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413아폴로525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2892 (1).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41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413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범일운수종점)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고속터미널) || ||<|2> 종점[br]행 || 첫차 || 04:20[*A 첫차는 2대가 동시 출발한다.] ||<|2> 기점[br]행 || 첫차 || 05:15[*A] || || 막차 || 23:10 || 막차 || 00:05 || ||<-2> 평일배차 || 5~9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7~10분 / 공휴일 9~12분 || ||<-2> 운수사명 || [[범일운수]] ||<-2> 인가대수 || 27대(예비 1대)[* 토요일 22대 / 공휴일 18대 운행] || ||<-2> 노선 ||<-4> 범일운수종점 - 은행나무입구사거리 - 현대시장.시흥4동주민센터 - 독산동남문시장 -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 신림사거리.[[신림역]] - [[봉천역]].봉천초등학교 - 봉천사거리 - [[낙성대역]] - [[사당역]]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중고 - [[예술의 전당]] - 서초아트자이 - [[서초역]] - 서울지방조달청.서울성모병원 - 고속터미널호남선 → 고속터미널 → [[센트럴시티]] → 이후 역순 || == 개요 == [[범일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6.13㎞다. [[https://map.naver.com/v5/bus/bus-route/5413/bus-route/1101?c=14130888.4101486,4506371.3520360,13,0,0,0,dh|전체 정류장 목록]] == 연혁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s-24|구 560번]] 도시형버스(시흥동 - 고속터미널)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개편 때 노선 변경 없이 번호가 5413번으로 바뀌었다. * 2019년 8월 21일을 기해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조정되고,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8회/7회/5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와 동시에 본래 11분이던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이 12분으로 늘어났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469156|관련 공문]] * 2020년 3월 10일과 11일 양일간 예비차 포함 5대의 차량이 [[서울 버스 금천01|금천01번]] 마을버스 대체운행에 투입되어 부득이 토요일처럼 22대로 감차운행했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213672?headid=&recommend=&s_type=all&serval=%EA%B8%88%EC%B2%9C|관련 게시물]] == 특징 == * 금천구와 남부터미널/고속터미널을 연결한다. * [[우면산터널]] 인근 서초3동과 고속터미널을 빠르게 이어주므로 서초아트자이아파트를 경유하는 인천, 경기도발 광역버스에서 이 노선으로 갈아타면 고속터미널로 갈 때 [[교대역(서울)|교대역]]에서의 [[서울 지하철 3호선]] 환승보다 더욱 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 5권역과 4권역을 연결하는 유일한 지선버스 노선이다. 회차지인 고속터미널 구간을 제외하면 꺾는 곳이 KT구로지사([[독산로]] ↔ [[남부순환로]]), [[예술의전당]] 삼거리(남부순환로 ↔ [[반포대로]]) 이렇게 2군데밖에 없고 남부순환로를 KT구로지사 ~ 예술의 전당까지 긴 구간을 지난다. [[서울 버스 651|651번]]과는 KT구로지사 ~ 서울대입구역, [[서울 버스 643|643번]]과는 KT구로지사 ~ 사당역까지 겹친다. * 지하철과 다소 떨어진 [[독산로]]의 [[시흥동(서울)|시흥동]]-[[독산동]] 일대, 회차하면서 한두블럭 정도 살짝 거치는 마을버스나 아예 중간정류장 한두곳 내지는 하나도 안 찍고 그대로 패스하는 광역버스류는 꽤 있지만 정규 지선/간선 버스가 제대로 없는 [[남부순환로]]의 서초구 서부 구간(동덕여고, 래미안타워, 래미안아트힐, 그랑자이 등), [[반포대로]] 주변의 [[예술의 전당]] 등 서초3동 일대에서의 수요가 가장 높다. [[반포대로]]를 예술의 전당에서 고속터미널까지 지나므로 이 구간 이동 편의를 도모한다. * 사당역 위의 사당고가차도를 이용하므로 고가차도 밑의 [[사당역]] 사거리에 정차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당역과 낙성대 방향과의 버스연계는 출입구에서 보다 가깝게 역 사거리 기준 남쪽이나 북쪽에 세워주는 [[서울 버스 643|643번]], [[서울 버스 5528|5528번]], [[서울 버스 5530|5530번]]을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사당역사거리를 동서축으로 직진하는 주간 노선은 이외에도 [[서울 버스 461|461번]], [[서울 버스 641|641번]]이 있지만 고가차도를 지나가지 않고 아래의 사거리로 내려갔다 올라와서 시간이 보다 더 걸린다. 남서울농협남현동지점 정류장에서 사당역까지의 거리는 약 260m(도보 4분)이므로 충분히 사당역 역세권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대항병원, 연세사랑병원정류장에서 사당역까지의 거리는 약 400m(도보 7분)이다. 이 정류장에서는 사당역까지 도보로 7분이 걸리므로 사당1동관악시장앞에서 하차하여 사당역으로 환승하기를 권장한다. * [[서울 버스 5525|5525번]]과는 [[독산로]] ~ [[신림역]]까지의 큰 개형이 같지만, 이게 배차간격도 5525보다 훨씬 조밀할 뿐더러, 독산로와 신림역 사이에서 이 노선은 KT구로지사 사거리에서([[독산로]] ↔ [[남부순환로]]) 딱 1번 꺾는데, 5525는 독산3동사무소 삼거리(독산로 ↔ 문성로), 난곡우체국 사거리(문성로 ↔ [[난곡로(서울)|난곡로]]), 난곡사거리(난곡입구)(난곡로 ↔ 남부순환로)에서 3번 꺾기 때문에 5525에 비해 확연히 앞선다고 봐야 한다. 보라매공원, 보라매병원, 보라매타운을 갈 때라면 모르겠지만. 기종점에서의 막차는 이 노선이 밤 11시 10분으로, 5525의 11시 20분보다 빠르지만, 노선 길이가 보라매타운을 찍고 오는 것과 고속터미널을 찍고 오는 것의 엄청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신림역(5번출구)에서 내려오는 막차는 5525가 11시 55분 전후이지만, 이 노선은 0시 35분 전후로 40분 가량 큰 차이가 난다. * [[남부순환로]]와 [[반포대로]]의 만성적인 정체로 인해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하다. 정체가 최고조일 때는 정체로 인해 평소 소요시간에 비해 매우 오래 걸린다. 도로 정체로 인해 한꺼번에 3대씩 붙어다니는 모습을 목격한 바도 전해진다. * [[무한도전 말하는 대로]] 특집에서 [[하하(가수)|하하]]의 버스로 나왔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413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20,281명 || - || || 2014년 || 19,253명 || {{{#blue ▽ 1,028}}} || || 2015년 || 18,531명 || {{{#blue ▽ 722}}} || || 2016년 || 18,234명 || {{{#blue ▽ 297}}} || || 2017년 || 18,199명 || {{{#blue ▽ 35}}} || || 2018년 || 18,180명 || {{{#blue ▽ 19}}} || || 2019년 || 18,719명 || {{{#red △ 539}}} || || 2020년 || 14,522명 || {{{#blue ▽ 4,197}}} || || 2021년 || 14,902명 || {{{#red △ 380}}} || || 2022년 || 16,540명 || {{{#red △ 1,638}}}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노선 === ||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413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6> '''고속터미널[br]22211''' || ||<|2> 센트럴시티[br]22213 ||<|2> {{{#ffffff ↓}}} ||<-2> {{{#ffffff ←}}} ||<|2> {{{#ffffff ↑}}} ||<|2> 고속터미널호남선[br]22220 || || || || ||<-6> 이상 회차 구간 || || 서울지방조달청.서울성모병원[br]22212 || || || || || 서울지방조달청.서울성모병원[br]22214 || || 서울중앙지방검찰청.대검찰청[br]22138 || {{{#ffffff ↓}}} || || || {{{#ffffff ↑}}} || 서울중앙지방검찰청[br]22137 || || 서초역3번출구[br]22379 || || || || || 서초역.서울중앙지법등기국[br]22135 || || 서초동삼성아파트[br]22142 || {{{#ffffff ↓}}} || || || {{{#ffffff ↑}}} || 서초동삼성아파트[br]22140 || || 서초유스센터.서초아트자이[br]22141 || || || || || 서초아트자이아파트[br]22139 || || 서초3동주민센터[br]22143 || {{{#ffffff ↓}}} || || || {{{#ffffff ↑}}} || 서초3동주민센터[br]22144 || || 서초동예술의전당[br]22152 || || || || || 서초동예술의전당[br]22145 || || 방배동래미안아트힐.국립국악원[br]22253 || {{{#ffffff ↓}}} || || || {{{#ffffff ↑}}} || 방배동래미안아트힐.국립국악원[br]22262 || || 방배그랑자이아파트[br]22254 || || || || || 방배그랑자이아파트[br]22261 || || 성뒤마을.교육연수원[br]22255 || {{{#ffffff ↓}}} || || || {{{#ffffff ↑}}} || 성뒤마을.교육연수원[br]22260 ||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중고[br]22340 || || || ||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중고[br]22259 || || 대항병원.연세사랑병원[br]22257 || {{{#ffffff ↓}}} || || || {{{#ffffff ↑}}} || 대항병원.연세사랑병원[br]22258 || || 사당1동관악시장앞[br]20141 || || || || || 남서울농협남현동지점[br]21126 || || 예술인마을[br]20142 || {{{#ffffff ↓}}} || || || {{{#ffffff ↑}}} || 예술인마을.사당초등학교[br]21125 || || 서울미술고.인헌중고[br]21101 || || || || || 인헌중고.서울미술고[br]21124 || || 낙성대입구[br]21102 || {{{#ffffff ↓}}} || || || {{{#ffffff ↑}}} || 낙성대입구[br]21123 || || 행운동주민센터[br]21103 || || || || || 낙성대동[br]21122 || || 서울대입구역5번출구[br]21104 || {{{#ffffff ↓}}} || || || {{{#ffffff ↑}}} || 봉천사거리[br]21121 || || KT관악지점[br]21105 || || || || || KT관악지점[br]21120 || || 봉천역.관악초등학교[br]21106 || {{{#ffffff ↓}}} || || || {{{#ffffff ↑}}} || 봉천역.관악초등학교[br]21119 || || KT&G관악지점[br]21107 || || || || || KT&G관악지점[br]21118 || || 관악우체국.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br]21261 || {{{#ffffff ↓}}} || || || {{{#ffffff ↑}}} || 관악우체국.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br]21262 || || 신림사거리.신림역[br]21350 || || || || || 신림사거리.신림역[br]21117 || || 남부초등학교[br]21109 || {{{#ffffff ↓}}} || || || {{{#ffffff ↑}}} || 남서울중학교.성보중고등학교[br]21116 || || 호림박물관[br]21110 || || || || || 호림박물관[br]21361 || || 난곡입구[br]21111 || {{{#ffffff ↓}}} || || || {{{#ffffff ↑}}} || 난곡입구[br]21115 || ||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br]21112 || || || || ||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br]18198 || || - || {{{#ffffff ↓}}} || || || {{{#ffffff ↑}}} || 모두의학교.금천문화예술정보학교[br]18197 || || 모두의학교.금천문화예술정보학교[br]18195 || || || || || 모두의학교.금천문화예술정보학교[br]18196 || || 독산3동주민센터[br]18193 || {{{#ffffff ↓}}} || || || {{{#ffffff ↑}}} || 독산3동주민센터[br]18194 || || 독산동남문시장[br]18228 || || || || || 독산동남문시장[br]18229 || || 독산동쌈지공원[br]18191 || {{{#ffffff ↓}}} || || || {{{#ffffff ↑}}} || 독산동쌈지공원[br]18192 || || 독산동성당앞[br]18189 || || || || || 독산동성당앞[br]18190 || || - || {{{#ffffff ↓}}} || || || {{{#ffffff ↑}}} || 독산4동주민센터[br]18188 || || 독산동정훈단지[br]18184 || || || || || 독산동정훈단지[br]18185 || || 남부여성발전센터[br]18182 || {{{#ffffff ↓}}} || || || {{{#ffffff ↑}}} || 남부여성발전센터[br]18183 || || 현대시장.시흥4동주민센터[br]18180 || || || || || 현대시장.시흥4동주민센터[br]18181 || || 동산교회앞[br]18178 || {{{#ffffff ↓}}} || || || {{{#ffffff ↑}}} || 동산교회앞[br]18179 || || 시흥초등학교.금천구보훈회관[br]18176 || || || || || 시흥초등학교.금천구보훈회관[br]18177 || || - || {{{#ffffff ↓}}} || || || {{{#ffffff ↑}}} || 경남아파트[br]18175 || || 은행나무입구사거리[br]18143 || || || || || 은행나무입구사거리[br]18142 || || 시흥동은행나무.은행나무시장[br]18141 || {{{#ffffff ↓}}} || || || {{{#ffffff ↑}}} || 시흥동은행나무.은행나무시장[br]18140 || ||<-6> '''범일운수종점[br]18708 · 18219'''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림역]], [[봉천역]], [[서울대입구역]], [[낙성대역]][* 낙성대입구 하차], [[사당역]][*B 남서울농협남현동지점/사당1동관악시장 하차 후 도보], [[서초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사당역[*B]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고속터미널역의 복잡한 구조 때문에 하차 후 3/9호선이 아니라 7호선을 이용할 경우에는 고속터미널 정류장 보다 그 전인 서울지방조달청.서울성모병원 정류장에서 내려 사평대로를 건너는게 휠씬 낫다. 승차시에는 고속터미널 남쪽 언덕 위의 센트럴시티 정류장을 이용.]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illim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신림선]]: 신림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분류:1979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