정이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관련 문서 == *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 *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 *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 * [[증발(영화)|증발]] * [[효자동 이발사]] * [[그때 그 사람들]] * [[남산의 부장들]] * [[하나회]] == 둘러보기 == [include(틀:필름마크)] [include(틀:시그니처 아트카드)] [include(틀:오리지널 티켓)] [include(틀:스페셜 티켓)] [각주] [[분류:2023년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한국의 역사 영화]][[분류:대한민국(20세기)/창작물]][[분류:한국의 정치 영화]][[분류:실화 바탕 영화]][[분류:12.12 군사반란]][[분류:한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한국의 느와르 영화]][[분류:한국의 액션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김성수(1961)]][[분류:IMAX로 상영한 한국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