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파일:서울1226.pn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6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1226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상월곡동(월곡중학교) ||<-2>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경동시장) || ||<|2> 종점[br]행 || 첫차 || 04:30 ||<|2> 기점[br]행 || 첫차 || 04:45 || || 막차 || 22:40 || 막차 || 22:55 || ||<-2> 평일배차 || 22~5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22~50분 / 공휴일 50~90분 || ||<-2> 운수사명 || [[흥안운수]] ||<-2> 인가대수 || '''2대'''[* 인가 상 2대 중 1대가 예비차로 되어 있으나, 이것이 평일/토요일엔 정규차로 투입되니, 사실상 예비차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서울 버스 102|102번]]과 비슷한 맥락.] || ||<-2> 노선 ||<-4> 월곡중학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대농빌라[*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 월곡2SH빌아파트[*단독] →/ ← 동덕여대앞 ← [[월곡역]] ← 월곡래미안루나벨리[*단독] ← 신종월교[*단독] ←) - 월곡샹그레빌아파트 - 세종대왕기념관 - 동대문경찰서 → 현대코아 → 청량리.청과물도매시장 → [[경동시장]] → 동대문중앙새마을금고 → 동대문경찰서 → 이하 역순 || == 개요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근처 교통소외지역을 담당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72km다. [[http://map.naver.com/?busId=1432&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부운수]] 133-1번이 담당하던 구간이었는데, 폐선해버리면서 순식간에 교통소외지역이 되어버렸다. 이후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이 인수하면서 하월곡동 - 경동시장 구간만 442번 순환버스로 부활했다. 1997년 6월 4일에 [[영신여객(서울)|영신여객]]에 매각되었다. * 이후 미아삼거리 - 월곡역 구간이 연장되어 구 도시형 6-1번(現 [[서울 버스 120|120번]])을 보완하는 형태로 운행하다가,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1219번이 되면서 우이동까지 연장되었다. * 그러나 증차 없이 노선만 연장된 채 배차간격이 심각하게 벌어졌고, 결국 '청량리 - 월곡전화국'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05년 8월 9일에 4.19묘지입구에서 화계사입구로 바로 가도록 변경되었고, 월곡 대신 국민대로 가게 되면서 [[서울 버스 1166|1166번]]으로 변경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707|관련 공지사항]] * 이 때문에 한국과학기술원 쪽이 다시 교통소외지역이 된지라 흥안운수에서 2005년 5월 16일에 이 노선을 개통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609|관련 공지사항]] * 2018년 5월 28일부터 기존 2회 운행을 1회 운행으로 간주하여 그에 따른 휴게시간을 부여하게 됐다. 즉, [[서울 버스 02|02번]]처럼 두 바퀴가 한 탕이 된다는 것. 때문에 자연스럽게 막차도 20분 가량 연장되는 효과가 생겼었다. 위 노선정보표 참고.[[http://opengov.seoul.go.kr/sanction/15284737|관련 공문]] 그와 동시에 대당 1일 운행횟수 감축이 병행되면서, 배차간격 역시 평일/토요일 20~55분 간격, 공휴일 50~80분 간격으로 조정되었다. * 2020년 6월 8일부터 다시 한 바퀴를 한 탕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환원됐다. 이로 인해 인가상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늘었으나 실질적인 총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2회씩, 공휴일의 경우 1회 감회되었으며, 배차간격의 경우도 평일/토요일 20~35분 간격, 공휴일 40~70분 간격으로 조정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0486319|관련 공문]] 다만 버스정보시스템 상 노선의 경우는 기존대로 2회 운행 코스로 유지되었으나, 일자 미상으로 이 또한 1회 운행으로 환원되었다. * 2021년 8월 2일 첫차부터 월곡중학교(상월곡역)으로 연장되었다. 이번 노선조정으로 운행 거리가 소폭 증가했고 전일에 걸쳐 35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44분으로 늘어났으며,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운행횟수 역시 전일에 걸쳐 감축되었다. 이번 조치로 1일 총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46/46/23회에서 42/42/21회로 각각 4/4/2회씩 감회되었고,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배차간격 역시 20~40분/20~40분/40~80분에서 22~50분/22~50분/50~90분으로 늘어났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602409|관련 공문]], [[https://m.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065596460237519|관련 기사]] == 특징 == * 흥안운수의 유일한 [[아웃 ○○ 노선|아웃 노원]] 노선이다. * 인가대수가 '''2대'''밖에 없다. ~~본격 도심 속 [[농어촌버스]]~~ 이는 마을버스를 제외한 시내버스(특히 정규시내버스) 중 가장 인가대수가 적은 것으로, [[북부운수]]의 남산순환버스는 물론 흥삼한 계열 내에서도 가장 적은 것이다. [[서울 버스 8111|8111번]]과 [[서울 버스 1146|1146번]]도 인가대수가 2대였으나 폐선되면서 단독으로 제일 적은 인가대수를 가진 노선이 되었다.[* 그 다음은 3대인 1129번.] * 노선 길이가 짧아(7.9km) 차등요금을 받을 법 하나, '''일반요금'''을 그대로 받고 있다. 차라리 [[서울 버스 영등포10|영등포10번]] 사례처럼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을 하는게 어떠냐는 말도 있으나, 마을버스 업체 최소 보유대수가 7대라 이 노선만 형간전환하는 것으로는 보유대수 기준 미달로 불가능하다. 결정적으로 차등지선요금 자체가 한시적인 성격이 강하다. * 442번 시절에도 그렇지만 항상 사람이 없다. 133-1번 시절에도 [[서부운수]]가 서울시에 뇌물까지 제공하며 폐선한 흑역사가 있다. 133-1이 월곡동 구간 분리 이전 133번 시절에도 134번이나 133-2번에 비해서 배차간격이 엄청 길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03100209147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0-31&officeId=00020&pageNo=47&printNo=23354&publishType=00010|133-1 폐선 관련 링크]] 442번 시절에는 텅텅 비어 다녔고. 그 노선을 이어받은 1226번도 그렇다. 때문에 서울 도심 근처를 다니는 노선임에도 배차간격이 50분까지 벌어지는 노선이다. 그렇다고 섣불리 폐선하기는 힘든 노선인데, 이 지역에서는 대체 교통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주변에 6호선 [[고려대역]]과 [[월곡역]]이 있긴 하지만, 걸어가기에는 좀 애매한 거리이며 도보환경도 좋지 않다.(약 15~20분 소요) 지하철역과 떨어진 동네는 많지만 이곳은 시내버스가 다니다가 사라진 곳이기 때문에 약간 다른 경우라 할 수 있겠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계륵]]과 같은 존재라 할 수 있겠다.'''[* 실제로 상월곡역 노선 연장 심의 당시 심의위원들 조차도 이 노선을 뭔가 한심한 노선으로 취급하는 뉘앙스를 풍겼다.[[https://m.dcinside.com/board/transit/316022|#]]] 현재는 [[서울 버스 201|201번]]이 홍릉-청량리역구간을 배차간격 15~30분 내외에서 같이 운행해주고 있고, 그 이북지역은 출퇴근시간을 제외하면 이용객이 많이 없는 상황이다. * 이전에도 몇 번 폐선안이 올라왔으며, 가장 최근으로는 2015년 상반기 노선 조정 당시에 폐선안이 제출되었으나 최종 심의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단독 구간의 대체 노선이 전혀 없기 때문. * 이 노선의 단독구간은 서울시의 교통음영지역을 없앤다는 교통복지 정책기조, 준공영제 하의 현실을 종합하여 볼 때 폐선은 민원으로 인한 보류는 커녕 심의위원회에서 가결되기조차 매우 어렵다. 이 노선은 정규노선 중에서 수입금 최하위를 차지했다. * 평일 점심시간이나 휴일에는 염광고 앞 삼화상운차고지까지 와서 주박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상월곡역 연장 이후에는 월곡초등학교 정류장 앞에서 휴식을 한다. === 시간표 === [[파일:1226bustime.jpg]]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6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338명 || - || || 2014년 || 330명 || {{{#blue ▽ 8}}} || || 2015년 || 329명 || {{{#blue ▽ 1}}} || || 2016년 || 321명 || {{{#blue ▽ 8}}} || || 2017년 || 344명 || {{{#red △ 23}}} || || 2018년 || 354명 || {{{#red △ 10}}} || || 2019년 || 331명 || {{{#blue ▽ 23}}} || || 2020년 || 242명 || {{{#blue ▽ 89}}} || || 2021년 || 231명 || {{{#blue ▽ 11}}}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실질적으로 연계하는 것은 [[월곡역]]과 [[상월곡역]]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머지는 도보로 가야 하기때문이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청량리역]][*도보1 현대코아 정류장에서 도보 130m]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역]], [[월곡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청량리역[*도보1]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청량리역[*도보1]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도보1] * 일반 철도역: 청량리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도보1]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0,1권역]][[분류:2005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