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위치한 계남초등학교, other1=본교와 이름이 같은 초등학교 목록, rd1=계남초등학교)] [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양천구의 초등학교)] ||||
'''{{{+1 서울계남초등학교}}}[br]서울桂南初等學校[br]Seoul Gyenam Elementary School''' || |||| [[파일:서울계남초등학교 교표.png]] || |||| [include(틀:지도, 장소= 서울계남초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79년]] [[5월 6일]] || || '''유형''' || [[초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운영 형태''' || [[공립]] || || '''교장''' || 류영순 || || '''교훈''' || 참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슬기롭게 자라자 || || '''학생 수''' || 777명[br](남 382명 , 여 395명)[*기준 2021년 10월 21일] || || '''교직원 수''' || 53명[br](남 7명 , 여 46명)[*기준] || ||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강서양천교육지원청]] || || '''주소'''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2길 54[br]([[신정동(양천구)|신정동]] 325-7) || || '''홈페이지''' || [[https://gyenam.sen.es.kr/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양천구)|신정7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이다. == 연혁 == [[파일:서울계남초 연혁(2021).bmp|width=60%]] == 학교 상징 == [[파일:서울계남초 상징.jpg|width=60%]] === 교가 === [[파일:서울계남초 교가.jpg|width=60%]] == 학교 시설 == === 운동장 === 학교 운동장에 우레탄 육상 필드, 농구대가 있다.[* 우레탄은 사라지고 지금은 모래밖에 없다.] === 도서실 === 1층 계단 앞에 도서관이 있다. 이름은 책꿈터. === 보건실 === 말 그대로 보건실. 침대 구역과 진료실이 있다. --가는 길이 좀 멀다.-- 그래도 5학년 5반이면은 가깝다. == 출신 인물 ==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서울 지하철 2호선]] [[양천구청역]] 2번 출구로 나와서 걸어오면 된다. 모르겠으면 [[서울 버스 6617]]을 타고 봉영여중목동고 에서 내려서 걸어오자. 계남초등학교 정류장: [[서울 버스 5712]], [[서울 버스 6515]][* 고척파크푸르지오 편방향], [[서울 버스 6516]] 양천노인종합복지관 정류장[* 학교 근처에 있다.]: [[서울 버스 6614]] 목동아파트 1102동 정류장[* 학교 근처에 있다.]: [[서울 버스 양천04]] 봉영여중목동고 정류장: [[서울 버스 6617]] == 여담 == [[목동아파트]] 11단지 1112동~1119동에서는 길을 건너지 않고 올 수 있다. 학교 이름인 계남은 주변의 계남공원[* 신정산, 장수산이라고도 불린다. 구 부천군 계남면 고척리, [[부천시]]와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에도 계남초등학교가 있다.]에서 유래한 듯 하다.[* 부지 일부가 원래는 부천군 계남면 고척리의 일부였으나, 일부가 신정동으로 편입된 것으로 보인다. 부천 계남초등학교와 같은 구지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분류:1979년 개교]][[분류:양천구의 초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