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 6515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515-일렉시티.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51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515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양천공영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경인교육대후문) || ||<|2> 종점[br]행 || 첫차 || 04:10 ||<|2> 기점[br]행 || 첫차 || 05:30 || || 막차 || 22:10 || 막차 || 23:35 || ||<-2> 평일배차 || 6~12분 ||<-2> 주말배차 || 7~14분 || ||<-2> 운수사명 || [[관악교통]] ||<-2> 인가대수 || 33대(예비 1대)[* 토요일 28대 / 공휴일 25대 운행] || ||<-2> 노선 ||<-4> [[양천공영차고지]] - 신정현대아파트 - (→ 양천고등학교 → 신트리아파트 → 고척파크푸르지오아파트 →/← 신정학마을아파트 ← 개봉푸르지오아파트 ← 고척근린공원.고척도서관 ←) - 고척시장 - 동양미래대학교.구로성심병원 - [[구일역]] - 신도림동.[[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신길역]] - [[대방역]] - 동작구청.노량진초등학교앞 - [[장승배기역]] - 신대방삼거리 - 패션문화의거리입구 - [[봉천역]].관악초등학교 - (← 낙성대입구 ←) - 관악구청 - 서울대학교 - 서울산업정보학교 - 미림여고.미림여자정보과학고 - 삼성산주공아파트 - {{{#aaa 산복터널}}} - 벽산아파트5단지 - {{{#aaa 호암1터널 - 호암2터널}}} - 경인교육대후문 || == 개요 == [[관악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5.3km다.[[https://map.naver.com/v5/bus/bus-route/6515/bus-route/521?c=14122428.9089408,4506201.6831245,12,0,0,0,dh|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통합 전 두 노선(5520번, 5614번)에 대한 연혁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5권역]] 문서를 참조. * 2011년 2월 8일에 5520번과 5614번을 통합해 신설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1420|관련 공지사항]] * 2011년 2월 17일에 양천차고지 방향이 서울대입구역에서 P턴하는 것에서[* [[서울 버스 651|651번]]이 2019년 말 기준, P턴해서 서울대입구역 남쪽에서 서쪽으로 향한다.] 낙성대입구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식으로 바뀌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1668|관련 공지사항]] * 2016년 10월 20일부로 3대가 감차되어 643번에 증차되었다. == 특징 == * 굴곡이 노선 전체를 통틀어서 여러 곳 되기 때문에 장거리 이용은 추천하지 않는다.[* 지선버스의 천국이라 불리는 흥삼한 내에서도 [[서울 버스 1120|1120번]], [[서울 버스 1144|1144번]] 등과 맞먹을 정도의 굴곡이라 봐도 된다. 다만, 6515번의 역사가 꽤 복잡한 지라 예외적으로 볼 수도 있다. 어찌되든 '''흥삼한 최장거리 지선버스'''는 확실하다. (당당 1120번이 1권역 최장거리임에도 고작 32km이다. 이 노선은 55km. 단순 거리로만 따지면 '''[[서울 버스 146|146번]]보다 살짝 짧은 정도.''')] 서남권 굴곡의 끝판왕 [[서울 버스 5616|5616번]]이나 이에 버금가는 [[서울 버스 6516|6516번]]보다는 그래도 선형이 낫지만. 다만 수요는 상당히 많다. 한때는 [[서울 버스 4318|4318번]], [[서울 버스 5531|5531번]]에 이어 지선버스 승차량 3위를 했을 정도. * 특이하게 서부트럭터미널 - 고척파출소사거리 사이는 왕복편의 경로가 다른데, 왕편(경인교대 방향)은 신트리아파트와 [[목동아파트]] 11단지의 건너편 경유, 복편(양천차고지 방향)은 고척근린공원과 개봉푸르지오아파트의 건너편 경유이니 참고하자.[* 개봉1동사거리가 자동차전용도로였던 남부순환로와 그냥 동네 도로 수준인 고척로의 사거리라 좌회전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고척근린공원을 갈 수가 없다.] * 신림역에서 서울대학교 구간을 이용할 경우에는 [[서울 버스 6513|6513번]], [[서울 버스 6514|6514번]]이 훨씬 더 빠르다. 이 노선은 서울대입구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굴곡이 상당히 크기 때문. 게다가 반대 방향의 경우는 [[봉천로]]를 통해 낙성대 입구를 찍고 편도회차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 서울대정문에서 낙성대로 가는 3개의 노선 중 하나이다. 다른 둘은 [[광명 버스 8507|8507번]], [[서울 버스 5528|5528번]]이다. 단 '낙성대 편도 회차'이므로, 낙성대에서 서울대 정문으로는 갈 수 없다. 또한 사랑의병원 사거리에서 이면도로인 [[봉천로]]로 들어간 후 낙성대입구 삼거리에서 좌회전해서 [[남부순환로]]로 돌아 나오는 형태라서(이 낙성대 회차구간은 [[서울 버스 650|650번]]과 완전히 일치한다), 낙성대입구에서 동쪽으로 300m 정도 떨어진 [[낙성대역]]과의 연계는 두 버스보다 떨어진다. 단 [[샤로수길]] ~ 낙성대 입구의 식당, 술집 이용에는 더 가깝다. * [[서울 버스 461|461번]]과 더불어 신림역(신림사거리)의 북쪽(패션문화의거리)과 동쪽(관악우체국 및 양지병원)을 오가는 둘뿐인 버스다. 이 구간을 포함하여 신대방삼거리 남쪽과 서울대입구역 동쪽 사이의 구간이 서로 일치한다. 단 남부순환로는 말할 것도 없고 보라매로-신림로 또한 나름 주요도로임에도 불구하고 통행량에 비해 길이 좁을 뿐더러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전혀 없기 때문에 RH는 물론 상당수 시간대에 이 구간에서 정체가 심하다. 향후 [[신림선]] 완공시에는 보다 여유로워지겠지만. * 삼성동에 진입하면 특히 금천벽산아파트 구간은 속도 경보음이 들릴 정도로 엄청난 속도로 주행한다. * [[서울 버스 152|152번]], [[서울 버스 171|171번]], [[서울 버스 271|271번]], [[서울 버스 774|774번]], [[서울 버스 1154|1154번]], [[서울 버스 6614|6614번]]과 함께 '''기점이 아닌 회차지점이 경기도'''인 7개 뿐인 서울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515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25,596명 || - || || 2014년 || 24,441명 || {{{#blue ▽ 1,155}}} || || 2015년 || 23,312명 || {{{#blue ▽ 1,129}}} || || 2016년 || 22,803명 || {{{#blue ▽ 509}}} || || 2017년 || 21,325명 || {{{#blue ▽ 1,478}}} || || 2018년 || 20,833명 || {{{#blue ▽ 492}}} || || 2019년 || 21,141명 || {{{#red △ 308}}} || || 2020년 || 16,325명 || {{{#blue ▽ 4,816}}} || || 2021년 || 15,666명 || {{{#blue ▽ 659}}}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구일역]], [[구로역]], [[신도림역]], [[영등포역]], [[신길역]], [[대방역]], [[노량진역]][* 경인교대 방면 동작구청 정문, 양천공영차고지 방면 노량진수산시장.CTS기독교TV 하차.]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신림역]], [[봉천역]], [[서울대입구역]][* 경인교육대방면 관악구청 하차]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신길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 양천공영차고지 방면 상도초등학교입구 하차], [[신대방삼거리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량진역 *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분류:2011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안양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