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강남구의 초등학교]][[분류:1979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초등학교)] ||<-2> '''{{{+1 서울대도초등학교}}}[* '대도'는 대치와 도곡을 합친 말에서 유래했다.][br]서울大道初等學校[br]Seoul Daedo Elementary School''' || ||<-2> [[파일:서울대도초등학교 교표.pn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대도초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79년]] [[9월 30일]] || || '''성별''' || [[남녀공학]] || || '''운영형태''' || [[공립]] || || '''교장''' || 이선옥 || || '''상징''' || 교목: [[은행나무]][br]교화: [[개나리]] || || '''관할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209 || || '''홈페이지''' || [[http://sdaedo.sen.e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슬기롭게 떳떳하게 씩씩하게 >----- >교훈 서울대도초등학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강남 8학군]] [[공립]] 초등학교이다. == 학교 연혁 == * '''1979''' * 09.30 서울대도초등학교 설립인가 * 10.10 초대 류종호 교장 취임 * '''1980''' * 03.27 서울대도초등학교 개교 * '''1997''' * 대도체육관 개관 * '''2006''' * 신관건물 준공(일반 9실, 특별 3실) * '''2008''' * 12.04 학교공원화사업(가로수 숲길) 완성 * '''2009''' * 03.01 대도 도서관 개관 * '''2015''' * 03.01 제 12대 강학구 교장 부임 * '''2016''' * 08.16 과학실 리모델링 공사 * '''2017''' * 02.17 제 37회 졸업식(389명) * 03.02 과밀학급 해소로 인한 학교 건물 증축 허가받음 * 09.01 제 13대 홍경희 교장 부임(54학급) * '''2018''' * 02.06 학교 건물 증축 완료 * 02.13 제 38회 졸업식(404명) * '''2020''' * 12.31 교육과정 운영 우수학교(교육장) * '''2023''' * 02.15 제 43회 졸업식(419명) * 03.02 2023학년도 입학식(245명) == 상징 == * 교화 [[개나리]] : 대도어린이를 강한 [[생명력]]을 뜻하는 개나리에 비유함 * 교목 [[은행나무]] : 웅장하고 아름다우며 선비의 곧은 기상과 고상한 기품을 상징[* 라고 말하기는 하지만 실제로 학생들에게는 가을에 고통을 주는 나무일 뿐이다.][* 그런데 정말 서울대도초등학교 정문에서 나가서 오른쪽으로 육교 있는 쪽으로 향하면 은행나무가 있고,--왠지 더-- 냄새가 좀 심한 편이다.] === 교가 === ||1절) [[매봉산]] [* 강원도 영월군에 있는 해발 1,279m의 매봉산과는 다른 산이다. 이 매봉산은 서울특별시 도곡동에 위치해 있으며 높이는 173m 정도 된다.] 양지 쪽에 포근히 안겨 한티벌 너른- 들은 바라보면서 즐겁게[* 이걸 안 즐겁게로 바꾸는 학생들이 있다.] 공부하고 노래 부르며 뛰어난 우리 슬기 길러나가자 2절) [[구룡산]]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에 있는 높이 370m 산과는 다르다. [[구룡터널]]이 뚫린 산으로 생각해보자.] 높이 솟아 굽어보는곳 정답게 오손도손 서로도우며 바르고 의젓하게 어서자라서 가슴을 활짝 펴고 떳떳이걷자 3절) [[양재천]] [* 경기도 과천시 별양동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즉 대도초등학교가 있는데 쯤에서 탄천과 합류하며 끝난다.] 맑은 물이 흐르는곳에 새마음 힘찬 용기 용솟음친다 튼튼한 몸과 마음 갈고닦아서 새롭고 씩씩하게 뻗어나가자 (후렴)대도는 우리학교 우리의 자랑 성실한 마음으로 꿈을 키우자|| == 학교 특징 == 학교건물이 3개다. 가장 큰 건물은 ㄱ자 모양이고, 개교 당시부터 있었다. 그 다음은 2006년 완공한 신관건물이 있다. 마지막으로 2018년 완공한 신관건물이 있다. == 학교 시설 == === 학교적 목적 교실 === * 등사실 * 숙직실 * 교무실 * 방송실 교장 훈화 말씀을 해서 각 반마다 있는 교실의 텔레비전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 행정실 * 교장실 교장이 있다. * 회의실 * 교과실 === 강당 === 1997년에 설립되어 매우 오래되었으며, 겨울에는 난방이 제대로 안 되어 매우 춥다. 심지어 방과후 수업[* 오케스트라] 때에는 에어컨이랑 난방이 중앙제어가 되어 있어 켜자마자 꺼지는 놀라운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가끔 네 모서리에 있는 에어컨 속에 배드민턴 공이 들어가기도 한다. === 다목적실 === 다목적실의 예전 이름은 영어체험실이었다. 그런데 이름이 바뀐 뒤에도 English Theater이라는 말이 아직도 남아 있다. 붙어 있는 책상이 부러져 있는 의자가 대부분이며 외부 강사의 강연이나 학예회 등을 할 때에 쓰인다. 여담으로 책상은 의자와 붙어있고, 돌려서 올리는 식이다. === 운동장 === 예전에는 운동장이 매우 넓었지만... 2018년 완공된 신축 건물 공사로 인하여 운동장 크기가 많이 줄어들었다. 여담으로 서울대도초등학교는 가끔씩 장기자랑을 하는데, 운동회도 하기는 한다. 이때 운동장을 뛰는 게 있는데 조금 좁아서 문제가 되었다... === 컴퓨터실 === 컴퓨터실 1, 2가 있다. 일주일에 한 번씩 수업시간에 쓰이고 수업시간에는 아이들이 몰래 인터넷을 하거나 SNS를 하는 경우가 많다. 컴퓨터 방과후 수업을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 과학실 === 2개가 있다. 사실 바로 옆에 붙어 있어[* 사시에 준비실 하나가 붙어 있다.]슬라이드도 있는 꽤 좋은 과학실인데 실험할 때 책상 유리 사이에 모래가 좀 껴 있다.하지만 쓸 만 하다. === 놀이 교실과 돌봄 교실 === * 놀이 교실 애들만 놀 수 있는 공간이어서 나이가 꽤 있는 학생들은 갈 수 없다. 교장의 훈화 말씀 때 프레젠테이션에 나오며 자기 반 친구들에게 정체가 탄로 났다 카더라. * 돌봄교실 이것도 사용할 수 잇는 연령이 있다.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만화책과 쿠키런 만화책이 있고, 꽤 깨끗하며 바닥은 다른 교실과 다르게 실내화를 신을 필요가 없어서 좋다. 노는 것 빼고 가끔씩 작은 수업을 듣는다. === 준비물실 === * 과학 준비실 말 그대로 과학 준비물실을 제공받는 곳. * 학습 준비물실 교사들이 준비하지 못한 학습 준비물을 제공받는 곳. 보통 애들이 심부름으로 다닌다. * 창고 준비물실(?)이라고 하기는 좀 그렇지만 학생들이 마신 우유를 관리하는 곳이다. 매일 아침 자전거를 타고 우유 배달원이 온다. === 도서실 === 역시 2주일에 한 번씩 국어시간에 가서 책을 읽는다. 현재는 신관건물로 옮겨간 상태이다. 도서실에서는 세계 책의 날 행사 때 책갈피를 만들거나 책에 대해 소개하는 글을 쓰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이제 '글빛 도서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넓고 슬라이드도 있다. 한쪽 방에는 2층 다락방도 있다. === 화장실 === 그.러.나. 2017~2018년에 화장실 공사를 해서 화장실이 매우 깨끗해졌다![* 그전에는 매우 더러웠으니 신기한 일. 예전에 모 교장이 일주일에 한 번씩 아침방송을 할 때마다 화장실 얘기만 했을 정도로 심각한 상태였다] === 정문과 후문 === 보통 [[도곡렉슬]]에서 학생들이 많이 오는데, 내리막길로 오면 사실 후문이 많이 사용된다. 후문에서 계단으로 내려가면 대나무 숲이 있다. 후문에서 계단으로 내려가지 않고 앞으로 쭉 직진하는 방법이 있긴 한데, 지름길이지만 차가 있어서 교장이 몇 학생만 사용가능하게 한다. 정문에는 보안관실과 사람 하나 들어갈 수 있는 공중 전화기 크기의 도서관과 밴치가 있다. == 출신 인물 == * [[가린]] * [[김지영(1974)|김지영]] * [[돈지덕]] * [[박정민(SS501)|박정민]] * [[송혜교]] * [[이진]] * [[서주원(카레이서)|서주원]]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 중대부고(23-220/23-233) || [[서울 버스 242|242]], [[서울 버스 472|472]], [[서울 버스 2415|2415]], [[서울 버스 3414|3414]], [[서울 버스 3426|3426]], [[서울 버스 4432|4432]], [[경기광주 버스 G3202|G3202]] || || 숙명여고(23-329)[br]군인공제회관 (23-227) || [[서울 버스 2413|2413]], [[서울 버스 3414|3414]], [[서울 버스 402|402]], [[서울 버스 4319|4319]], [[서울 버스 N37|N37]], [[공항버스 6009|6009]], [[안양 버스 11-3|11-3]],[[안양 버스 917|917]],[[경기광주 버스 G3202|G3202]] || || 도곡역(23-219/23-228) || [[서울 버스 2413|2413]],[[서울 버스 402|402]], [[서울 버스 4319|4319]], [[서울 버스 N37|N37]], [[서울 버스 강남10|강남10]], [[공항버스 6009|6009]], [[안양 버스 11-3|11-3]], [[안양 버스 917|917]] || === 지하철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도곡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분당선]]: 도곡역 == 기타 == * 원래는 학교 종소리가 보케리니 미뉴에트였다. 보케리니 미뉴에트가 나오면서 n교시가 시작되었습니다라는 음성이 나오나 2016년 2학기~2017년 1학기에 바꾸었다. * 간혹 말장난으로 [[서울대학교|서울대]]'''도''' [[초등학교]]라는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https://pgr21.com/pb/pb.php?id=humor&no=65106|#]][[https://twitter.com/instiz/status/819916800221532160|##]][[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8656107|###]] * 2017년 초, 2014년생 졸업식에 [[이은재(정치인)|이은재]] 국회의원이 와서 이 학교를 위해 예산 몇억을 마련했다고 말한 바가 있다. 실제 그 해에 신관의 공사가 시작되었다. * 전교생이 2157명이다. 주변의 초등학교와 비교하면 엄청나게 많은데, 2018학년도 기준으로 1학년은 7반, 2학년은 7반, 3학년은 9반, 4학년 12반, 5학년은 11반, 6학년은 12반까지 있다. 따라서 전체 58학급으로, '''과밀학급이다.''' 2016년에는 학급 당 인원이 평균 37.3명이었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436103|#]] 그래서 정부에게 민원을 넣었지만, 원래 학교는 학생을 안 받을 수 없다. '''서울에서 가장 학생이 많은 학교'''. == 외부 링크 ==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sdaedo|디시인사이드 - 서울대도초 마이너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