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서울도시가스주식회사}}}'''[br]SEOUL CITY GAS CO.,LTD. || ||<-2> [[파일:서울도시가스 로고.svg|width=100%]] || || '''설립일''' ||[[1983년]] [[11월 28일]] || || '''업종''' ||연료용 가스 제조 및 배관공급업 || || '''대표자''' ||박근원, 김진철 || || '''기업구분''' ||[[중견기업]] || || '''상장여부''' ||상장기업 || ||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1995년]] ~ 현재) || || '''종목코드''' ||017390 || || '''시가총액''' ||'''1조 2,000억원'''^^(2022년 7월 29일 기준)^^ || || '''직원 수''' ||507명^^(2022년 3월 31일 기준)^^ || || '''자본금''' ||350억원^^(2021년 기준)^^ || || '''매출액''' ||연결: 1조 2,778억 4,447만 6,509원^^(2021)^^[br]별도: 1조 2,709억 5,575만 710원^^(2021)^^ || || '''영업이익''' ||연결: -49억 4,109만 4,915원^^(2021)^^[br]별도: -58억 993만 2,437원^^(2021)^^ || || '''순이익''' ||연결: 85억 4,087만 5,496원^^(2021)^^[br]별도: 80억 6,654만 1,039원^^(2021)^^ || || '''자산총액''' ||연결: 1조 6,626억 187만 6,033원^^(2021)^^[br]별도: 1조 6,395억 7,097만 8,438원^^(2021)^^ || || '''부채총액''' ||연결: 6,238억 3,058만 3,613원^^(2021)^^[br]별도: 6,161억 145만 123원^^(2021)^^ || || '''부채비율''' ||연결: 60.05%^^(2021년 기준)^^[br]별도: 60.20%^^(2021년 기준)^^ || ||<|2> '''자회사''' ||경기도시가스 || ||{{{#!folding 그 외 자회사 목록 보기 굿가든[br]지알엠[br]지알이에스[br]DER INC.[br]SCGAU PTY LTD.[br]SCG RESOURCES, Inc.[br]SHINE CHILE LTDA.[br]강서도시가스[br]남부도시가스이엔지[br]서현이엔지[br]서경에너지서비스[br]덕양도시가스서비스[br]은평도시가스이엔지[br]서부도시가스서비스[br]용산도시가스이엔지[br]유광에너지[br]일산도시가스이앤지[br]강북도시가스서비스[br]관악도시가스서비스[br]해피그린서비스[br]{{{-2 (2021년 12월 31일 기준)}}} }}} || ||<|2>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공항대로]] 607 ([[염창동]])[br]'''강화수련원'''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해안남로]] 842-10 (선두리)[br]'''충주한마음연수원''' -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가곡로]] 1654 (능암리) || ||{{{#!folding 지역지사 소재지 보기 '''서부지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공항대로]] 607 ([[염창동]])[br]'''남부지사'''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234 ([[상도동(서울)|상도동]])[br]'''강북지사''' - [[서울특별시]] [[은평구]] [[은평로]]9길 13, 3층 ([[응암동]], 캐스텔가든)[br]'''경기지사'''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경의로]] 797 ([[덕이동]]) }}} || || '''홈페이지''' ||[[https://www.seoulgas.co.kr|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5]] 서울도시가스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도시가스]] 업체로, '''도시가스 업체 중 가장 크다'''. 그리고 [[공기업]]이 아니라 '''[[사기업]]'''이다. 도시가스 업체중 두번째로 [[시가총액]]이 높다. 강화와 충주에 연수원이 있다. [[1970년]] 발족 당시에는 [[서울특별시]] 산하의 도시가스사업소였으나, [[1983년]] [[대성그룹]]에 불하되어 사기업으로 재창립되었다. 사실상 [[민영화]]. 자칫 이 때문에 [[대한민국 정부|정부]]에서 가스요금 억제드립을 못 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도시가스 사업법에 의해 사업의 허가를 받은 모든 사업자는 요금이나 그 밖의 공급 조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혹은 [[시장(공무원)|시장]] 및 [[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승인받은 사안을 변경하려고 할 때도 마찬가지. == 관할 구역 == 서울도시가스가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지역은 [[서울특별시]] 서부 지역[*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영등포구]], [[관악구]], [[동작구]], [[은평구]], [[마포구]] 전역 및 [[양천구]](목동 전역, 신정동, 신월동 일부. 나머지 지역은 귀뚜라미에너지), [[서대문구]](예스코 공급 권역인 충현동, 천연동을 제외한 전역), [[종로구]](부암동, 평창동 전역. 나머지 지역은 예스코), [[용산구]](청파동, 효창동, 원효로동, 용문동, 이촌동 전역, 한강로동, 서빙고동 일부. 나머지 지역은 예스코), [[서초구]](방배동 전역, 반포동, 잠원동, 서초3동 일부 등 [[반포대로]] 서쪽 지역. 나머지 지역은 [[코원에너지서비스]]) 지역]과 [[고양시]][* 위치는 [[덕이동]] 구 [[이마트 덕이점]] 건너편에 있다.], [[파주시]][* [[군사분계선|휴전선]] 인근인 장단, 군내, 진서면은 제외. 이 지역은 군사적 이유로 인해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는다.], [[김포시]][* 동 지역 및 고촌읍, 통진읍, 하성면 전역. 나머지 지역은 인천도시가스 관리.] 일원 지역이다. [[서울특별시]] 관내 도시가스 업체 중 첫번째,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전체 도시가스 공급업체 중에서는 2번째로 공급 지역 면적이 넓을 뿐 아니라[* 가장 넓은 업체는 삼천리. 그러나 삼천리는 서울특별시 관내에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서울 관내 업체로 한정하면 서울도시가스가 가장 공급 면적이 넓다. 참고로 수도권 업체 중 공급 면적이 가장 좁은 업체는 귀뚜라미에너지.] [[한강]] 이북과 이남 모두를 담당하는 유일한 업체이기도 하다.[* 참고로 수도권 관내 도시가스 공급업체 중 예스코(구 극동도시가스), 대륜E&S(구 한진도시가스)는 한강 이북 지역만, 삼천리, 인천도시가스, 귀뚜라미에너지(구 강남도시가스), 코원에너지서비스(구 대한도시가스)는 한강 이남 지역만 커버하고 있다.][* 워낙 관할구역 면적이 넓다 보니 관내 고객들 중 이름만 대면 알만한 유명 기관들도 많다. [[대한민국 국회의사당|국회의사당]]을 비롯하여, [[국립중앙박물관]], [[대한민국 기상청|기상청]], [[이북 5도|이북5도위원회]], [[국립국어원]], [[국립암센터]], [[금융감독원]], [[한국산업은행]], [[KB국민은행]], 주요 철도역([[용산역]], [[영등포역]], [[행신역]]), 지상파 방송 4사([[한국방송공사|KBS]], [[MBC]], [[SBS]], [[한국교육방송공사|EBS]]) 및 일부 민영방송([[기독교방송]], [[극동방송]], [[불교방송]], [[원음방송]] 등), 대학교([[서울대학교|서울대]], [[연세대학교|연세대]], [[이화여자대학교|이화여대]], [[숙명여자대학교|숙명여대]], [[홍익대학교|홍익대]], [[중앙대학교|중앙대]], [[서강대학교|서강대]], [[숭실대학교|숭실대]], [[상명대학교|상명대]], [[명지대학교|명지대]], [[추계예술대학교|추계예대]], [[한국항공대학교|항공대]],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가톨릭대 성의교정]], [[중부대학교|중부대]] 고양캠퍼스 등), [[대한민국/정당/목록#s-1.1|대한민국 3대 원내정당]]([[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한겨레|한겨레신문사]], [[국민일보]], [[TBS 교통방송]], [[YTN]], [[JTBC]], [[LG U+|LG유플러스]], [[롯데제과]], [[유한양행]], [[삼일제약]], [[부광약품]], [[아모레퍼시픽]], [[동서식품]], [[농심]], [[한샘]], [[효성그룹]], [[세아그룹]], [[애경그룹]], [[BYC#s-1]], [[지학사]], [[경방 타임스퀘어]], [[파크원]], [[용산전자상가]], [[헤이리 예술마을]], [[국립극단]], [[국립중앙도서관]], [[김포국제공항]], [[KINTEX|킨텍스]], [[한국거래소]] 서울사옥, [[서울월드컵경기장]], [[노량진수산시장]], [[국립서울현충원]], [[서울특별시교육청|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교직원공제회]], [[삼일교회]], [[온누리교회]](서빙고캠퍼스만 해당. 양재캠퍼스는 [[코원에너지서비스]] 관할.), [[사랑의교회]](서초역에 위치한 신관 SGMC(Sarang Global Ministry Center)만 해당. 구 강남예배당은 [[코원에너지서비스]] 관할.), [[여의도순복음교회]] 등등... 단, [[청와대]]와 [[서울특별시청]], [[서울역]]은 예스코의 공급 권역이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공영 차고지]] 중 [[강서공영차고지(서울)|강서공영차고지]], [[상암공영차고지]], [[은평공영차고지]] 및 [[진관공영차고지]]에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2000년대]] 이후 도시가스의 최대 수요처 중 하나인 [[시내버스]] 업체 중 [[공항버스(버스회사)|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동해운수]], [[보광교통]], [[서부운수]], [[선진운수]], [[신길교통]](신월1동 본사. 부천영업소는 인천도시가스 관할), [[신수교통]], [[신촌교통]], [[영인운수]], [[우신운수]]([[방배동]] 본사만 해당, 풍납영업소는 [[코원에너지서비스]] 관할),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여객(서울)|제일여객]], [[중부운수]](문래영업소. 본사는 귀뚜라미에너지 관할), [[한국brt]](진관영업소만 해당. [[송파공영차고지]] 본사는 [[코원에너지서비스]], 도봉영업소는 대륜E&S 관할), [[한남여객운수]], [[현대교통(서울)|현대교통]](이상 서울), [[가온누리엠]], [[고양교통]], [[명성운수]], [[서울여객(고양)|서울여객]], [[선진버스]](일산영업소. 나머지 영업소는 인천도시가스 관할) [[신성교통]], [[신일여객(파주)|신일여객]], [[파주선진]](이상 [[경기도|경기]]) 등이 이 회사의 고객업체들이다. 참고로 [[난곡공영차고지]]는 이 회사의 관할이지만, 주민들의 반발로 인해 충전소가 설치되지 않았다.] == 모기업 == [[1983년]] [[민영화]] 이후 [[대성그룹]]의 계열사였으나, [[2001년]] [[대성그룹]] 창업주 해강(海崗) [[김수근(기업인)|김수근]] 회장이 별세한 후 3형제 분할에 따라 SCG그룹으로 계열분리되었지만 아직 대성그룹이 2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이 회사의 [[최대주주]]는 '서울도시개발(주)'이다. == 지배 구조 ==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서울도시개발 || 26.27%||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성그룹|대성홀딩스]] || 22.60%||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자기주식]] || 22.35%||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김영민 || 11.54%|| 회장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피델리티]] || 5.98%||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우리사주조합 || 1.68%||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로우랜드서비스 || 0.34%||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서울도시미디어 || 0.01%|| || ||<-2> 2022년 3월 기준 || == 오너 일가 == * 김두윤 / 妻 기묘임 * 1남 [[김수근(기업인)|김수근]] {{{-2 (1916 ~ 2001)}}} 대성그룹 창업주 / 妾 여귀옥 {{{-2 (1923 ~ 2006)}}} 대한기독교여자절제회 회장 * 1남 [[김영대(기업인)|김영대]] {{{-2 (1942 ~ )}}} [[대성산업]] 회장 / 妻 차정현 {{{-2 (1949 ~ )}}}[* 차영조 변호사의 딸.] * 1남 김정한 {{{-2 (1972 ~ 2016)}}} 前 라파바이오 대표이사 / 妾 전성은 {{{-2 (1972 ~ )}}}[* 전경호 서한모방 회장의 딸.] * 2남 김인한 {{{-2 (1973 ~ )}}} 콜로라도대 정치학과 교수 / 妾 이내리 {{{-2 (1978 ~ )}}} * 3남 김신한 {{{-2 (1975 ~ )}}} [[대성산업]] 사장 / 妾 한조희 {{{-2 (1981 ~ )}}}[* 한상렬 중앙에너비스 회장의 딸.] * 2남 김영민 {{{-2 (1945 ~ )}}} 서울도시가스 회장 / 妻 민명옥 {{{-2 (1950 ~ )}}}[* 前 민유봉 유화증권 사장의 딸.] * 1녀 김은혜 {{{-2 (1980 ~ )}}} 서울도시가스 교육기획팀장 * 1남 김요한 {{{-2 (1982 ~ )}}} 서울도시가스 부사장 * 2남 김종한 {{{-2 (1989 ~ )}}} 서울도시가스 기획팀장 * 1녀 김영주 {{{-2 (1948 ~ )}}} 대성그룹 부회장 / 夫 신현정 {{{-2 (1945 ~ )}}} 내과 전문의 * 2녀 김정주 {{{-2 (1949 ~ )}}} [[대성에너지|대성홀딩스]] 부회장 * 3남 김영훈 {{{-2 (1952 ~ )}}} [[대성에너지|대성홀딩스]] 회장 / 妻 김정윤 {{{-2 (1969 ~ )}}}[* [[김홍도(목사)|김홍도]] 前 금란교회 목사의 차녀.] * 1남 김의한 {{{-2 (1994 ~ )}}} * 1녀 김은진 {{{-2 (1997 ~ )}}} * 2녀 김의진 {{{-2 (2000 ~ )}}} * 3녀 김은정 {{{-2 (2010 ~ )}}} * 3녀 [[김성주(1956)|김성주]] {{{-2 (1956 ~ )}}} [[MCM(브랜드)|성주그룹]] 회장 / --夫 딘 고달드-- * 1녀 김지혜 {{{-2 (1990 ~ )}}} [[MCM(브랜드)|성주디앤디]] 글로벌 이커머스 이사 * 2남 김의근 前 모토닉 회장 / 妻 양제선 {{{-2 (1925 ~ )}}} * 1남 김영준 * 2남 김영봉 {{{-2 (1953 ~ )}}} 모토닉 회장 / 妻 김혜옥 * 3남 김영목 {{{-2 (1956 ~ )}}} 모토닉 이사 / 妻 홍은주[* 홍대식 前 산업은행 부총재의 딸.] * 3남 김문근 前 대성광업개발 회장 / 妻 김정희 * 1남 김영범 {{{-2 (1950 ~ )}}} 대성MDI 회장 * 2남 김영돈 == 기타 == [[2001년]] [[9월]] '2001 한국산업 고객만족도 1위 기업'이 되기도 했다. [[분류:대성그룹]][[분류:대한민국의 에너지 관련 기업]][[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계 기업]][[분류:민영화된 공기업]][[분류:1983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