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서초구의 초등학교)] ||<-2> '''{{{+2 서울반원초등학교}}}[br]서울盤元初等學校[br]Seoul Banwon Elementary Schoo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반원초등학교 교표.png|width=100%]]}}} || || '''교장''' ||김명실|| || '''교화''' ||목련|| || '''교목''' ||은행나무|| || '''개교''' ||[[1982년]] [[4월 6일]]|| || '''유형''' ||초등학교|| || '''성별''' ||남녀공학|| || '''운영형태''' ||공립|| ||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3길 28 ([[잠원동]])|| || '''홈페이지''' ||[[http://banwon.sen.es.kr/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반원초등학교, 너비=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 8학군]]에 있는 공립초등학교로 1982년 개교했다. 교훈은 '슬기로운 어린이, 성실한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다.[* 이전에는 '참되고 창의적이고 튼튼한 어린이'였다.] == 학교 연혁 == [[http://www.banwon.es.kr/custom/custom.do?dcpNo=20409|상세 연혁]] ||1981. 08. 05||서울반원국민학교 설립인가|| ||1981. 08. 05||초대 오수홍 교장 취임|| ||1981. 12. 18||'''학교 건물 준공''' (교실 28, 관리실 3, 화장실 8, 기타)|| ||1982. 02. 20||서울신동국민학교에서 남 835명, 여 828명, 계 1663명 인수|| ||1982. 04. 06||개교식 거행 (34학급)|| ||1984. 04. 06||제 1회 졸업식 거행 (남 194명, 여 177명, 계 371명)|| ||2000. 03. 06||학교 연못 준공|| ||2001. 11. 08||'''다목적실(강당) 개관'''|| ||2005. 02. 20||8개 교실 신축[* 후술한 것과 같이 이 건물이 신관 공사 중 1학년 학생들이 수업을 받았던 가건물이다.]|| ||2008. 06. 12||'''신관 준공''' (교실 16)|| ||2015. 03. 03||입학식 (남 120명, 여 132명, 계 252명)|| == 교훈 및 상징 == === 교표 === [[파일:서울반원초등학교 교표.png]] * 교표의 흰색 바탕: 하늘처럼 높고 푸른 꿈을 가슴에 품으라는 의미 * 교표의 직사각형과 원을 합친듯한 형태: 모두 손잡고 함께 배운다는 의미 * 흰색 반원: 티 없이 밝게 자라는 반원 어린이라는 의미 === 교훈 === * 슬기로운 어린이 * 성실한 어린이 * 튼튼한 어린이 === 교화 === * [[목련]] 붓 모양 눈꽃처럼 지혜를 가꾸고 꽃말이 나타내듯 은혜와 존경을 알며 맑고 향긋한 향기처럼 온 세상이 사랑을 나누는 어린이 === 교목 === * [[은행나무]] 노란 단풍처럼 밝게 생활하며 굵은 줄기처럼 튼튼하게 자라고 둥근 열매처럼 재능 있는 어린이 === 교가 === [[http://www.banwon.es.kr/custom/custom.do?dcpNo=20408|교가 듣기]] [[http://banwon.sen.es.kr/91725/subMenu.do|교가 일람]] > '''{{{+1 1절}}}''' > 관악산 맑은 정기 한 몸에 받고 > 굳세게 자라나는 보람의 터전 > 신반포 넓은 벌에 기상을 펴니 > 장하고 슬기롭다 우리 꽃동산 > 바르게 배우고 서로 도우며 > 튼튼하게 자라자 반원 어린이 >---- > '''{{{+1 2절}}}''' > 한강물 바라보며 마음을 닦고 > 새롭게 꿈을 펴는 희망의 터전 > 부지런히 배우고 힘을 길러서 > 우리나라 가꾸는 등불이 되자 > 바르게 배우고 서로 도우며 > 튼튼하게 자라자 반원 어린이 몇년간 1절만 틀었지만 현재는 교내방송에서 2절도 간간히 틀고있다. 2절의 교가 영상은 굉장히 오래되어 학생들 사이에서 일종의 '밈'화가 되었다 == 학교 시설 == === 현존하는 건물 및 시설 === * 본관: 1981년 12월 준공, 교실 28실, 관리실 3실, 화장실 8실이 있다. * 신관: 2008년 6월 준공, 교실 16실. 신관이 공사 중이던 시기(2005년~2008년)에는 1학년 교실이 운동장 동편(중앙하이츠 아파트 방면)의 가건물에 있었다. * 꿈마루(본관 뒷편): 2001년 준공, 강당 겸 체육관. 학교 체육 교과 수업이나 입학식, 졸업식 등의 행사를 치르는 곳으로 쓰인다. * 운동장: 과밀학급인 재학생들에 비해 작은 크기로 오랫동안 불평이 나오고 있다. * 다목적구장(신관 반대편 본관 끝쪽) 신관 공사가 완료된 후 철거된 임시 가건물 부지에 생긴 구장으로, 3개의 농구 골대가 존재한다. 이곳에서 다양한 체육활동이 이루어진다. * 다목적실: 학교 주차장에 있는 컨테이너 구조물로 전통악기를 배울 때나 강당을 사용할수 없는 때에 체육 수업을 위해 쓰인다. * 학습준비물실: 학교의 준비물을 다양하게 구비하고 있는 컨테이너 구조물이다. === 과거의 건물 및 시설 === * 밀레니엄 연못: 새천년을 맞이하여 본관 서측 앞쪽 화단에 작은 인공 연못을 조성하고 붕어를 기른 적이 있었으나 (2000년 3월) 몇 년 지나지 않아 관리가 잘 되지 않은 탓인지 연못 물이 썩고 물고기들이 죽어나가자 연못은 폐쇄되었다. == 학교 특징 == === MISO === > M: mind 인성 > I: intelligence 지성 > S: strength 체력 > O: originality 창의성, 독창성 MISO는 2021년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새로운 교육 목표로 학교 학년티[* 학년티는 1학년 노랑, 2학년 핫핑크, 3학년 연두, 4학년 주황, 5학년 보라, 6학년 검정으로 예전에는 반원티로 불렀으나 팔에 있던 반원로고가 미소로 바뀌며 미소티로 불리게 되었다.]와 독서기록장, 학교 문 스티커에서도 반원 로고를 MISO로 바꾸는 등의 변화를 불러일으켰는데, 이로 인해 학생들 사이에서는 반원초등학교가 아닌 미소초등학교라는 농담도 생겼다. == 출신 인물 == * 영화 평론가 겸 작가 방송인 [[허지웅]] * 배우 [[진세연]] * 프로골퍼 [[장하나(골프선수)|장하나]] * 가수 [[주헌]](몬스타엑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한신2차정문 정류장 : [[서울 버스 서초14]] * 고속터미널 정류장 : [[서울 버스 142]], [[서울 버스 143]], [[서울 버스 148]], [[서울 버스 345]], [[서울 버스 360]], [[서울 버스 361]], [[서울 버스 401]], [[서울 버스 452]], [[서울 버스 540]], [[서울 버스 640]], [[서울 버스 643]], [[서울 버스 0411]], [[서울 버스 3420]], [[서울 버스 4212]], [[서울 버스 4318]], [[서울 버스 5413]], [[서울 버스 6411]], [[서울 버스 8541]], [[서울 버스 서초10]], [[김포 버스 6427]], [[성남 버스 9007]], [[서울 버스 9408]], [[인천 버스 9500]], [[인천 버스 9501]], [[인천 버스 9802]], [[광역급행버스 M6427]] === 지하철 === *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 기타 == * 반원초등학교가 있는 부지는 원래는 한신공영 소유의 부지로 한신공영이 반포동 일대에 아파트를 대량으로 만들면서 학교 용지로 기부채납하기로 했던 부지였다. 하지만 한신공영은 반포동 아파트로 떼돈을 벌면서도 서울시와 약속했던 학교용지 기부채납을 피하기 위해 그 부지에 사립 학교들을 만드려고 학교법인 한신학원을 설립하는 꼼수를 부렸는데, 반원초등학교 또한 하마터면 가칭 한신초등학교(한신국민학교)[* 하지만 한신국민학교라는 교명은 그 당시에도 이미 다른 사립초등학교가 먼저 쓰고 있었기에 실제로 개교했으면 다른 교명을 썼을 가능성이 높다.]라는 사립 초등학교로 개교할 뻔 했으나 얼마못가서 한신공영의 꼼수가 덜미가 잡히면서 학교법인 한신학원은 해체되고 결국 약속했던 초등학교와 중학교 부지의 기부채납이 이루어지면서 공립학교로 개교하게 된 것이라고 한다. * 서로간의 존중을 배운다는 의미로 나이 상관 없이 재학생들은 모두 서로간의 대화에서 높임말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실제로 사용하는 학생들은 많지 않아 고학년이 될수록 규칙을 지키는 학생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 본관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만, 주로 교사들이 출근할 때 사용하며 재학생들은 부상 또는 교사의 허락하에 이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 학생들 사이의 미신은 없지만 학교를 침입하는 법은 이상할 정도로 상세하게 알려져 있다. * 미소티(학년티)는 대부분의 학년에서 안전을 위한 밝은 색감, 반팔, 로고 등의 이유로 외면되지만 6학년 학년티가 2022년 남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며 6학년에게만 사랑받고 있다. [[분류:1982년 개교]][[분류:서초구의 초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