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원6617번_그린시티.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17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617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양천공영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목동우성아파트) || ||<|2> 양천차고지 방향 || 첫차 || 05:00 ||<|2> 우성아파트 방향 || 첫차 || 05:40 || || 막차 || 23:30 || 막차 || 00:10 || ||<-2> 평일배차 || 10~13분 ||<-2> 주말배차 || 13~15분 || ||<-2> 운수사명 ||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 ||<-2> 인가대수 || 10대(예비 1대)[* 토요일 / 공휴일 7대 운행.][* 예비차는 [[서울 버스 6620|6620번]]과 공동사용한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099737|관련 공문]]] || ||<-2><|2> 노선 ||<-4> [[양천공영차고지]] - 푸른마을아파트2단지 - 신곡시장.금빛새마을금고 - [[신정네거리역]] - 서울남부지방법원.서울남부지방검찰청 - [[목동역]] - 목동7단지 - (→ 목동8단지.한전 → 양천구청.보건소 → 목동10단지 → /← [[목동중학교]] ← 양천공원 ←) - __양천구청__ - [[양천구청역]] → 봉영여중.목동고 → 목동우성아파트 → 양천아파트 → 양천구청역 → 이후 역순 || ||<-4>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 == 개요 ==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9km다. [[https://map.naver.com/?busId=1202|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구 497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번호만 6617번으로 바뀌었다. * 2008년 11월 3일에 운수업체가 [[한남여객운수]]에서 도원교통으로 변경되었다. * 2009년 6월 20일에 목동우성아파트 방향은 목동10, 12단지를 경유하게 되었다. [[http://www.yangcheon.go.kr/depart/dept21/dept21_news/dept21_news01/bbs/bbsView.do?bbs_seq_n=2500&bbs_cd_n=23|관련 공지사항]] * 2010년 8월 21일에 '양천차고지 - 신곡시장 - 신정네거리역 - 신정1동주민센터 - 목동우성아파트' 구간이 연장되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1200|관련 공지사항]] * 2015년 2월 27일에 중앙로 대신 신월로 경유로 변경되었으며, 회차지를 목동우성아파트로 변경했다. [[http://www.yangcheon.go.kr/depart/dept21/dept21_news/dept21_news01/bbs/bbsView.do?bbs_seq_n=6094&bbs_cd_n=23|관련 공지사항]] * 2020년 10월 15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84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87분으로 3분 늘어났다. 또한 같은 날을 기해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생횟수가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10~13분이던 평일 배차간격은 11~13분으로, 12~15분이던 토요일/공휴일 배차간격이 13~15분으로 조정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1372498|관련 공문]] == 특징 == * 양천구의 끝과 끝을 잇는 노선이다.[* 양천구 내만 다니며, 노선의 기능까지도 사실상 마을버스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도원교통 양천영업소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강서구를 경유하지 않는다. * [[양천구]] 버스교통의 허브인 양천공영차고지에서 목동우성아파트까지 간다. 노선이 괴이한 것이 좁은 2차선 도로에서 갑자기 아파트[* 목동우성아파트] 쪽으로 돌아서 유턴을 하질 않나, 신정차량사업소 위[* 양천아파트]로 올라가질 않나... 진짜 '''타 보면 안다'''. * 양천구청 정류소에서는 양천공영차고지 방면과 목동우성아파트 방면 차량이 동시에 정차하므로 운행정보 전광판[* 양천구청역 방향은 전광판에 6617(회차지), 반대방향(양천공원 방향)은 전광판에 6617(종점행)이라고 표시]과 차량 앞부분의 보조행선판을 확인 후 승차해야 한다. || 양천공영차고지 방향 || 목동우성아파트 방향 || || '''{{{#white {{{+3 차고지방향}}}}}}''' || '''{{{#white {{{+3 우성아파트방향}}}}}}''' || * 특이하게 아파트 바로 앞에서 회차를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덕분에 우성아파트 주민들은 정말 행복해한다. 아침 시간에는 목동우성아파트 정류장에서 직장인들이 엄청나게 타서 가축수송을 한다. * 목동우성아파트 정류장은 2개다. 아파트 바로 앞에 1개, 청마루 앞에 1개. 청마루 앞에 있는 정류장은 6613번 등 다른 버스들이 다닌다. * 목동 안에서만 돌다시피 하던 노선이었으나 가스충전 문제 때문에 양천차고지에 입성했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17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4,880명 || - || || 2014년 || 4,695명 || {{{#blue ▽ 185}}} || || 2015년 || 4,113명 || {{{#blue ▽ 582}}} || || 2016년 || 4,060명 || {{{#blue ▽ 53}}} || || 2017년 || 4,030명 || {{{#blue ▽ 30}}} || || 2018년 || 4,173명 || {{{#red △ 143}}} || || 2019년 || 4,304명 || {{{#red △ 131}}} || || 2020년 || 3,374명 || {{{#blue ▽ 930}}} || || 2021년 || 3,513명 || {{{#red △ 139}}}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노선 === ||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17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6> '''목동우성아파트'''[br]'''15202''' || || 양천아파트[br]15204 || || || || || 목동우성아파트입구[br]15203 || || 양천아파트[br]15210 || {{{#ffffff ↓}}} || || || {{{#ffffff ↑}}} || 봉영여중.목동고[br]15207 || || 양천구청역[br]15209 || || || || || 양천구청역[br]15192 || || - || {{{#ffffff ↓}}} || || || {{{#ffffff ↑}}} || 목동13단지[br]15183 || || 양천구청[br]15194 || || || || || 양천구청[br]15194 || || 양천공원[br]15193 || {{{#ffffff ↓}}} || || || {{{#ffffff ↑}}} || 양천구민체육센터.양천일자리센터[br]15195 || || 목동중학교[br]15289 || || || || || 목동12단지[br]15196 || || 길훈로즈빌아파트[br]15252 || {{{#ffffff ↓}}} || || || {{{#ffffff ↑}}} || 목동10단지상가[br]15235 || || - || || || || || 양천문화회관.양천일자리센터[br]15236 || || - || {{{#ffffff ↓}}} || || || {{{#ffffff ↑}}} || 양천구청.보건소[br]15256 || || - || || || || || 목동8단지.한전.출입국관리사무소[br]15257 || || - || {{{#ffffff ↓}}} || || || {{{#ffffff ↑}}} || 하이스트학원.종로학원[br]15253 || || 목동7단지.종로학원[br]15166 || || || || || 목동7단지[br]15265 || || - || {{{#ffffff ↓}}} || || || {{{#ffffff ↑}}} || 목동역[br]15254 || || 진명여고[br]15270 || || || || || 진명여고[br]15258 || || 서울남부지방법원.서울남부지방검찰청[br]15279 || {{{#ffffff ↓}}} || || || {{{#ffffff ↑}}} || 서울남부지방법원.서울남부지방검찰청[br]15268 || || 신정1동우체국[br]15277 || || || || || 신정1동우체국[br]15242 || || 우리은행신정동지점[br]15271 || {{{#ffffff ↓}}} || || || {{{#ffffff ↑}}} || 우리은행신정동지점[br]15242 || || 신정4동경서농협[br]15283 || || || || || 경서농협[br]15119 || || 신정네거리역[br]15280 || {{{#ffffff ↓}}} || || || {{{#ffffff ↑}}} || 신정네거리역[br]15250 || || 신정사거리[br]15211 || || || || || 신정네거리역[br]15212 || || 동방아파트[br]15213 || {{{#ffffff ↓}}} || || || {{{#ffffff ↑}}} || 동방아파트.신월종합사회복지관[br]15214 || || 신곡시장.금빛새마을금고[br]15215 || || || || || 신곡시장.금빛새마을금고[br]15216 || || 신한은행신월동지점[br]15217 || {{{#ffffff ↓}}} || || || {{{#ffffff ↑}}} || 신한은행신월동지점[br]15218 || || 강월초교입구사거리[br]15328 || || || || || 강월초교입구사거리[br]15327 || || 신월시영아파트.강월초등학교[br]15326 || {{{#ffffff ↓}}} || || || {{{#ffffff ↑}}} || 신월시영아파트.강월초등학교[br]15325 || || 푸른마을2단지아파트[br]15324 || || || || || 푸른마을2단지아파트[br]15323 || || 푸른마을1단지.이든채아파트[br]15405 || || || || || 푸른마을1단지.이든채아파트[br]15399 || || 대일관광고.푸른마을3단지[br]15364 || {{{#ffffff ↓}}} || || || {{{#ffffff ↑}}} || 대일관광고.푸른마을3단지[br]15363 || ||<-6> '''양천공영차고지'''[br]'''15373 · 15378'''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네거리역]], [[양천구청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목동역]][* 양천공영차고지 방향은 진명여고 하차 목동우성아파트 방향은 목동역 하차]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