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세훈)]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 padding: 12px;" {{{+1 이 건축물은 아직 건설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건설되지 않은 건축물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1 서울 트윈아이(가칭)}}}'''[br] Seoul Twin Eye(쌍둥이 눈)[*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1204000677|#]]]}}}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트윈아이.jpg|width=100%]]}}}|| ||<:> '''{{{#000 종류}}}''' || 대관람차 [br] 공연장 및 전시장 등[* [[https://news.koreadaily.com/2023/12/02/society/generalsociety/20231202195505388.html|#]]] || || '''{{{#000 주소}}}''' ||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마포구]] 증산로 32, 너비=100%, 높이=200px)]}}} ---- [[서울특별시]] [[마포구]] 증산로 32 [br] [[평화의 공원]] || || '''{{{#000 총 사업비}}}''' || 9102억원 || || '''{{{#000 착공}}}''' || 미정 || || '''{{{#000 개장}}}''' || 미정 || || '''{{{#000 운영 기간}}}''' || 30년 || || '''{{{#000 캡슐 개수}}}''' || 64개 || || '''{{{#000 규모}}}''' || 지름 180M, 높이 40M[* 즉 최고높이 '''220M'''. 현재 서울 강북지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보다 살짝 낮은 높이다.] [* 공연 및 전시장(전용 1만3126㎡), 편의시설(전용 7853㎡), 기타시설(전용 2296㎡), 레저시설(분수, 짚라인, 모노레일 등)] || || '''{{{#000 동시탑승인원}}}''' || 1440명 || || '''{{{#000 소유주}}}''' || 미정 || || '''{{{#000 운영}}}''' || 미정 || || '''{{{#000 사업 추진}}}''' || 서울 트윈아이 컨소시엄[* [[서울주택도시공사]], 더리츠 외 3개 사][* 민간투자법상 최초 제안자] || || '''{{{#000 설계사}}}''' || [[오세훈]] 서울시장 [br] 희림건축사사무소 [br] 유엔스튜디오 [br] ARUP || || '''{{{#000 시공사}}}''' || [[SK에코플랜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트윈아이.jpg|width=100%]]}}}|| ||<:>{{{-1 입면 조감도[* [[서울월드컵경기장]] 상공 약 130m(40m + 90m)에서 바라보는 방향, 성산대교가 대관람차를 가로지르는 모습을 조망할 수 있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윈아이.jpg|width=100%]]}}}|| ||<:>{{{-1 상공 조감도[* [[마포구]] 상공에서 바라보는 방향, 정면의 망원나들목, 성산대교북단, 성산나들목, 한강공원, 성산대교 조망이 가능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 트윈아이.jpg|width=100%]]}}}|| ||<:>{{{-1 외부 조감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바라보는 방향, [[서울월드컵경기장]]과 주차장 조망이 가능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 트윈아이2.jpg|width=100%]]}}}|| ||<:>{{{-1 외부 조감도[* [[하늘공원]]에서 [[망원동]], [[성산동(서울)|성산동]]을 바라보는 방향, 호수와 분수, [[서울월드컵경기장]]과 주차장 조망이 가능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 트윈아이3.jpg|width=100%]]}}}|| ||<:>{{{-1 내부 조감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윈아이 내부2.jpg |width=100%]]}}}|| ||<:>{{{-1 캡슐 내부 조감도[* [[여의도]] 방향, 평화의공원에서 여의도까지 약 5km의 거리로 홍보용 조감도처럼 여의도 스카이라인이 확대되어 크게 보일 가능성은 매우 적어보임, 대신 입면 조감도의 강남 건물들 크기로 보일 것으로 예상됨]}}} || * '''서울 트윈아이'''(Seoul Twin Eye)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공원|평화의공원]] 내 평원에 건설될 예정이며, 세계에서 처음으로 고리가 교차하는 트윈 힐 형태로 설계된 대관람차를 포함한 복합문화시설이다.[* [[하늘공원]]과 서울 트윈아이를 연결하는 [[짚라인]]도 포함될 것으로 보임] * 설계 변경 없이 건설될 경우 지지대가 없는(Spokeless) 형태의 대관람차로는 세계 최대 규모이며, 고리가 교차하는 트윈 휠 형태로는 세계 최초이다.[* 정면에서는 O, 측면에서는 X로 보이는 대관람차[[https://www.youtube.com/shorts/Lf5NcgQ7OKk|#]]] 계단식 마름모꼴의 건물 위에 지어서 세계 최고 높이로 지어질 예정이다. * 서울시가 공개한 조감도들에 따르면, 정면에는 망원나들목, 성산대교북단, 성산나들목 도로들이 위치하며, 후면에는 호수와 분수, [[서울월드컵경기장]] 주차장이 위치한다. 좌측에는 마포구가 있으며 우측에는 평화의공원 일부가 위치한다. * 대관람차 캡슐(capsule)은 총 64개로 한 주기당 1천440명이 동시 탑승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지상 40m까지 대관람차를 들어 올려 경관을 최대한 확보하고, 하부는 공연, 전시장, 편의시설, 레저시설 등 전시문화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진행 과정 == === 트윈아이 추진 이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천년의 문)]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링)] === 서울 트윈아이 컨소시엄 제안서 제출 ===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68023|상암 평화의공원에 서울 랜드마크 대관람차 본격화…제안접수]] 2023년 12월 3일, 서울시가 서울 트윈아이(가칭) 컨소시엄이 서울시에 제출안 제안서를 토대로 상암 월드컵공원 내 평화의공원에 대관람차, 공연장 및 전시장, 분수, 편의시설 등을 포함한 복합문화시설 '서울 트윈아이'(가칭)를 조성하기로 하고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서울 트윈아이 컨소시엄'''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더리츠 외 3개 회사로 구성되었으며, 민간투자법상 최초제안자 지위를 가진다. == 교통 == === 도시철도 === * {{{#CD7C2F ●}}} [[수도권 전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 * [[월드컵경기장역(서울)|월드컵경기장역]] 2번 출구로 나온 후 [[서울 버스 마포08|{{{#5bb025 '''마포08번'''}}}]]으로 갈아타거나, [[마포구청역]] 1번 출구로 나온 후 [[서울 버스 271|{{{#3d5bab '''271번'''}}}]], [[서울 버스 710|{{{#3d5bab '''710번'''}}}]], [[서울 버스 7011|{{{#5bb025 '''7011번'''}}}]]으로 갈아타서 올 수 있다. ==== 모노레일 ==== * 2023년 12월 3일 서울특별시는 [[수도권 전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에서 [[서울 트윈아이]]까지 편리한 접근을 지원하기 위해 모노레일을 조성하는 계획을 발표했다.[[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1201_0002543485&cID=10201&pID=10200|#]] * 사업이 취소되었던 [[상암 DMC 모노레일]]의 부활 가능성이 있다.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72|{{{#ffffff 17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71|{{{#ffffff 27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71|{{{#ffffff 57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10|{{{#ffffff 71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60|{{{#ffffff 760}}}]]'''}}}|| || {{{#ffffff 지선, 맞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15|{{{#ffffff 671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1|{{{#ffffff 701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6|{{{#ffffff 701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9|{{{#ffffff 701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15|{{{#ffffff 771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8777|{{{#ffffff 8777}}}]]'''}}} || || {{{#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마포08|{{{#ffffff 마포0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마포15|{{{#ffffff 마포15}}}]]'''}}} || || {{{#ffffff 광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서울 버스 9707|{{{#ffffff 970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서울 버스 9711|{{{#ffffff 9711}}}]]'''}}} || || {{{#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2|{{{#ffc600 N72}}}]]'''}}} ||}}} == 여담 == * 조감도를 보아, 각도상 최상부에 다다르면 [[여의도]] 스카이라인이 한눈에 펼쳐질 것이다. ||[[파일:handbags.jpg|width=100%]]|| || 다양한 원형 손잡이 가방 || * 독특한 형상과 규모 덕분에 '세계에서 가장 큰 핸드백 모양의 대관람차'로 기네스북에 도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각주] [[분류:서울특별시]][[분류:마포구]][[분류:문화 시설]][[분류:마포구의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