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수도(행정구역)|수도]](首都)'의 [[순우리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도(행정구역))] 원래 '''"서울"'''이라는 말은 '''"수도"''' 라는 말의 [[고유어]]로써 생겨난 단어다. 그래서 '''"[[京]]"'''이라는 한자도 '''"서울 경"'''이라고 읽으며 [[서경별곡]] 등에서 보면 '서경이 '''서울'''이지마는'이라는 표현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 [[미국]]의 서울은 '[[워싱턴 D.C.]]'이다. * [[영국]]의 서울은 [[런던]]이다. * [[독일]]의 서울은 [[베를린]]이다. 이렇게 써도 이것들이 전부 다 '''맞는 표현이다.''' 지금의 '''"서울특별시"'''도 '''"[[한양]]"'''을 '''"서울"'''이라고 부른게 현대에 굳어져서 이렇게 [[고유명사]]로 [[고유명사가 된 보통명사|굳어진 것]]이다. 그래서 "[[대한민국]]의 서울은 서울([[특별시]])이다."도 틀리지 않은 말이다. == [[서울특별시]] == * [[대한민국]]의 [[수도(행정구역)|수도]] [[서울특별시]]. 원래 서울이란 말이 위의 뜻이긴 하지만 한양을 서울이라고 부른게 현대에 굳어지는 바람에 지금은 서울이라고 하면 이 도시를 뜻하게 되었다. 현재는 원도심인 [[서울 한양도성]]에서 한강을 넘어 확장된 덕분에 부도심이자 [[백제]]의 옛 서울이었던 [[위례성]]도 물론 포함되어 있다. == 노래 == * [[쏜애플]]의 2016년 곡 - [[https://www.youtube.com/watch?v=4H2G9NWVo3Q|뮤직비디오 링크]] * [[볼빨간사춘기]]의 미니앨범 - [[Seoul(볼빨간사춘기)]] * [[대한민국]]의 [[가수]] - [[서울(가수)]] * [[하상욱]]의 시집 - 서울시 == 기타 == === [[스타워즈]]의 지명 === [[항성]] 서울과 [[행성]] '서울 5'로 이루어진 [[서울 행성계]], 혹은 토착민을 줄여서 부르는 단어. === [[테헤란]]에 있는 거리 이름 === [[파일:8411181.jpg]] 이란 [[테헤란]] 시의 히야반 쎄울(خیابان سئول)[* IPA로는 [xij̄ɑˈbɑn seˈʔ̟ul\]이다.]을 한국인들이 '서울 거리'라고 부른다. 실제로 이 거리명은 한국의 수도 서울특별시에서 따온 이름이다. 히야반(خیابان)은 페르시아어로 거리라는 뜻이다. 이는 서울에 있는 [[테헤란로]]에 대응되는 이란의 거리이다. 다만 서울특별시의 테헤란로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초라한 편이다. === 2002년에 제작된 일본 영화 === [[파일:fq2pWtK.jpg]] 2002년에 제작된 일본 영화. [[최민수]], [[나가세 토모야]] 주연. 2002년 한일국민교류의 해를 기념하여 만든 영화이다. 한류열풍 이전의 시대인지라 한국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탓인지 한국 경찰조직에 대한 고증이 개판이다. 특이한 점은 [[서울특별시|서울]]을 배경으로 한 영화인데 촬영지는 100% [[경기도]] [[평택시]]라는 점. === 2006년에 제작된 한국 영화 === [[파일:gosuXca.jpg|width=320]] 2006년에 제작된 한국 영화. [[로마]]의 거리를 세계적으로 알린 [[로마의 휴일]]의 서울 버전을 노리고 만들었다고 하지만, 실제로 보면 영화라기 보다는 그냥 서울 홍보용 프로모션 비디오 수준. === [[대한민국]]의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조기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기열)] === 이용의 곡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78e37, #2c552a, #000)" {{{+1 '''{{{#!html 서울}}}'''}}}[br]Seoul}}} || ||<-3> [youtube(Skhk87eFG2U, height=250)] || || '''가수''' ||<-2>[[이용(가수)|이용]] || || '''수록 음반'''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478e37, #2c552a, #000); font-size: .9em" [[이용 지구전속 제1집|'''{{{#!html 이용}}} {{{#2a96c6 지구전속 제1집}}}''']]}}} || || '''발매일''' ||<-2>[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982년]] [[3월 17일]] || || '''재생 시간''' ||<-2>3분 40초 || || '''장르''' ||<-2>[[발라드]] || || '''작사''' ||<-2>[[박건호]] || || '''작곡''' ||<-2>[[이범희]] || ||<|2>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8270db 금}}}{{{#10e8e2 영}}}{{{#8270db 엔터테인먼트}}}]]''' ||1688 || || '''[[TJ미디어|{{{#ec6100 TJ}}}{{{#000,#fff 미디어}}}]]''' ||93962 || [clearfix] 1982년에 가수 [[이용(가수)|이용]] 1집 앨범에 수록된 곡. 가사가 묘하게 국가 홍보의 성격을 띄는지라 [[건전가요]] 같지만 건전가요는 아니다. [[https://youtu.be/5HMiG2OPmmc|들어 보자.]] 노래 가사는 아래와 같다. || - 1절 - [[종로]]에는 사과나무를 심어보자 그 길에서 꿈을 꾸며 걸어가리라 [[을지로]]에는 감나무를 심어보자 감이 익을 무렵 사랑도 익어가리라 (후렴) 아아아아 우리의 서울 우리의 서울 거리마다 푸른 꿈이 넘쳐흐르는 아름다운 서울을 사랑하리라[* 후렴구는 [[LG 트윈스]][[LG 트윈스/응원가#s-1.2.1|의 응원가]]로도 사용되고 있다.] - 2절 - 빌딩마다 온갖 새들을 오게하자 지저귀는 노래소리 들어보리라 거리거리엔 예쁜 꽃을 피게하자 꽃이 피어나듯 사랑도 피어나리라 (후렴) 아~ 아~ 아아~ 우리의 서울 우리의 서울 거리마다 푸른 꿈이 넘쳐흐르는 아름다운 서을을 사랑하리라 - 3절 -[* [[https://youtu.be/ErZvI7BMlzs|1988년에 리레코딩된 버전]]에만 들어있다. 리레코딩 버전은 원곡과 달리 개사된 부분이 꽤 있다. 원곡은 2절 이후 1절이 반복된다.] 강변마다 울창한 숲이 우거지면 연인들이 속삭이며 걸어가리라 [[동작대교]]가 도심으로 이어지면[* 그러나 실제로는 용산에 주둔한 [[미8군]] 기지 때문에 도심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동작대교]] 항목 참조. 따라서 이 구절은 미군철수의 때를 의미한다는 NL식 해석이 있다. ] 다시 태어나는 서울은 낭만의 도시 (후렴) 아아 아아아 우리의 서울 우리의 서울 거리마다 푸[* 딱 이 지점에서 끊어서 [[곰돌이 푸]]를 소환하는 [[허무송]]이 있다.]른 꿈이 넘쳐흐르는 아름다운 서울을 사랑하리라 || 이 노래는 1997년 [[15대 대선]] 때 [[이회창]] 후보 로고송으로 리메이크됐는데, 가사는 다음과 같다.([[https://youtu.be/5QjbO_ATIv0|참고 영상]]) ||이번에는 깨끗한 사람 선택해요 (기호 1번! 기호 1번 이회창!) 그와 함께 힘찬 한국 헤쳐 나가요 건강후보 기호 1번을 선택해요 (기호 1번! 기호 1번 이회창!) 이회창과 함께 미래를 열어나가요 아아 아아 깨끗한 정치 튼튼한 경제 기호 1번 이회창을 대통령으로 우리 모두 선택해요 이회창으로 || [[분류:동음이의어]][[분류:순우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