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 [[파일:서울2014.png|width=100%]] || [[파일:2014_8403.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014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2014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2가(성수동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7가(동대문역사문화공원) || ||<|2> 종점[br]행 || 첫차 || 04:20 ||<|2> 기점[br]행 || 첫차 || 05:00 || || 막차 || 23:30 || 막차 || 00:10 || ||<-2> 평일배차 || 10~13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0~13분 / 공휴일 11~15분 || ||<-2> 운수사명 || [[태진운수]] ||<-2> 인가대수 || 14대(예비 1대)[* 토요일 12대 / 공휴일 10대 운행][* 예비차는 [[서울 버스 2412|2412]]번과 공동 사용.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4930977|관련 공문]]] || ||<-2><|2> 노선 ||<-4> 성수동차고지 - __제민약국[*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 영동대교북단 - 노룬산시장 - 자양4동주민센터[*단독] - 노룬산시장 - [[영동대교]]북단- 성수동진주타운__ - 뚝도시장구길 - 성수1가새마을금고 - [[서울숲]] - 한양대정문앞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신당역]].중앙시장 - [[충무아트센터]] → 을지로6가.[[국립중앙의료원]] → 방산시장.훈련원종합체육관 → 종로5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아트센터 → 이후 역순 || ||<-4>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 == 개요 == [[태진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2.7km다.[[http://map.naver.com/?busId=945|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번대#s-36|구 62번]] 도시형버스(자양동 - 서울역)가 전신이다. 과거에는 구로동까지 운행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동대문운동장(당시 명칭) - 서울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번호도 2014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12월 31일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하면서 가로변정류소들이 폐쇄됨에 따라 기존에 정차하던 종로6가를 무정차 통과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로 상에 정차하는 정류장은 없다. * 2018년 6월 2일부터 자양동차고지가 폐쇄됨에 따라 성수동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그로 인해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편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공휴일에 대해 각각 11회/24회/30회씩 감회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5374509|관련 공문]] * 2018년 9월 14일부터 평일 운행횟수가 또 13회 감회되었다.(토요일/공휴일 운행횟수는 현행 유지) 그리고 같은 날부터 평일과 토요일의 배차간격이 시간대에 따라 많게는 3분가량 증가했고, 공휴일의 경우는 운행시간 전반에 걸쳐 배차간격이 4~5분가량 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065394|관련 공문 1]]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523984|관련 공문 2]] * 2019년 1월 1일부터 1대가 감차되어 [[서울 버스 2412|2412번]]으로 이동했으며, 이에 따라 평일 운행횟수가 '''또''' 8회 감회되었다.(토요일/공휴일 운행횟수는 현행 유지) 다만, 이번 조치에 따라 배차간격에 생기는 실질적인 변화 정도는 비교적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873441|관련 공문]] * 2019년 4월 22일에 성수동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이로서 구 자양동차고지에서 성수동차고지까지의 공차거리는 없어지게 된다. [[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4443&off_docu_yn=C&search=&searchkey=|관련 공문]]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38648|관련 게시물]] 이에 따라 성수동대호빌라입구 - 신양초등학교앞 구간은 양방향 모두 중복정차한다. 따라서 혼란방지를 위해 행선판이 생겼다.(동대문 방향-파란색, 성수동방향-노란색) 성수동대호빌라입구 → 신양초등학교 방향은 큰 문제가 없으나, 신양초등학교 → 성수동대호빌라입구 방향은 왕십리 방향으로 갈 때는 반드시 행선판을 확인해야 한다. * 2020년 6월 12일을 기해 본래 04:30/23:40이던 기점 첫/막차시각이 04:20/23:30으로 10분씩 앞당겨졌으며, 공휴일 배차간격도 14~16분에서 11~15분으로 줄었다.(단, 평일/토요일/공휴일 모두 1일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http://opengov.seoul.go.kr/sanction/20538532|관련 공문]] == 특징 == * 동사 노선 중 유일하게 자양4동 차고지에서 출발했지만[* 그것도 뚝섬유원지를 잇는 유일한 노선.] 2018년 6월 자양동차고지가 폐쇄되어 성수동차고지에 주박하다가, 현재는 아예 성수동차고지에서 출발한다. 자양동에서 왕십리와 도심을 연계하는데 있어 중요한 노선이며 [[서울 버스 302|302번]]이 황학동까지 단축됨에 따라 [[서울 버스 2012|2012번]], [[서울 버스 2015|2015번]]과 함께 동대문 구간을 대체하는 성격도 띠고 있다. 그리고 회차 루트가 을지로5가, 종로5가를 지나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으로 돌며, 복편으로는 성덕정길을 거친 후 영동대교 정류소[* 성덕정길에 있으며, 이 노선만 단독으로 정차한다. 동일로에 위치한 영동대교북단 정류소(강남 방향)하고는 다르다.]를 지나 [[영동대교]] 다리 밑까지 가서 U턴을 한 후 영동교 정류소에 정차한 다음 차고지 방향으로 빠진다. * 여담으로 뚝섬유원지역 4번 출구로 내려가면 이 버스가 사용했던 차고지를 볼 수 있는데, '''정말 좁다.''' 개편 초기에는 2413까지 여기에서 주박했으니 차고지에 들어가지 못한 차량은 노상 주차가 가득했다. 현재는 차고지가 철거되어서 공터로 남아있으며 차고지가 있던 시절 존재했던 자양동 차고지 정류장도 폐지되어 없어졌다. * 또한 이 노선과 [[서울 버스 영등포11|영등포11번]]이 마을버스로 형간전환 전에 사용했던 번호인 62번하고 묘한 관계에 있는데[* 태진운수의 계열사였던 태진마을버스에서 운행중이다.] 2004년 개편 전에는 62번으로 있던 이 노선이 개편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는데 당시 여의도 순환버스인 823번이 개편으로 62번으로 바뀌면서, 개편 전 번호가 유지되었던 몇 안 되는 사례이기도 했다. 그러나 순환버스 62번이 전환된 2013년 10월 이후로는 이 사례가 무의미. * 2014번도 그렇지만, 모든 태진운수 노선들이 좁은 것을 많이 겪는 것 같다. 일단 조그만한 성수동, 뚝섬유원지, 구로5동 차고지. 그리고 차고지 옆에 있는 골목길. 또한 가스 충전하려면 성동구 소속 노선들은 서울숲 옆 충전소, 구로동 소속은 개포동, 양천차고지 등 다양하다. 하지만 거기서 5분만 가면 나오는 [[신흥운수(서울)|신흥운수]] 자양동 본사는 마을버스가 밖에 있을 정도로 넓은 편이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014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8,728명 || - || || 2014년 || 9,046명 || {{{#red △ 318}}} || || 2015년 || 9,046명 || - || || 2016년 || 8,903명 || {{{#blue ▽ 143}}} || || 2017년 || 9,027명 || {{{#red △ 124}}} || || 2018년 || 7,821명 || {{{#blue ▽ 1,206}}} || || 2019년 || 6,757명 || {{{#blue ▽ 1,064}}} || || 2020년 || 5,063명 || {{{#blue ▽ 1,694}}} || || 2021년 || 5,026명 || {{{#blue ▽ 37}}}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7년부터 종로 무정차 통과에, 대당 운행 회수 감소까지 발생하여 승객이 전체적으로 줄고있는 추세이다. === 노선 === ||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014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2> 종로5가[br]01212 ||<|2> ||<-2> {{{#ffffff ←}}} ||<|2> ||<|2> 방산시장.훈련원종합체육관[br]02167 || || || || || '''동대문역사문화공원[br]02173''' || {{{#ffffff ↓}}} || '''종점''' || || {{{#ffffff ↑}}} || 을지로6가.국립중앙의료원[br]02172 || ||<-6> 이상 회차 구간 || || 동대문역사문화공원[br]02235 || || || || || - || || 충무아트센터.스포츠센터.중부소방서[br]02178 || {{{#ffffff ↓}}} || || || {{{#ffffff ↑}}} || 충무아트센터.스포츠센터.중부소방서[br]02177 || || 신당역.중앙시장앞[br]02182 || || || || || 신당역.중앙시장앞[br]02181 || || 성동고등학교[br]02184 || {{{#ffffff ↓}}} || || || {{{#ffffff ↑}}} || 성동고등학교[br]02183 || || 신당파인힐하나유보라[br]02252 || || || || || 왕십리센트라스아파트[br]04103 || || 뉴타운아파트[br]04105 || {{{#ffffff ↓}}} || || || {{{#ffffff ↑}}} || - || || 상왕십리역[br]04101 || || || || || 상왕십리역[br]04102 || || 왕십리2동주민센터[br]04109 || {{{#ffffff ↓}}} || || || {{{#ffffff ↑}}} || 코스모타워.서울신용보증재단성동지점[br]04110 || || 왕십리역[br]04133 || || || || || 왕십리역[br]04134 || || 행당1동주민센터.성동소방서[br]04136 || {{{#ffffff ↓}}} || || || {{{#ffffff ↑}}} || 행당동삼부아파트[br]04137 || || 한양대정문[br]04129 || || || || || 한양대정문앞[br]04130 || || 성동교남단[br]04186 || {{{#ffffff ↓}}} || || || {{{#ffffff ↑}}} || 성동교남단[br]04185 || || 성동구민종합체육센타[br]04180 || || || || || 성동구민종합체육센타[br]04179 || || 뚝도아리수정수센터수도박물관[br]04176 || {{{#ffffff ↓}}} || || || {{{#ffffff ↑}}} || 뚝도아리수정수센터수도박물관[br]04175 || || 성수1가1동새마을금고[br]04171 || || || || || 성수1가1동새마을금고[br]04172 || || 서울숲지구대앞[br]04199 || {{{#ffffff ↓}}} || || || {{{#ffffff ↑}}} || 서울숲지구대앞[br]04200 || || 뚝도시장구길[br]04201 || || || || || 뚝도시장구길[br]04202 || || 성수동대호빌라입구[br]04203 || {{{#ffffff ↓}}} || || || {{{#ffffff ↑}}} || 성수동대호빌라입구[br]04204 || || 제민약국[br]04291 || || || || || 제민약국[br]04288 || || 영동대교[br]04205 || {{{#ffffff ↓}}} || || || {{{#ffffff ↑}}} || 영동대교[br]04206 || || 영동대교북단[br]05220 || || || || || - || || 노룬산시장앞[br]05221 || {{{#ffffff ↓}}} || || || {{{#ffffff ↑}}} || 노룬산시장앞[br]05219 || || 국민은행신자양지점[br]05200 || || || || || 국민은행신자양지점[br]05215 || || 자양4동주민센터앞[br]05223 || {{{#ffffff ↓}}} || || || {{{#ffffff ↑}}} || 신양초등학교앞[br]05222 || || 신양초등학교앞[br]05222 || || || || || 자양4동주민센터앞[br]05223 || || 국민은행신자양지점[br]05215 || {{{#ffffff ↓}}} || || || {{{#ffffff ↑}}} || 국민은행신자양지점[br]05200 || || 노룬산시장앞[br]05219 || || || || || 노룬산시장앞[br]05221 || || - || {{{#ffffff ↓}}} || || || {{{#ffffff ↑}}} || 영동대교북단[br]05220 || || 영동대교[br]04206 || || || || || 영동대교[br]04205 || || 제민약국[br]04288 || {{{#ffffff ↓}}} || || || {{{#ffffff ↑}}} || 제민약국[br]04291 || || 성수동대호빌라입구[br]04204 || || || || || 성수동대호빌라입구[br]04203 || ||<-6> '''성수동차고지'''[br]'''04286'''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종로5가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한양대역]], [[왕십리역]], [[상왕십리역]], [[신당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왕십리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당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뚝섬유원지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왕십리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서울숲역]], 왕십리역 * 일반 철도역: 왕십리역(ITX-청춘)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