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 내셔널리그/과거 참가 구단)]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엠블럼).svg|width=250]] || ||<-2> '''{{{#ffffff 서울시청}}}''' || ||<:><#ffffff> '''{{{#000000 정식 명칭 }}}''' ||<:> 서울시청 축구단 || ||<:><#ffffff> '''{{{#000000 영문 명칭 }}}''' ||<:> Seoul Football Club || ||<:><#ffffff> '''{{{#000000 소속 리그 }}}''' ||<:> [[한국 내셔널리그]] || ||<:><#ffffff> '''{{{#000000 창단 }}}''' ||<:> [[1976년]][* 1946년에 창단하여 1950년에 해체한 후 1976년에 재창단했다. 대한축구협회에서 인정하는 역사는 재창단부터다.] || ||<:><#ffffff> '''{{{#000000 해단 }}}''' ||<:> [[2003년]] || ||<:><#ffffff> '''{{{#000000 연고지 }}}''' ||<:> [[서울특별시]] || ||<:><#ffffff> '''{{{#000000 구단명 변천 }}}''' ||<:>서울시청 축구단 (1976~2003) || ||<:><#ffffff> '''{{{#000000 홈구장 변천}}}''' ||<:> [[동대문운동장]] (?~? / 23,500석)[br][[효창운동장]] (?~? / 15,194석)[br][[목동종합운동장#s-2.1|목동종합운동장]] (?~2003 / 15,511석) || ||<:><#ffffff> '''{{{#000000 구단 형태 }}}''' ||<:> [[시민 구단]] || ||<:><#ffffff> '''{{{#000000 최종 구단주 }}}''' ||<:> [[이명박]] (서울특별시장) || ||<:><#ffffff> '''{{{#000000 최종 대표이사 }}}''' ||<:> || ||<:><#ffffff> '''{{{#000000 최종 단장 }}}''' ||<:> || ||<:><#ffffff> '''{{{#000000 최종 감독 }}}''' ||<:> [[권오손]][* [[2003년]] 해체 당시 감독이었다.] || ||<:><#ffffff> '''{{{#000000 최종 주장 }}}''' ||<:> || ||<:><#ffffff> '''{{{#000000 용품 스폰서 }}}''' ||<:> || ||<:><#ffffff> '''{{{#000000 셔츠 프린팅 }}}''' ||<:> || ||<:><#ffffff> '''{{{#000000 상징색 }}}''' ||<:> || ||<:><#ffffff> '''{{{#000000 유니폼 }}}''' ||<:>홈 남색, 원정 흰색 || ||<:><#ffffff> '''{{{#000000 마스코트 }}}''' ||<:> || ||<:><#ffffff> '''{{{#000000 웹 사이트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를 연고로 했던 축구단. [[목동종합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한국 내셔널리그]]에 참가했다. == 역사 == 1946년에 창단했지만 [[한국전쟁]]의 여파로 1950년에 해체했다. 이후 1975년 1월 15일에 재창단했고 7월에 [[서울특별시청]]에서 [[박종환]]을 초대 감독으로 발표했다. [[2002년 FIFA 월드컵]]을 계기로 프로화를 추진했지만 서울특별시청에서 비인기 종목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저변이 넓은 축구단과 배구단을 해체하기로 결정하면서 2003년을 끝으로 해체했다고 흔히 알려져 있다. 여기에 [[FC 서울]] 안티들은 FC 북패 연고 이전을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음모론]]을 제기했는데, ~~[[서울특별시장]] [[이명박]]까지 포섭한 갓웅수 클라스.~~ '''실상은 전혀 다르다'''. 서울시청 축구단은 이름만 서울시청이었지 실제로는 [[서울시립대학교]]에 체육 특기생으로 진학한 선수로 구성한 구단이었다. 이는 같은 시기 해체한 [[서울시청 배구단]]도 동일했다. 그러나 체육 특기자 제도 개정으로 1999년 입학생을 마지막으로 체육 계열 학과가 없는 [[대학]]은 체육 특기생을 받지 못하게 되면서 선수 수급이 끊어졌다. 그 상태에서 기존 프로 및 실업 축구단에서 외면 당했던 선수를 받아들이는 형식으로 2003년까지 근근히 연명했던 것이다. 즉 1999년에 바로 해체해도 이상할 게 없는 상황이었다. 해체 이후 서울특별시에서 여자 축구단 창단을 결정하면서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이 서울시청 운영 축구단의 계보를 잇고 있다. [[이강조]] 前 [[광주 상무 불사조]] 감독, [[최인영]] 前 국가대표 골키퍼가 이곳 출신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청 선수단)] [[분류:서울시청 축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