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분류:서울과학기술대학교]]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대학별 학부)] [include(틀:서울과학기술대학교)] [include(틀: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단과대학)] [목차] == 개요 == ||<-12>{{{#!wiki style="margin: -10px"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흰색 심볼.svg|width=60]]]]||[[서울과학기술대학교|[[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흰색 로고타입.svg|height=14]]]][br]{{{#!wiki style="margin: -2px -0px" {{{+2 {{{#fff '''학부'''}}}}}}}}} ||}}} || ||<-1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20D14, #ba000c, #ba000c, #920D14)" }}}|| ||<-4> {{{#ffffff '''공과대학'''}}} ||<-4> {{{#ffffff '''정보통신대학'''}}} ||<-4> {{{#ffffff '''에너지바이오대학'''}}} || ||<-2> {{{#000,#ffffff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2> {{{#000,#ffffff '''기계·자동차공학과'''}}} ||<-2> {{{#000,#ffffff '''전기정보공학과'''}}} ||<-2> {{{#000,#ffffff '''전자공학과'''}}} ||<-2> {{{#000,#ffffff '''화공생명공학과'''}}} ||<-2> {{{#000,#ffffff '''정밀화학과'''}}} || ||<-2> {{{#000,#ffffff '''안전공학과'''}}} ||<-2> {{{#000,#ffffff '''신소재공학과'''}}} ||<-2> {{{#000,#ffffff '''스마트ICT융합공학과'''}}} ||<-2> {{{#000,#ffffff '''컴퓨터공학과'''}}} ||<-2> {{{#000,#ffffff '''환경공학과'''}}} ||<-2> {{{#000,#ffffff '''식품공학과'''}}} || ||<-2> {{{#000,#ffffff '''건설시스템공학과'''}}} ||<-2> {{{#000,#ffffff '''건축학부'''}}} ||<-4> ||<-2> {{{#000,#ffffff '''안경광학과'''}}} ||<-2> {{{#000,#ffffff '''스포츠과학과'''}}} || ||<-4> {{{#ffffff '''조형대학'''}}} ||<-4> {{{#ffffff '''인문사회대학'''}}} ||<-4> {{{#ffffff '''기술경영융합대학'''}}} || ||<-2> {{{#000,#ffffff '''디자인학과'''}}} ||<-2> {{{#000,#ffffff '''도예학과'''}}} ||<-2> {{{#000,#ffffff '''행정학과'''}}} ||<-2> {{{#000,#ffffff '''영어영문학과'''}}} ||<-2> {{{#000,#ffffff '''산업공학과'''}}} ||<-2> {{{#000,#ffffff '''MSDE학과'''}}} || ||<-2> {{{#000,#ffffff '''금속공예디자인학과'''}}} ||<-2> {{{#000,#ffffff '''조형예술학과'''}}} ||<-4> {{{#000,#ffffff '''문예창작학과'''}}} ||<-4> {{{#000,#ffffff '''경영학과'''}}} || ||<-4> {{{#ffffff '''창의융합대학'''}}} ||<-4> {{{#ffffff '''미래융합대학'''[br]{{{-2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fff 평생교육 단과대학}}}]])}}}}}} ||<-4> {{{#ffffff '''교양대학'''}}} || ||<-2> {{{#000,#ffffff '''인공지능응용학과'''}}} ||<-2> {{{#000,#ffffff '''지능형반도체공학과'''}}} ||<-2> {{{#000,#ffffff '''융합기계공학과'''}}} ||<-2> {{{#000,#ffffff '''건설환경융합공학과'''}}} ||<-2> {{{#000,#ffffff '''인문사회교양학부'''}}} ||<-2> {{{#000,#ffffff '''자연과학부'''}}} || ||<-4> {{{#000,#ffffff '''미래에너지융합학과'''}}} ||<-2> {{{#000,#ffffff '''헬스피트니스학과'''}}} ||<-2> {{{#000,#ffffff '''문화예술학과'''}}} ||<-4> {{{#000,#ffffff '''융합교양학부'''}}} || ||<-4> ||<-2> {{{#000,#ffffff '''영어과'''}}} ||<-2> {{{#000,#ffffff '''벤처경영학과'''}}} ||<-4>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학부를 설명하는 문서. 각 단과대/학부의 교육인증/교직과정/복수학위 과정 개설 상황은 아래와 같다. * 공과대학은 [[공학교육인증]](ABEEK) 기준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건축학부는 [[건축학교육인증]](KAAB) 기준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경영학과는 [[경영교육인증]](KABEA) 기준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조형대학 소속 학과들과 신소재공학과, 정밀화학과, 식품공학과는 [[교직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시각디자인프로그램과 조형예술학과는 미국 [[School of Visual Arts]](SVA)의 복수학위 취득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MSDE학과와 ITM전공은 영국 [[노섬브리아 대학교]](NU)의 복수학위 취득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GTM전공은 미국 몽클레어 주립대(MSU)의 복수학위 취득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목록 ==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공과대학|공과대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공과대학)] [[https://engineer.seoultech.ac.kr/#|홈페이지]] || [[파일:st공대.png|width=100%]] || ||
{{{+1 {{{#FFFFFF '''공과대학'''}}}}}} ^^{{{#FFFFFF College of Engineering}}}^^|| ||<:><#fff,#191919>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br]{{{-2 기계정보공학프로그램 · 기계설계자동화공학프로그램}}} || ||<:><#fff,#191919> 기계·자동차공학과[br]{{{-2 기계공학프로그램 · 자동차공학프로그램}}} || ||<:><#fff,#191919> 안전공학과 || ||<:><#fff,#191919> 신소재공학과 || ||<:><#fff,#191919> 건설시스템공학과 || ||<:><#fff,#191919> 건축학부[br]{{{-2 건축공학전공 · 건축학전공}}} || >공과대학은 미래의 과학기술 및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유능한 인재를 배출함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창의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 전공지식응용능력과 종합적 설계능력, 정보지식 습득 능력과 국제화사회에 대한 적응 능력을 갖춘 공학도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는 실무교육중심대학이다. > >공과대학은 주로 기계계열학과와 건축건설계열학과로써 1개 학부(건축학부)와 5개 학과(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외 4개), 5개 계약학과(기계설비공학과외 4개), 1개의 대학행정실과 공학교육혁신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수 118명, 교직원 40여명, 학생 4,995여 명이 소속되어 있는 공학교육의 전당이다. 4년제 공과대학이 배출한 인력은 40,000여명으로 회사, 연구소, 정부 및 그 산하기관의 중견인사로서 우리나라 산업 및 경제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정보통신대학|정보통신대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정보통신대학)] [[https://ice.seoultech.ac.kr/|홈페이지]] ||
[[파일:st정통대.png|width=100%]] || ||
{{{+1 {{{#FFFFFF '''정보통신대학'''}}}}}} ^^{{{#FFFFFF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fff,#191919> 전기정보공학과|| ||<:><#fff,#191919> 전자공학과 || ||<:><#fff,#191919> 스마트ICT융합공학과 || ||<:><#fff,#191919> 컴퓨터공학과 || >정보통신대학은 미래의 과학기술 및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유능한 인재를 배출함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창의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 전공지식 응용능력과 종합적 설계능력, 정보지식 습득능력과 국제화사회에 대한 적응능력을 갖춘 공학도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는 실무교육중심대학이다. > >정보통신대학은 전기․전자․정보통신과 IT융합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전문인재 양성이라는 교육목표아래 설립되었으며 , 기존의 전기공학과, 전자정보공학과, 컴퓨터공학과, 매체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를 사회수요에 적합한 전문인력 양성 구조로 체제 전환하여 현재 전기정보공학과, 전자IT미디어공학과(전자공학전공, 미디어IT전공), 컴퓨터공학과 3개학과와 4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 >미래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하는 공학이론을 바탕으로 실무중심과 전공강화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실용적 창의력을 발휘하는 인재를 육성하고 있으며, 수요지향적 공학교육체계를 추구하여 공학교육의 내실화를 도모하고 시대적 환경변화에 부응하는 교육으로 다양한 산업 및 공공 현장에서 공헌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에너지바이오대학|에너지바이오대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에너지바이오대학)] [[https://nature.seoultech.ac.kr/|홈페이지]] ||
[[파일:st에바대.png|width=100%]] || ||
{{{+1 {{{#FFFFFF '''에너지바이오대학'''}}}}}} ^^{{{#FFFFFF College of Energy and Biotechnology}}}^^|| ||<:><#fff,#191919> 화공생명공학과 || ||<:><#fff,#191919> 정밀화학과 || ||<:><#fff,#191919> 환경공학과[br]{{{-2 환경공학전공 · 환경정책전공}}} || ||<:><#fff,#191919> 식품공학과 || ||<:><#fff,#191919> 안경광학과 || ||<:><#fff,#191919> 스포츠과학과 || >에너지바이오대학은 화공생명공학과, 정밀화학과, 환경공학과, 식품공학과, 안경광학과, 스포츠과학과 등 6개 학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학과에서는 전통적인 과학분야인 물리, 화학, 생명과학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실생활과 과학기술 분야에 밀착된 응용과학을 연구·교육하는 단과대학이다. > >에너지바이오대학 학생들은 각 전공에서 기초과학을 실제 문제에 적용하여 실용성 있게 응용하는 과정을 배우게 되며, 각 전공분야에서 탄탄한 과학적 기초와 현장 적응능력을 가진 우수한 과학기술 인력이 되도록 교육받고 있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조형대학|조형대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조형대학)] [[https://and.seoultech.ac.kr/|홈페이지]] ||
[[파일:st조형대.png|width=100%]] || ||
{{{+1 {{{#FFFFFF '''조형대학'''}}}}}} ^^{{{#FFFFFF College of Art and Design}}}^^|| ||<:><#fff,#191919> 디자인학과[br]{{{-2 산업디자인전공 · 시각디자인전공}}} || ||<:><#fff,#191919> 도예학과 || ||<:><#fff,#191919> 금속공예디자인학과 || ||<:><#fff,#191919> 조형예술학과 || >조형대학은 지난 40여년간 디자이너 및 조형예술인력을 지속적으로 배출하여 우리나라 산업전반에 크게 기여해온 전통 있는 대학이다. 국내는 물론이며 국제적인 경쟁력 또한 갖춘 산업디자인 및 조형분야의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는 미래지향적인 대학이다. > >창조적인 조형능력과 더불어 국제적인 감각과 지식을 갖춘 전문 고급 인재를 육성하기 위하여 조형대학은 산학협력을 근간으로 하는 교육특성화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각종 국내외 공모전 수상을 비롯하여 높은 취업률 등의 교육성과를 올렸으며, 대학교육협의회 2001년도 디자인 학문분야 평가에서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된바 있다. 조형대학은 2007년에 한국디자인학회와 함께 국제디자인학술대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특히 7개국 18개 대학과 국제대학교류전 및 산학협동프로젝트전 등을 통하여 국내외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인문사회대학|인문사회대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인문사회대학)] [[https://human.seoultech.ac.kr/|홈페이지]] ||
[[파일:st인사대.png|width=100%]] || ||
{{{+1 {{{#FFFFFF '''인문사회대학'''}}}}}} ^^{{{#FFFFFF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ff,#191919> 행정학과 || ||<:><#fff,#191919> 영어영문학과 || ||<:><#fff,#191919> 문예창작학과 || >인문사회대학은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의 기초학문을 연구·교육하는 단과대학이다. 학과로는 사회과학 분야인 행정학과, 인문학 분야인 영어영문학과와 문예창작학과 등 3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학과마다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대처할 수 있는 기초 및 전공과목이 개설되어 있고, 다양한 전공을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기자재, 컴퓨터 실습실, 어학실, 시청각실, 교양자료실, 첨단강의실 등이 구축되어 있다. > >인문사회대학은 다양한 구성만큼이나 다양한 학문의 색깔을 가지고 있다. 자유로운 연구 풍토 속에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학구열로 각 분야의 독특한 학문세계를 섭렵하면서 진리 탐구의 열망이 가득 찬 열린 소통의 장으로 이루어진 곳으로 지적 종합능력을 키워주는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의 학문을 교육하여 우리 사회를 선도할 인적 자원을 양성하고 있다. > >인문사회대학은 순수 학문의 교육뿐만 아니라 그 학문의 응용과 실용화 교육에도 힘을 쏟고 있다. 그리하여 인문사회대학에서는 우리사회가 필요로 하는 높은 수준의 실용적인 지식 습득이 가능하다. 인문사회대학은 진정한 학문의 참 맛을 깨달을 수 있는 곳이며, 인간으로서의 이상 실현이라는 원대한 꿈을 키워나갈 수 있는 따뜻한 보금자리이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기술경영융합대학|기술경영융합대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기술경영융합대학)] [[https://sgc.seoultech.ac.kr/|홈페이지]] ||
[[파일:st기경대.png|width=100%]] || ||
{{{+1 {{{#FFFFFF '''기술경영융합대학'''}}}}}} ^^{{{#FFFFFF College of Business and Technology}}}^^|| ||<:><#fff,#191919> 산업공학과[br]{{{-2 산업정보시스템전공 · ITM전공}}} || ||<:><#fff,#191919> MSDE학과 || ||<:><#fff,#191919> 경영학과[br]{{{-2 경영학전공 · GTM전공}}} || >기술경영융합대학은 폭넓은 학제적 지식기반 위에 국가의 미래 신산업 창출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제공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산업공학과(산업정보시스템전공, ITManagement전공)와 MSDE학과 및 경영학과(경영학전공, 글로벌테크노경영전공)로 구성되며, MSDE학과와 ITM전공은 영국 Northumbria University와, 글로벌테크노경영전공은 미국 Montclair State University, Pittsburg State Univeristy와 복수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산업공학과는 첨단공학(IT, NT와 BT)과 경영이 융합된 기술 분야에서 실용적 전문성과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양성한다. MSDE학과는 21세기 융합기술과 스마트 정보화 사회를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며, 경영학과는 인문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경영학 분야뿐만 아니라 첨단기술 분야에 경영연구를 적용하여 창의적인 역량을 지닌 인재를 양성한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창의융합대학|창의융합대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창의융합대학)] [[https://cccs.seoultech.ac.kr/|홈페이지]] ||
[[파일:st창융대.png|width=100%]] || ||
{{{+1 {{{#FFFFFF '''창의융합대학'''}}}}}} ^^{{{#FFFFFF College of Creativity and Convergence Studies}}}^^|| ||<:><#fff,#191919> 인공지능응용학과 || ||<:><#fff,#191919> 지능형반도체공학과 || ||<:><#fff,#191919> 미래에너지융합학과 || >창의융합대학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교육 목적으로 두고 있으며, 정부의 미래인재 양성정책[* 인공지능, 바이오헬스 등 미래 첨단 21개 분야 등과 관련한 학과 신·증설을 통한 교육부의 인재 집중 양성 정책 추진[br](해당 분야 : D.N.A.(Data, Network, AI) + BIG3(미래차, 바이오헬스, 시스템반도체) 등)]에 따라 2021년 신설된 인공지능응용학과(신입생 60명)와 2022년 신설 예정인 지능형반도체공학과, 미래에너지융합학과 등으로 이루어진 첨단 학문분야 중심의 단과대학이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미래융합대학|미래융합대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미래융합대학)] [[https://m-disciplinary.seoultech.ac.kr/|홈페이지]] ||
[[파일:st미융대.png|width=100%]] || ||
{{{+1 {{{#FFFFFF '''미래융합대학'''}}}}}} ^^{{{#FFFFFF College of Multidisciplinary Studies toward Future}}}^^|| ||<:><#fff,#191919> 융합기계공학과 || ||<:><#fff,#191919> 건설환경융합공학과 || ||<:><#fff,#191919> 헬스피트니스학과 || ||<:><#fff,#191919> 문화예술학과 || ||<:><#fff,#191919> 영어과 || ||<:><#fff,#191919> 벤처경영학과 || >미래융합대학은 창의의 정신을 바탕으로 학문의 이론과 실무응용방법을 연구하고 교육하며 도덕적 품성과 사회수요 맞춤 전문지식을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 국가와 사회발전과 인류의 번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양질의 대학교육을 받기를 희망하는 특성화고 졸업 재직자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융합적 학문 교육을 실시한다. === 교양대학 === ||
[[파일:st교양대.png|width=100%]] || ||
{{{+1 {{{#FFFFFF '''교양대학'''}}}}}} ^^{{{#FFFFFF College of Liberal Arts}}}^^|| ||<:><#fff,#191919> 인문사회교양학부 || ||<:><#fff,#191919> 자연과학부 || ||<:><#fff,#191919> 융합교양학부 || >교양대학은 학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기초 교양 교육을 담당하는 단과대학이다. 교양대학은 소관하는 교양교육 및 학문기초 영역의 학문분야에 따라 인문사회교양학부, 자연과학부, 융합교양학부로 구성된다. 인문사회교양학부에서는 기초교양 영역인 글쓰기와 의사소통과 창의와 인성을 비롯하여, 3개 영역으로 이루어진 핵심 교양강좌를 담당하고, 자연과학부에서는 주로 이공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학, 물리학 및 컴퓨터 관련 교과목과 일반 교양으로 자연과학, 인공지능 관련 교양 강좌들을 개설 및 관리한다. 융합교양학부에서는 교양 공통 필수 과목인 창의적 사고를 담당하고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 교양 교과목 및 군사학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다양한 영역의 교양 강좌를 개설 운영함으로써 역사, 철학, 문화, 사회과학, 자연과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수학, 물리학, 컴퓨터 등 전공과 관련된 기초적 학문능력을 배양하는 데 교육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 >교양대학은 다양한 구성만큼이나 다양한 학문의 색깔을 가지고 있다. 자유로운 연구 풍토 속에서 각 분야의 독특한 학문세계를 섭렵하면서 진리 탐구의 열망이 가득 찬 열린 소통의 장으로 이루어진 곳이다. 그리고 철학, 역사, 정치학, 사회학, 교육학, 문학, 예술 ,수학, 물리학 등의 폭 넓고 깊이 있는 교양교육을 토대로 하여, 21세기가 요구하는 창의적 융합형 인재 교육을 지향함으로써 우리 사회를 선도할 인적 자원을 양성하고 있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사제도#s-4|연계융합전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사제도, 문단=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