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파일:Seoul470-c.pn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7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47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상암공영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서초포레스타2단지앞) || ||<|2> 종점[br]행 || 첫차 || 04:00 ||<|2> 기점[br]행 || 첫차 || 05:35 || || 막차 || 22:30 || 막차 || 00:10 || ||<-2> 평일배차 || 7~12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8~13분 / 공휴일 9~14분 || ||<-2> 운수사명 || [[다모아자동차]] ||<-2> 인가대수 || 34대(예비 1대)[* 토요일 25대 / 공휴일 22대 운행] || ||<-2> 노선 ||<-4> [[상암공영차고지]] - (→ 서부면허시험장 → 월드컵파크3단지 → 상암DMC홍보관.YTN → 월드컵파크5단지 →/← 월드컵파크7단지 ←) - DMC첨단산업센터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세대학교]] - [[세브란스병원]] - 이대후문 - {{{#aaa 금화터널}}} - [[서대문역]]사거리 - [[경복궁 광화문|광화문]] - 종로2가 - 서울백병원 - {{{#aaa 남산1호터널}}} - 순천향대병원 - {{{#aaa 한남대교}}} -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양재꽃시장 - 염곡마을 - 서초포레스타2단지앞 || == 개요 == [[다모아자동차]]에서 운행하는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5.28km다.[[https://map.naver.com/?busId=1071|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이 때는 기점이 은평공영차고지, 종점이 내곡IC였다. * 2007년 4월 9일에 '내곡동사무소 - 내곡IC' 구간이 단축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1083|관련 공지사항]] * 2008년 5월 8일에 기점이 상암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으며, 내곡동 방향은 월드컵파크2단지와 5단지를 경유하게 되었다. * 2014년 7월 7일에 내곡동 안골마을까지 연장되었다. * 2018년 8월 3일에 광화문.금호아시아나본관앞 정류장에 정차하기 시작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5674152|관련 공문]] * 2018년 12월 2일부터 공휴일 운행 댓수가 1대 증차된 23대로 변경되었으나, 이와 동시에 대당 운행횟수 감축이 병행되면서 공휴일의 일 운행횟수 자체는 2회 줄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 조치로 인한 공휴일 배차간격에 생기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636039?fileIdx=1#pdfview|관련 공문]] * 2019년 7월 6일을 기해 본래 22:40이던 기점 막차시각이 22:30으로 10분 앞당겨졌다. 또한,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3회/5회/6회씩 감회되었으며 이에 따라 평일 최소 배차간격은 1분,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은 2분가량 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172170|관련 공문]] * 2020년 10월 24일을 기해 1대씩 있던 토요일/공휴일의 단축운행차량이 감축되면서, 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1393614|관련 공문]] == 특징 == * 노선 모양을 보면 간선버스다운 깔끔함을 볼 수 있다. 강북에서 [[서울 버스 741|741번]]과 같이 최단거리로 강남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특히 741번과는 영천시장부터 내곡동까지 100% 동일하게 다닌다. 이 노선은 대부분의 구간이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해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원활한 교통흐름으로 이동할 땐 기점에서 회차지까지 1시간 20분 잡고 가고도 시간이 남는 최속노선이다. * 2004년 노선 개편 때 대부분의 버스노선들이 기존 노선을 통폐합하거나 변형했던 것과 달리 '''이 노선은 순수하게 신설된 버스 노선'''이다. 외환위기로 무산된 [[서울 지하철 11호선]] 계획을 부분적으로 구현하여[* [[신분당선]]이 11호선의 명맥을 잇지만 용산 기점이라 불완전하다.], 서울특별시의 핵심 상업지구인 신촌과 강남구, 그리고 서울특별시 도심을 직접 연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수요가 많다. 특히 신촌·연세대학교 일대에서 강남 방면을 향하는데 가장 좋은 선택지여서, 강남구, 서초구지역에 거주하는 연세대 재학생 및 교직원들에게 중요한 노선이다. 2004년 전까진 시내버스와 지하철을 여러번 갈아타서 가거나, 아예 [[서울 지하철 2호선]]의 내선순환을 타고 시계방향 뺑뺑이를 도는 방법으로 신촌역까지 가기도 했다. 이 지역에 거주하지 않더라도 강남역 인근에 토익, 토플, GRE 등 각종 어학원들이 몰려 있어 이쪽의 학원에 다니는 연대생들의 이용도도 상당하다. 다만 신촌~강남구간만 수요가 많고 양재 이남과 신촌~상암 구간은 중복 노선 존재와 메리트 부족으로 이 구간 수요가 떨어져서 노선 전체로 보면 좋은 노선이라고 보기는 애매하다. * 서울특별시의 도심과 주요 상업지구를 모두 연결하는 노선인지라 전반적으로 거쳐가는 도로들의 사정이 좋으며 탑승 수요도 엄청나기에 2004년 개편 직후 [[이베코]] [[굴절버스]] 초기 도입분 5대가 모두 여기에 투입되었다. 하지만 굴절버스가 점차 애물단지가 되면서 거의 말소, 매각되어 현재는 사라졌다. * 본래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출발했지만 상암공영차고지가 완공되고 다모아자동차가 상암동으로 이전하면서 기점을 이동했다. 버스번호 규칙으로 보면 740번 741번 742번이 있으니까 743번이어야 하나,[* 다만 저 세노선은 각각 2011년, 2018년, 2021년에 730번, 471번, 751번에서 노선변경으로 번호가 변경된거라 개편당시부터 적용했으면 이 노선이 높은확률로 740번이 되었을 것이다.] 처음 주간선버스 번호를 정할 당시에는 기.종점 권역과 상관없이 작은 숫자를 무조건 앞에 넣게 되어 있어서 470번으로 확정되었다. 270번도 마찬가지다. * 상암동에서 강남구 방향으로 갈 수 있는 3개 노선 중의 하나지만, 도심(광화문, 종로)을 거쳐가므로 소요시간이 매우 오래걸린다. 게다가 상암에서 강남은 이미 [[서울 버스 9711|9711번]]이 운행중이고 이 노선을 타는 게 훨씬 빠르다. 아무리 [[강변북로]]가 막히더라도 어차피 서울 도심에서도 많이 막히고 시내에서 정류장마다 일일이 다 서는 것과 비교할 수는 없다. 덕분에 이 노선의 상암~강남수요는 전무하다. * 다모아자동차의 노선들 중 회차지점 이외엔 노선 조정의 영향을 받은 적이 없는 유일한 노선이다. * [[서울 버스 270|270번]]과는 달리 차고지에서 수색로로 나갈 때에는 MBC, YTN까지 나갔다 오는데, 이는 과거 굴절버스 운행 당시 차량전장이 너무 길어(18m) 유턴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 그러나 굴절버스가 전멸한 지금도 기존 노선이 유지되고 있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70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8,540명 || - || || 2014년 || 17,747명 || {{{#blue ▽ 793}}} || || 2015년 || 17,253명 || {{{#blue ▽ 494}}} || || 2016년 || 16,985명 || {{{#blue ▽ 268}}} || || 2017년 || 17,304명 || {{{#red △ 319}}} || || 2018년 || 19,258명 || {{{#red △ 1,954}}} || || 2019년 || 18,716명 || {{{#blue ▽ 542}}} || || 2020년 || 13,929명 || {{{#blue ▽ 4,787}}} || || 2021년 || 13,217명 || {{{#blue ▽ 712}}}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8년 승객이 2000명 늘었는데 이는 741번 버스의 대량 감차로 인해 그 수요가 넘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9년에는 승객이 다시 감소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신사역]], [[양재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서대문역]], [[광화문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가좌역]] * [[파일:AREX_icon.svg|width=20]]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0]] [[신분당선]]: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분류: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4권역]][[분류:2004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주간선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