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파일:1221_1888.pn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1번}}} || ||<-2> 기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중계본동종점)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신내9단지.서울의료원) || ||<|2> 종점[br]행 || 첫차 || 04:30 ||<|2> 기점[br]행 || 첫차 || 04:57 || || 막차 || 23:30 || 막차 || 23:58 || ||<-2> 평일배차 || 14~27분 ||<-2> 주말배차 || 18~25분[* 일부 시간대의 경우 30분 넘게 벌어지기도 한다.] || ||<-2> 운수사명 || [[흥안운수]] ||<-2> 인가대수 || 5대[* 토요일 / 공휴일 4대 운행] || ||<-2> 노선 ||<-4> 중계본동종점 - 중계주공6.7단지 - [[서라벌고등학교]] - 노원경찰서 - [[하계역]] - 서울과학기술대입구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화랑대역]] - [[봉화산역]] → 봉화초등학교 → 신내10단지[*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 신내9단지.[[서울의료원]] → 봉화산역 → 이후 역순 || == 개요 == [[흥안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5.64km다.[[https://map.naver.com/?busId=857&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구 10번 도시형버스(중계동 - 동대문)가 전신이다. 이때 동대문 종합시장 주차장 (현.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 건너편 SC제일은행 앞이 동대문 회차지(종점)였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중계동 구간을 일부 변경하고 경동시장까지 단축했다. 번호도 1221번으로 바뀌었다. * 2006년 4월 13일부로 1167번 신설을 위해 2대 감차되었다. * 2008년 6월 1일에 '태릉사거리 - 경동시장' 구간이 '태릉사거리 - 봉화산역'으로 변경되었으며, 동시에 4대 감차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092536|관련 기사]] * 2010년 1월 8일에 공릉길 대신 동1로 경유로, 화랑로에서 신내길 경유로 변경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1008|관련 공지사항]] * 2010년 3월 29일에 중랑구립도서관. 체육관, 신내우체국 경유 회차로 바뀌었다. * 2012년 10월 4일에 봉화산역에서 서울의료원까지 연장되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3474|관련 공지사항]] * 2018년 5월 28일을 기해 대당 1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각각 4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조치에 따라 평일 최소 배차간격이 기존 13분에서 14분으로 늘었으며, 토요일과 공휴일의 배차간격이 17~25분으로 통일되면서 토요일 최대 배차간격의 경우는 기존에 비해 5분 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5284737|관련 공문]] * 2020년 11월 1일을 기해 평일 14~20분, 토요일/공휴일 각각 17~25분이던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평일 14~27분, 토요일/공휴일 18~25분으로 조정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1654667|관련 공문]][* 단, 1일 총 운행횟수는 전일에 걸쳐 변동 없음] == 특징 == * 청량리까지 단축되어 다니던 시절에는 [[서울 버스 105|105번]]과 [[서울 버스 1227|1147번]]의 보조역할에도 충실했으며 특히 [[서울 버스 1224|1224번]]이 개편초 동일로지하차도까지만 다니던 때는 이를 대체하는 성격도 있었다. 다만 1224번이 청량리로 연장되어 중복되자 이후 봉화산역으로 회차지를 변경하게 된다. * [[은행사거리]] 부근부터 중랑구 구간까지 [[서울 버스 1143|1143번]]과 함께 환승 없이 연결해 주는데[* 다만 1143의 경우 조금 미묘한데, 중계동 - 신내동 구간이라면 갈아타지 않아도 되지만, 신내동에서 은행사거리 방면으로 갈 경우 종점에서 한 번 갈아타야 한다.] 1143번에 비해 노선이 짧아 1143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추세. 배차간격도 이 노선보다는 1143번이 좀 더 빠르다. 둘 다 20분 내외의 도찐개찐이긴 하지만.. * 일부 시간대에는 [[서울 버스 1138|1138번]]급의 배차간격이 있다. 특히 주말 낮~오후 시간대가 제일 심한 편. 이때는 30분대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가 많으니, 버스를 놓쳤다 싶으면 그냥 다른 버스 이용하는 게 낫다. * 여담으로 2021년 6월 초에 네이버, 카카오맵 버스도착정보 안내서비스에서 일요일 배차간격이 '''251'''분이라고 뜨는 오류가 있었으나, 다행히 얼마 지나지 않아 둘 다 오류가 수정되었다. * 태릉입구역에서 화랑대역 방향으로 좌회전하고, 태릉입구역 ~ 하계역 동일로 구간을 경유해서 한글비석로로 들어가는 유일한 지선버스 노선이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2,589명 || - || || 2014년 || 2,637명 || {{{#red △ 48}}} || || 2015년 || 2,704명 || {{{#red △ 67}}} || || 2016년 || 2,789명 || {{{#red △ 85}}} || || 2017년 || 2,757명 || {{{#blue ▽ 32}}} || || 2018년 || 2,653명 || {{{#blue ▽ 104}}} || || 2019년 || 2,678명 || {{{#red △ 25}}} || || 2020년 || 1,984명 || {{{#blue ▽ 694}}}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노선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1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2> - ||<|2> ||<-2> {{{#ffffff ←}}} ||<|2> ||<|2> 신내10단지아파트[br]07461 || || || || || '''신내9단지아파트.서울의료원[br]07280''' || {{{#ffffff ↓}}} || '''종점''' || || {{{#ffffff ↑}}} || 봉화초등학교[br]07284 || ||<-6> 이상 회차 구간 || || 봉화산역2번출구[br]07296 || {{{#ffffff ↓}}} || || || {{{#ffffff ↑}}} || 봉화산역3번출구[br]07297 || || 지하철6호선화랑대역[br]07295 || || || || || 지하철6호선화랑대역[br]07294 || || 화랑대역2번출구[br]11139 || {{{#ffffff ↓}}} || || || {{{#ffffff ↑}}} || 화랑대역1번출구[br]11118 || || 경춘선숲길.토끼굴앞[br]11113 || || || || || 주유소앞다운복지관[br]11114 || || 농협앞[br]11116 || {{{#ffffff ↓}}} || || || {{{#ffffff ↑}}} || 태릉입구역7번출구[br]11117 || || 태릉입구역4번출구[br]11103 || || || || || - || || 공릉시장[br]11101 || {{{#ffffff ↓}}} || || || {{{#ffffff ↑}}} || 공릉시장[br]11102 || || 공릉역1번출구[br]11161 || || || || || 공릉역4번출구[br]11162 || || 서울과학기술대입구[br]11159 || {{{#ffffff ↓}}} || || || {{{#ffffff ↑}}} || 서울과학기술대입구[br]11160 || || 하계미성아파트[br]11417 || || || || || 하계미성아파트[br]11448 || || 하계미성아파트.을지병원[br]11425 || {{{#ffffff ↓}}} || || || {{{#ffffff ↑}}} || 하계역[br]11426 || || 한성여객종점[br]11429 || || || || || - || || 대진고등학교[br]11433 || {{{#ffffff ↓}}} || || || {{{#ffffff ↑}}} || 골마을근린공원[br]11434 || || 서울온천[br]11435 || || || || || 하계1동주민센터[br]11436 || || 노원경찰서.혜성여고[br]11437 || {{{#ffffff ↓}}} || || || {{{#ffffff ↑}}} || 노원경찰서[br]11438 || || 동천학교[br]11439 || || || || || 동천학교[br]11440 || || 서라벌고등학교[br]11351 || {{{#ffffff ↓}}} || || || {{{#ffffff ↑}}} || 서라벌고등학교[br]11441 || || 불암중학교[br]11352 || || || || || 불암중학교[br]11353 || || 대림벽산아파트[br]11412 || {{{#ffffff ↓}}} || || || {{{#ffffff ↑}}} || 중계주공6단지[br]11413 || || 중계주공7단지[br]11410 || || || || || 중계주공6단지상가[br]11411 || || - || {{{#ffffff ↓}}} || || || {{{#ffffff ↑}}} || 중계본동주민센터[br]11406 || || 노원우체국[br]11407 || || || || || 노원우체국[br]11408 || ||<-6> '''중계본동종점'''[br]'''11409'''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태릉입구역]], [[화랑대역]], [[봉화산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 [[공릉역]], 태릉입구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0,1권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