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노원구의 초등학교]][[분류:1979년 개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노원구의 초등학교)] ||<-2> {{{#f5f5f2 {{{+4 '''서울공릉초등학교 '''}}}}}}[br]{{{#f5f5f2 {{{+1 '''서울孔陵初等學校 '''}}}}}}[br]{{{#ffd700 '''Gongrung Elementary School'''}}} || ||<-2> [[파일:공릉초 로고.png|width=100%]] || || {{{#f5f5f2 '''교훈'''}}} ||{{{#ffd700 ''' 생각하는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 협동하는 어린이'''}}}[br]{{{#ffd700 ''''''}}} || ||<-2>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공릉초등학교, 너비=100%)] || || {{{#f5f5f2 '''개교'''}}} ||{{{#51626f,#90a1ae ''' 1979년 4월 4일'''}}}[br]{{{#ffd700 ''''''}}} || || {{{#f5f5f2 '''설립형태'''}}} ||{{{#51626f,#90a1ae ''' 공립 '''}}}[br]{{{#ffd700 ''''''}}} || || {{{#f5f5f2 '''위치'''}}} ||{{{#51626f,#90a1ae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3길 12 '''}}}[br]{{{#ffd700 ''''''}}} || || {{{#f5f5f2 '''교목'''}}} ||{{{#51626f,#90a1ae '''은행나무 '''}}}[br]{{{#ffd700 ''''''}}} || || {{{#f5f5f2 '''교화'''}}} ||{{{#51626f,#90a1ae ''' 목련 '''}}}[br]{{{#ffd700 ''''''}}} || || {{{#f5f5f2 '''학생수'''}}} ||{{{#51626f,#90a1ae ''' 369명 (남 180명, 여 189명) '''}}}[br]{{{#ffd700 ''''''}}} || || {{{#f5f5f2 '''교원수'''}}} ||{{{#51626f,#90a1ae ''' 29명 (남 5명, 여 24명) '''}}}[br]{{{#ffd700 ''''''}}} || || {{{#f5f5f2 '''링크'''}}} ||{{{#51626f,#90a1ae ''' [[https://gongrung.sen.es.kr/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br]{{{#ffd7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공릉초등학교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3길 12에 소재한 [[공립]] [[초등학교]]이다. == 학교 연혁 == * 1978년 12월 2일 : 서울공릉초등학교 설립인가 * 2012년 12월 17일 : 통일교육 연구학교 우수학교 표창 (통일부장관) * 2013년 12월 30일 : 2013 독서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2013년 12월 31일 : 진로교육 우수학교 서울특별시 교육감 표창 * 2014년 3월 7일 : 2013 학교평가 우수학교 서울특별시 교육감 표창 * 2014년 11월 28일 : 숲사랑소년단 운영 우수학교 표창 * 2014년 12월 30일 : 독서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2015년 8월 3일 : 후관 냉난방기 및 LED 교체, 석면텍스 제거 * 2015년 9월 30일 : 교실 외벽 도색 공사 * 2015년 10월 24일 : 온새미로길 조성 * 2016년 3월 1일 : 이중언어 강사 배치 (중국어) * 2016년 9월 10일 : 운동장 배수로 공사 및 주차장 설치 * 2016년 9월 22일 : 교문 및 구령대, 축구골대 교체 설치, 후관 교실 도색 * 2016년 9월 29일 : 행복마중물 한마당(운동회) 개최 * 2016년 12월 30일 : 진로교육, 학부모 학교참여, 식생활 개선 우수교 교육감 표창 * 2017년 3월 30일 : 전통장 선도학교 운영 * 2017년 6월 15일 : 후관 담 벽화 조성 * 2017년 9월 15일 : 복도 양치대 설치 및 계단 핸드레일 교체 * 2017년 9월 29일 : 지혜샘터 준공 및 개관식 * 2018년 1월 4일 : 학생 책걸상 교체 * 2018년 3월 2일 : Wee 클래스 설치 * 2018년 6월 18일 : 음악실 환경 개선사업 * 2019년 1월 28일 : 학교교육 내실화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상징 == === 교목 === * [[은행나무]] 수명이 길고 휴식처를 제공함, 면학 분위기 조성, 푸른 줄기처럼 단단하고 꿋꿋함, 교육의 내실화 === 교화 === * [[목련]]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것처럼 부지런히 생각하고 협동하는 어린이가 되어 고운 꿈을 펼치자는 뜻을 담고 있음 === 교가 === [[파일:서울공릉초등학교 교가.png]] == 출신 인물 == * [[정웅인]] * [[홍성흔]]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공릉초등학교/태릉입구역/공릉1동삼익아파트(11103·11104·11105·11106·11107·11108·11117·11901)'''}}}}}} || ||<-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5|{{{#ffffff 10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46|{{{#ffffff 146}}}]]}}}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32|{{{#ffffff 113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35|{{{#ffffff 113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41|{{{#ffffff 114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55|{{{#ffffff 115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221|{{{#ffffff 122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113|{{{#ffffff 211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114|{{{#ffffff 2114}}}]]}}} || || [[마을버스(서울)|{{{#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노원03|{{{#ffffff 노원0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노원04|{{{#ffffff 노원0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노원13|{{{#ffffff 노원13}}}]]}}} || ||<-2> '''경기도 시내버스''' || ||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fff 직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red; font-size: .95em" [[포천 버스 3100|{{{#ffffff 31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red; font-size: .95em" [[포천 버스 3500|{{{#ffffff 35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red; font-size: .95em" [[포천 버스 3600|{{{#ffffff 3600}}}]]}}} || || {{{#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65-1|{{{#ffffff 65-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구리 버스 75|{{{#ffffff 7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76|{{{#ffffff 7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115|{{{#ffffff 115}}}]]}}} || || {{{#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82|{{{#ffffff 82}}}]]}}} ||}}} === 지하철 ===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태릉입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