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성운수_345번_5916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성운수_345번_8485호.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3d5bab>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4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345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복정역환승센터)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 ||<|2> 종점행 || 첫차 || 04:00 ||<|2> 기점행 || 첫차 || 05:30 || || 막차 || 22:50 || 막차 || 00:30 || ||<-2> 평일배차 || 8~13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0~15분 / 공휴일 10~15분 || ||<-2> 운수사명 || [[대성운수]] ||<-2> 인가대수 || 25대(예비 1대) || ||<-2> 노선 ||<-4> [[복정역]]환승센터 - 창곡교차로 - 래미안위례.위례고운초등학교 - 송파한라비발디 - 위례포레샤인.위례31단지후문 - [[장지역]] - [[가락시장역]] - [[석촌역]] - [[잠실역]].[[롯데월드]] - [[잠실종합운동장]](종합운동장역) -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봉은사역]] - [[청담역]] - 프리마호텔 -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 - 현대아파트 - 신사중학교 - 잠원성당 - 고속터미널 - [[신반포역]].세화여중고 →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 심산문화센터 → 반포종합운동장 → 삼성래미안([[신반포역]]) → 이후 역순 || == 개요 == [[대성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8.32km다. == 역사 == === 구반포 단축 이전 === ==== 오금동 기점 시절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0번대#s-106|구 30번]] 좌석버스(오금동 - 여의도)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에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간선버스로 전환이 되었고, 번호도 362번으로 바뀌었다. * 여의도환승센터가 개장하면서 2005년 7월 10일에 기계회관 대신 여의도환승센터, KBS 경유로 바뀌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663|관련 공지사항]] * 2012년 3월 16일에 여의도환승센터 대신 한국거래소 경유로 바뀌었다. [[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seq_no=1861|관련 공지사항]] * 2013년 9월 26일에 '''[[여의도 순복음교회]] 편의를 위해''' 노선이 변경되었다. [[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seq_no=2313|관련 공지사항]] * 2014년 4월 14일부터 기존 오금동차고지가 보금자리 부지에 편입됨에 따라 폐쇄되었고, 송파공영차고지로 기점을 이전했다. 다만, 이전에도 아예 인연이 없던 것은 아니었는데, 가스차량을 충전하러 갈 때는 송파공영차고지까지 공차로 회송했고, 운휴차량들은 송파공영차고지에 주박하기도 했다. ==== 8362번 맞춤버스 ==== 앞서 이야기했듯이 9호선이 개통하기 전에는 출퇴근 수요가 매우 많았다. 개편 전에도 평일 출근시간대에 예비차량을 빼와 고속터미널과 흑석동 출발 차량을 각각 운행했을 정도. 개편하면서 이런 중간출발 차량은 사라졌고, 다시 수요분담 문제가 대두되어 출퇴근 맞춤버스 신설의 필요성이 생겨났다. 따라서 '고속터미널역 - 여의도' 구간 수요분담을 위해 3대를 빼와 평일 출퇴근 맞춤버스를 신설하였다. 아침/저녁 각각 3번씩 운행하였으며, '오금동 출발 → 362번과 동일하게 여의도까지 운행 → 362번과 동일하게 고속터미널까지만 운행 → 회차하여 다시 여의도까지 운행 → 362번과 동일하게 오금동까지 운행 → 오금동 도착' 방식으로 운행하였다. 이후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이 개통하면서 폐선되었다. ==== 최초 단축안 ==== [[파일:attachment/362.png]]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연장 개통을 앞두고 서울특별시에서 이 노선의 장거리 노선조정안에 대하여 의견조회를 실시하였다. * 우선 오금동차고지가 보금자리 부지 내에 있는 관계로 기점을 [[송파공영차고지]]로 변경하고, 현재의 '[[동남로(서울)|동남로]] - [[송파대로]]' 경유에서 '[[오금로]] - 동남로 - 송파대로' 구간을 경유하게 되며 여의도 구간을 폐선하고 [[중앙대학교]]에서 회차하는 형태로 변경하는 방안이었다. 단축되면서 생긴 잉여차량은 [[서울 버스 2413|2413번]]에 증차 및 기존 개포동에서 회차하던 노선을 '[[구룡역]] - [[대모산입구역]] - [[대청역]] - [[일원역]] - [[수서역]]'을 거쳐 세곡동 보금자리주택까지 연장하는 방안도 같이 제시되었다. * 서울특별시는 노선조정(안) 해당 지역인 [[송파구]]/[[동작구]]/[[영등포구]]에 의견조회를 요청했는데, 영등포구는 여의도 지역 주민 불편을 이유로 반대, 동작구는 교통혼잡을 이유로 중앙대병원 회차가 아닌 노량진배수지공원으로 수정동의 하였으며 송파구는 동남로 - 오금로 - 중대로 - 위례성대로 - 평화의문 - [[잠실역]] 구간으로 수정동의 하였다. * 그리고 운행업체인 [[태진운수]]에서는 일단 영등포구의 의견을 받아들여 여의도 구간을 그대로 운행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송파구 의견에 대해서는 간선버스의 취지에 맞지 않은 굴곡 구간이라는 의견을 제출하였다. 그 결과 기점에서 가락시장역까지의 구간만 송파차고지 - 송파대로 - 가락시장역으로 바꾸고 이후 여의도까지 2014년 4월 14일부터 운행하게 되었다. ==== 2차 노선조정안 (352번) ==== *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의 여파로, 이 버스 역시 자동차전용도로([[노들로]])를 경유하는 노선의 입석운행 제한을 사전에 방지하기 노선 조정이 진행된다. 여기에 2014년 7월 진행된 [[위례신도시]] 현장시장실에서 입주민이 요청한 위례신도시 - 잠실 간 노선 마련도 겸해 이 노선의 노선조정(안)에 대하여 의견조회가 실시되었다. * 송파공영차고지에서 바로 장지역으로 운행하지 않고 위례신도시 22·24단지를 경유하여 운행하도록 변경하고, 입석 운행이 제한되는 노들로(자동차 전용도로)를 피하기 위해 '흑석역 - 여의도' 구간을 단축하는 방안이었다. * 결국 2014년 8월 4일부터는 자동차전용도로(노들로) 입석 금지 및 위례신도시 입주민이 잠실까지 보다 편하게 갈 수 있도록 위례신도시 경유 및 '흑석역 - 여의도' 구간이 단축되고, 노선번호를 '''352'''번으로 바꾸었다. 또한 회차를 위해 중앙대병원을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seq_no=2613|관련 공지사항]] * 이로써 오랜 시간동안 달려온 노들로를 떠나게 되었으며, 이는 노들로를 관통하던 또 다른 서울시 시내버스인 [[서울 버스 642|642번]][* 사실 이 노선이 노들로를 제대로 관통하는 노선이었다. 일부만 경유했던 362번과 달리 이 노선은 노들로를 처음부터 끝까지 완주하는 노선이었기 때문.]도 마찬가지로, 2014년 10월 1일부터 노들로 대신 대림역과 장승배기역, 노량진을 경유하게 되었다. * 이로서 노들로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을 달리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은 모두 사라졌고, 반면에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은 증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서울특별시 '''최고의 혼잡률(237%)'''을 보이게 되었다. [[http://news.donga.com/DKBNEWS/3/all/20141021/67331247/3|관련 기사]] * 2014년 9월 22일에 [[서울 버스 6611|6611번]]의 전용예비차 확보를 위해 이노선의 예비차 1대를 감차해서 [[서울 버스 2413|2413번]]으로 보낸뒤 2413번의 중형차량 1대를 6611번으로 보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551185|관련 공문]] ==== 362번으로 환원 ==== * 앞서 이야기했듯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의 혼잡률이 200%를 훨씬 웃돌기 시작했고, '''승객들이 아예 탑승하지 못하는 등 여러 불편이 가중되자''' 서울특별시는 [[서울 버스 8663|8663번]]을 신설을 해보았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결국 노선 환원을 전제로 한 조정안 검토에 착수했으며, [[http://www.gyotongn.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444|관련 기사]] 그 와중에 2015년 7월 30일부로 노들로가 [[자동차전용도로]]에서 해제되면서 환원 가능성이 높아졌다. * 2015년 9월 14일에 [[서울 버스 440|440번]]과 함께 대성운수 [[서울 버스 333|333번]]이 운행 중인 위례푸르지오아파트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3114|관련 공지사항]] 원래는 8월 31일에 변경될 예정이었지만 연기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3123|관련 공지사항]] * 이 와중에 여러 소문이 다시 퍼지기 시작했는데, 대표적으로 위례신도시 경유를 없애버리고 여의도로 재연장을 시키고 위례신도시 대체노선을 집어넣는다는게 있었다. * 2015년 10월 26일에 다시 362번으로 환원되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6151019|관련 공문]]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59459|관련 게시물]] 다만, 여의도 구간은 예전과 달리 '대방역 - 여의도역 - 국회의사당역' 구간을 직진으로 간 후 U턴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위례신도시 구간을 운행하는데다가 여의도 일대가 워낙 복잡한 편이라 운행 구간을 단순화한 것으로 보인다.[* 대신에 노들로를 빠져나와 여의도로 진입하기 전에 버스정류소 하나(대방역.여의교)가 설치되었으며, 마을버스 노선인 [[서울 버스 영등포10|영등포10번]]과 [[서울 버스 영등포11|영등포11번]]이 여의도 곳곳을 운행하고 있기 때문에 [[대방역]]에서 이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2016년 12월 5일부터 위례푸르지오로 들어가지 않는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0759805|관련 공문]] * 2017년 9월경까지 위례자연앤센트럴자이, 위례오벨리스크 바로 앞을 지나고 정류장까지 있음에도 무정차통과하고 있었다.[* 해당 정류장은 복정방향 자연앤센트럴자이정문(50-319), 여의도방향 위례보미리즌빌(50-317) 및 위례오벨리스크(50-318). 참고로 [[성남 버스 50|성남 50번]]과 [[성남 버스 60|성남 60번]]은 정차한다.] 해당 아파트 주민들이 바로 앞을 지나는데 '''무정차 통과하는게 불합리하다며 정차 민원을 제기'''해왔고[* 50번은 복정역, 60번은 가락시장에서 끊기기 때문에 잠실, 코엑스 방면으로 갈 때 확실히 불편했다.], 결국 [[서울 버스 3012|3012번]]과 함께 2017년 9월 16일부터 정차한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3223960|관련 공문]] * 2018년 3월 26일에 [[서울 버스 8441|8441번]]이 신설되면서 예비차였던 3932호가 넘어갔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31999|관련 게시물]] * 여의도행 [[서울 버스 360|중복]] [[서울 지하철 9호선|노선]] 정리와 여의도 수요 저조, 여의도 일대의 상습 정체로 인한 운행시간 증가로 2018년 정기 노선조정안에서 ''''여의도 - 동작역' 구간을 단축할 예정'''이었으나 여의도로 가는 대체노선이 없어 결국 취소되었다. * 2018년 5월 31일에 위례31단지 후문 정류장이 신설되어 추가로 정차하게 되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5250994|관련 공문]] * 2019년 1월 1일에 태진운수에서 [[대성운수]]로 노선이 이관되었다. [[http://m.dcinside.com/board/transit/106388|관련 게시물]] * 2019년 4월 15일에 22:30이던 송파공영차고지 막차시각이 23:00로 30분 늦춰졌다. 다만 운행횟수는 그대로여서 최대 배차간격만 약간 늘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7573477|관련 공문]] * 2019년 12월 7일 굴곡 노선 정리를 위해, 위례신도시 구간을 단축하고 송파대로를 타고 장지역으로 바로 가도록 하는 노선 조정안이 공개되었다.[[http://m.dcinside.com/board/transit/192020|관련 게시물]] 그러나, 위례신도시에서 잠실역으로 가는 대체노선이 없다는 이유로 결국 보류되었다. * 2020년 7월 6일부터 영동교입구.청담자이아파트(23168)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 여의도행 중복 노선 정리와 여의도 수요 저조, 여의도 일대의 상습 정체로 인한 운행시간 증가, 서울특별시 장거리노선 단축 정책의 일환으로 2021년 1월 12일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299595|조정안에 다시 중앙대로 단축하는 방안이 나왔다.]][* 그런데 조정안을 보면, 다른 노선들과는 다르게 중앙대병원을 경유하지 않고, 서달로15길을 지나는 것으로 되어있다.] * 2021년 2월 3일부터 송파공영차고지 앞 도로개량공사로 인해 기점이 복정역 환승센터로 변경되었다.[*A 여의도 방면은 4번 승강장 정차, 차고지 방면은 2번 승강장 정차.] * 2021년 2월 18일 노선조정 심의에서 2021년 1월 12일에 나온 단축안이 가결되어 2021년 3월 27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4854546|관련 게시물 1]], [[https://gall.dcinside.com/m/transit/315027|관련 게시물 2]] 현재 흑석동 및 여의도 지역주민들과 [[동작구]], [[영등포구]] 국회의원의([[이수진(1969년 11월)|이수진]], [[김민석(정치인)|김민석]]) 반발로 '노들로 - 여의도'로 가는 대체노선 마련 전까지 무기한 보류되었다.[[https://gall.dcinside.com/transit/315707|관련 게시물]] === 현재 (345번) === * 구반포역 ~ 동작역 ~ 노들로 ~ 국회의사당 구간을 단축하고 해당 구간에는 단축과 동시에 [[서울 버스 361|361번]](구.4419번)을 대체 노선으로 투입하는 노선 조정안이 확정되면서 2022년 5월 1일을 기해 구반포역 → 이수교차로 → 서초구민체육센터 → 반포종합운동장 → 삼성래미안 → 고속터미널(중) 경로로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5310&off_docu_yn=C&search=&searchkey=|관련 공지사항]] 노선 번호 역시 345번으로 변경되었고, 동시에 여기에 기점 막차 시각까지 22:50으로 10분 앞당겨졌으며 7대가 감차되었다.[* 감차분들은 모두 [[서울 버스 343|343번]] 증차분으로 이동하였다.] 단, 인가 대수는 줄었어도 대당 일 운행횟수가 늘어났기에 1일 총 운행횟수도 조금이나마 증가하여 평일과 공휴일 배차간격은 소폭 줄어들게 되었다. {{{#!folding [ 단축 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362 노선도.png|width=100%]]}}} == 특징 ==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만약 카드를 안들고 올시에 기사가 돈을 받고 노트에다가 현금승차 기록을 쓴다. * [[노들로]] 일부 구간이 자동차전용도로이던 시절부터 경유했던 몇 안 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이었다. 효사정앞 정류소에서 바로 노들로를 타고 여의교(대방역)까지 무정차로 달렸기 때문에 교통 체증이 없을 경우 여의도로 갈 때 소요시간이 매우 좋은 편이었다. 하지만 노선 환원 후 평일에 10분을 넘어서는 건 기본이고, 주말에는 차가 밀려서 20분 동안 차가 안오는 경우도 발생한다. 공휴일도 23대만 운행해서 그런지 차를 15분에 1대씩 출발시킨다. * 구 좌석 30번 시절에는 한번에 고속터미널, 압구정, [[코엑스]], [[롯데월드]]를 연결해주니 여의도에 사는 학생들이 애용하는 노선이었다. 물론 지금도 마찬가지다. 다만 올림픽훼밀리타운 - 송파사거리 구간은 번호가 같은 [[하남 버스 30|하남 30번]]도 다녔으므로 [[혼동하기 쉬운 버스|혼동하기 쉬웠다.]] 그나마 한쪽은 좌석버스, 다른 한쪽은 일반시내버스라는 것만 알면 혼동하는 일은 없었다. 적어도 [[강남역]]에 오는 두 3100번[* [[안산 버스 3100|안산 3100번]]과 [[포천 버스 3100|포천 3100번]]. 두 노선 모두 직행좌석버스다. 그러나 이 쪽도 구분할 수 방법이 있는데, 3100번이 중앙차로에 정차하면 포천 3100번, 가변차로에 정차하면 안산 3100번이다.]보다는 낫다. * [[서울 버스 146|146번]], [[서울 버스 503|503번]]처럼 개편 직후에 에어로 스페이스가 다녔던 간선 노선이다. * 위례신도시를 경유하는 노선 중 최장거리 노선이었으며[* 지금은 3012번이 위례신도시 및 3권역 출발하는 모든 노선 통틀어서 가장 긴 노선이다.], 위례신도시 구간은 [[서울 버스 3012|3012번]]과 동일하다. * 한 때 위례신도시 - 잠실역 구간을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이었지만 2019년 5월 1일에 [[하남 버스 31|31번]]이 잠실역광역환승센터으로 연장되면서 옛말이 되었다. 다만 위례신도시 구간이 서로 다르다 보니 상호보완적 역할을 하며[* 위례신도시 내에서 둘이 모두 정차하는 정류장은 위례 초입에 있는 '위례31단지.위례포레샤인'이 유일하며, 362번은 위례의 서부와 남부, 31번은 위례의 동부와 북부를 커버한다.(위례 북부의 경우, 2021년 5월 22일부터 연장 개통한 [[서울 버스 3217|3217번]]으로도 갈 수 있으나, 거어동 구 종점과 오금동, 가락동을 경유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린다.)], 잠실역 접근성은 지하의 [[잠실광역환승센터]]에 정차하는 31번이 훨씬 더 좋다. 이 노선은 잠실역사거리에서 좌회전한 다음, 롯데월드 맞은편에 정차하기 때문. * [[대성운수]] 노선 중 최초이자 유일하게 6권역에 진입하는 노선이었다. 또한 서초/강남/송파를 벗어나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 노선 중간에 언덕이 솟은 것처럼 완만한 굴곡이 있다. 이는 잠원동 - 압구정동 - 청담동 - 봉은사 - 삼성역으로 이어지는 구간이다. 이는 30번 좌석버스 시절부터 다녀온 이 노선의 전통 구간인데, 그 구간 전체가 [[서울 버스 4318|4318번]]과 겹친다. * 고속터미널 - 흑석동효사정 구간에서 빠르게 여의도로 갈려면 매우 좋은 노선이었다. 똑같이 고속터미널과 여의도를 잇는 [[서울 버스 360|360번]]은 효사정 이후 노들역, 노량진역, 신길역을 다 경유하고 영등포로터리를 통해 서울교를 건너 여의도로 진입[* 다만, 배차는 이쪽이 훨씬 좋다.]하지만 362번은 흑석동효사정 이후 바로 [[노들로]]를 타고 여의도로 진입했다. * 노선 단축 이후 경유하는 사평대로 구간의 정체로 배차간격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사님들이 회차구간 경유후 신반포역 상가에서 화장실에 다녀오시는 경우가 있다. * 현재 노선 단축에 대해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노선 단축으로 때문에 기존 전철 음영지역의 장거리 수요가 증발해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여의도-잠원동, 압구정구간을 이용하는 승객이 여의도 수요의 상당부분을 차지했었다. 흑석동-압구정 수요도 어느정도 있었다.][* 잠원동에 [[잠원역]]이 있기는 하다. 허나 간선 도로인 잠원로가 아닌 웬 2차선 골목길에 역이 놓인 관계로 접근성이 의외로 좋지 않다(잠원로 연선에 사는 사람들이 이 역에 접근하려면 최소 10분 이상이 걸린다). 지하철을 탄다고 해도 여의도로 가려면 어차피 [[고속터미널역|다음 역]]에서 갈아타야 해서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 때문에 단축 전 이 노선이 상당히 메리트가 있었다.][* 압구정의 경우 지하철역이 [[압구정역|두]] [[압구정로데오역|개]] 있긴 한데, 전부 종축 노선만 지나간다. 즉 압구정로를 따라 횡축으로 움직이는 노선이 없다. 따라서 동서로 이동할 때는 버스가 압도적으로 편하다.], 잠원동, 압구정동 주민들에게는 노선 단축에 대한 의견을 모으지 않고 단축을 강행하여 불만을 가진 주민들이 늘었다.[* 특히 하교 수단으로 4318번의 보조노선으로 이용하던 세화고 학생들이 크게 불편해졌다. 원래 362번은 4318번과 달리 하교 시간대에는 구반포에 텅텅 비어와 한번에 많은 수송이 가능해 편했지만, 이제 구반포역 정류장에는 [[서울 버스 4318|4318번]] 하나 남았다. 그마저도 서문여고 학생들이 많아 보통이나 혼잡 상태로 오는 경우가 많다. 그나마 신반포역 쪽 래미안 정류장에서는 이 노선을 탈 수 있다는 게 소소한 위안. 다만 신반포역에서 휴식을 취한다는점과 심각한 저속운행으로 인해 외면받고 있다. 오죽하면 그냥 고속터미널에서 [[서울 버스 143|143번]]으로 갈아타겠다는 소리까지 나오는 중. ] 실제로 구반포역 수요는 세화고/세화여고 통학수요를 제외하고는 거의 전무하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3d5bab>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45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5,092명 || - || || 2014년 || 13,038명 || {{{#00f ▽ 2,054}}} || || 2015년 || 12,769명 || {{{#00f ▽ 269}}} || || 2016년 || 13,885명 || {{{#f00 △ 1,116}}} || || 2017년 || 16,250명 || {{{#f00 △ 2,365}}} || || 2018년 || 16,925명 || {{{#f00 △ 675}}} || || 2019년 || 16,241명 || {{{#00f ▽ 684}}} || || 2020년 || 11,912명 || {{{#00f ▽ 4,329}}} || || 2021년 || 11,695명 || {{{#blue ▽ 217}}}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4년에 9호선의 영향으로 흑석동까지 단축되어 승객이 2000명이나 줄었다 하지만, 이내 9호선의 초월적인 가축수송 때문에 2015년에 환원이 되어 다시 승객이 늘었다. 9호선의 반사 이익을 보고 있는 셈이다. === 노선 === ||<#3d5bab> {{{#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45번}}} || ||<^|1><#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6> '''서초구민체육센터.심산문화센터[br]22217''' || || 반포종합운동장[br]22977 ||<#3d5bab> || ||<#3d5bab> || ||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br]22023 || || 삼성래미안[br]22476 ||<#3d5bab> {{{#fff ↓}}} || ||<#3d5bab> {{{#fff ↑}}} || || 신반포역.세화여중고[br]22021 || || 고속터미널[br]22020 || ||<#3d5bab> ||<#3d5bab> || || 고속터미널[br]22019 || || 신반포자이아파트[br]22208 ||<#3d5bab> {{{#fff ↓}}} || || ||<#3d5bab> {{{#fff ↑}}} || 뉴코아아울렛[br]22207 || || 잠원성당[br]22206 ||<#3d5bab> || || ||<#3d5bab> || 잠원성당.아크로리버뷰아파트[br]22205 || || 잠원한신아파트[br]22174 ||<#3d5bab> {{{#fff ↓}}} || || ||<#3d5bab> {{{#fff ↑}}} || 잠원한신아파트[br]22204 || || 래미안신반포리오센트아파트[br]22175 ||<#3d5bab> || || ||<#3d5bab> || 신반포18차아파트[br]22176 || || 신사중학교[br]23101 ||<#3d5bab> {{{#fff ↓}}} || || ||<#3d5bab> {{{#fff ↑}}} || 신사중학교[br]23102 || || 광림교회.현대고등학교[br]23103 ||<#3d5bab> || || ||<#3d5bab> || 광림교회.현대고등학교[br]23104 || || 현대아파트[br]23149 ||<#3d5bab> {{{#fff ↓}}} || || ||<#3d5bab> {{{#fff ↑}}} || 현대아파트[br]23148 || || 압구정파출소[br]23157 ||<#3d5bab> || || ||<#3d5bab> || 압구정파출소[br]23156 || ||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br]23159 ||<#3d5bab> {{{#fff ↓}}} || || ||<#3d5bab> {{{#fff ↑}}} ||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br]23158 || || 청담초등학교앞[br]23182 ||<#3d5bab> || || ||<#3d5bab> || 청담초등학교[br]23165 || || 프리마호텔[br]23167 ||<#3d5bab> {{{#fff ↓}}} || || ||<#3d5bab> {{{#fff ↑}}} || 프리마호텔[br]23166 || || 영동교입구[br]23169 ||<#3d5bab> || || ||<#3d5bab> || - || || - ||<#3d5bab> {{{#fff ↓}}} || || ||<#3d5bab> {{{#fff ↑}}} || 우리은행청담지점.청담삼익아파트[br]23171 || || 청담역.경기고교[br]23170 ||<#3d5bab> || || ||<#3d5bab> || 청담역.경기고교[br]23188 || || 봉은사.삼성1파출소앞[br]23189 ||<#3d5bab> {{{#fff ↓}}} || || ||<#3d5bab> {{{#fff ↑}}} || 봉은사역3번출구.삼성1파출소[br]23192 || || 무역센터[br]23198 ||<#3d5bab> || || ||<#3d5bab> || 삼성역7번출구[br]23197 || || 강남경찰서.강남운전면허시험장[br]23473 ||<#3d5bab> {{{#fff ↓}}} || || ||<#3d5bab> {{{#fff ↑}}} || 강남경찰서면허시험장[br]23196 || || 잠실종합운동장[br]24154 ||<#3d5bab> || || ||<#3d5bab> || 잠실종합운동장[br]24144 || || 종합운동장사거리[br]24157 ||<#3d5bab> {{{#fff ↓}}} || || ||<#3d5bab> {{{#fff ↑}}} || 종합운동장사거리[br]24143 || || - ||<#3d5bab> || || ||<#3d5bab> || 잠실엘스아파트앞[br]24142 || || 잠실새내역4번출구[br]24158 ||<#3d5bab> {{{#fff ↓}}} || || ||<#3d5bab> {{{#fff ↑}}} || 잠실새내역.잠실2동주민센터[br]24141 || || 잠실트리지움아파트앞[br]24145 ||<#3d5bab> || || ||<#3d5bab> || 잠실5단지[br]24139 || || 잠실역.롯데월드[br]24146 ||<#3d5bab> {{{#fff ↓}}} || || ||<#3d5bab> {{{#fff ↑}}} || 잠실역.롯데월드[br]24138 || || 석촌호수.한솔병원[br]24004 || ||<#3d5bab> ||<#3d5bab> || || 석촌호수.한솔병원[br]24003 || || 석촌역[br]24006 || ||<#3d5bab> {{{#fff ↓}}} ||<#3d5bab> {{{#fff ↑}}} || || 석촌역[br]24005 || || 송파역[br]24008 || ||<#3d5bab> ||<#3d5bab> || || 송파역[br]24007 || || 가락시장.가락시장역[br]24010 || ||<#3d5bab> {{{#fff ↓}}} ||<#3d5bab> {{{#fff ↑}}} || || 가락시장.가락시장역[br]24009 || || 문정로데오거리입구[br]24012 || ||<#3d5bab> ||<#3d5bab> || || 문정로데오거리입구[br]24011 || ||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br]24014 || ||<#3d5bab> {{{#fff ↓}}} ||<#3d5bab> {{{#fff ↑}}} || ||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br]24013 || || 장지역.가든파이브[br]24016 || ||<#3d5bab> || ||<#3d5bab> || 장지역2번출구[br]24442 || || 위례31단지.위례포레샤인후문[br]24440 ||<#3d5bab> {{{#fff ↓}}} || || ||<#3d5bab> {{{#fff ↑}}} || 위례포레샤인.위례31단지후문[br]24439 || || 송파꿈에그린서문.위례포레샤인[br]24654 ||<#3d5bab> || || ||<#3d5bab> || 위례포레샤인.송파꿈에그린서문[br]24653 || || 송파한라비발디.송례중앞[br]24494 ||<#3d5bab> {{{#fff ↓}}} || || ||<#3d5bab> {{{#fff ↑}}} || 송파한라비발디.송례초앞[br]24493 || || 송파꿈에그린아파트[br]24495 ||<#3d5bab> || || ||<#3d5bab> || 위례아이파크아파트앞[br]24492 || || 자연앤센트럴자이정문[br]48376 ||<#3d5bab> {{{#fff ↓}}} || || ||<#3d5bab> {{{#fff ↑}}} || 한화오벨리스크[br]48372 || || 위례아트리버푸르지오[br]48629 ||<#3d5bab> || || ||<#3d5bab> || 위례보미리즌빌.위례아트리버푸르지오[br]48630 || || 래미안위례.위례고운초등학교앞[br]48641 ||<#3d5bab> {{{#fff ↓}}} || || ||<#3d5bab> {{{#fff ↑}}} || 래미안위례.위례고운초등학교앞[br]48640 || || 국방전직교육원.밀리토피아시티[br]48686 ||<#3d5bab> || || ||<#3d5bab> || 위례자연앤래미안e편한세상.위례[br]48685 || || 창곡교차로[br]48389 ||<#3d5bab> {{{#fff ↓}}} || || ||<#3d5bab> {{{#fff ↑}}} || 창곡교차로[br]48388 || || 안골.복정고등학교앞[br]48618 ||<#3d5bab> || || ||<#3d5bab> || 안골.복정고등학교[br]48617 || || 복정삼거리[br]48616 ||<#3d5bab> {{{#fff ↓}}} || || ||<#3d5bab> {{{#fff ↑}}} || 복정삼거리[br]48615 || ||<-6> '''복정역환승센터'''[br]'''24506 · 24500'''[*A ] || }}}}}}}}} || ||<#3d5bab>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잠실새내역]],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가락시장역]], [[압구정역]][* 현대아파트 하차.],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청담역]],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 [[복정역]][*B 복정역환승센터 정차[*A 여의도 방면은 4번 승강장 정차, 차고지 방면은 1번 승강장 정차.]], [[남위례역]][* 창곡교차로 하차], [[장지역]], [[문정역]], 가락시장역, [[송파역]], [[석촌역]], 잠실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석촌역, 종합운동장역, [[봉은사역]], 고속터미널역, [[신반포역]], [[구반포역]][* 편도경유(회차구간))]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복정역[*B [*A] ], [[압구정로데오역]] == 둘러보기 == [include(틀: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include(틀: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 [include(틀:위례신도시의 시내버스)] [[분류: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3권역]][[분류:197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성남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