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파일:20210106_151728 (1).jpg]] [목차] == 노선 정보 == ||<-6><#5bb02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3번 || ||<-2> 기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중계본동종점) ||<-2> 종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수락리버시티3.4단지)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5:33(수락리버시티) / 06:18(신내우체국) || || 막차 || 23:30 || 막차 || 00:03(수락리버시티) / 00:40(신내우체국) || ||<-2> 평일배차 || 13~25분 ||<-2> 주말배차 || 17~29분 || ||<-2> 운수사명 || [[흥안운수]] / [[삼화상운]] / [[한성여객]] ||<-2> 인가대수 || 8대[* 흥안운수 5대 / 삼화상운 2대 / 한성여객 1대. 삼화상운 차량은 전량 예비차로 인가되어 있다.][* 토요일 / 공휴일 7대 (흥안운수 4대, 삼화상운 2대, 한성여객 1대) 운행] || ||<-2> 노선 ||<-4> 중계본동종점 - (← ( 중계본동종점까지 역순으로 운행) ← [[화랑대역]] ← 신내4단지 ← 신내우체국 ← 화랑대역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후문 ← {{{#aaa 공릉터널}}} ← 불암산종합스타디움[*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 중계본동종점 ←) - 노원문화예술회관.불암초등학교 - [[은행사거리]] - 노원구민체육센터 - 상명고등학교 - 상계119안전센터 - [[상계역]] - 상계5동주민센터 - 청원고등학교 - 상계주공9.12단지([[마들역]]) - [[수락산역]] - 수락중고등학교 - 수락리버시티1단지후문 → 수락리버시티1단지정문 → 수락리버시티3.4단지 → 이후 역순 || == 개요 ==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5.6km다. [[http://map.naver.com/?busId=826|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구 484번 지역순환버스(상계역 - 영신여고)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노원교입구로 연장되었고, 번호도 1143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5월 16일에 노원교입구로 가지 않고 홍파복지원사거리서 U턴하도록 변경되었고, '중계주공10단지.롯데우성아파트 → 영신여고입구 → 노원문화예술회관.불암초교 → 은행사거리 → 중계주공10단지.롯데우성아파트' 구간이 '중계주공10단지.롯데우성아파트 - 중계본동사무소(당시 명칭) - 중계본동종점'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서울 버스 1166|1219번]]이 솔샘터널 경유로 변경되면서, 1219번의 KIST 구간을 이어받을 1226번 신설을 위해 2대가 감차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607|관련 공지사항]] * 2008년 12월에, 유상감차 말소로 1대가 감차되었다. 감차분은 한성여객으로 양도되었다. * 2009년에 수락리버시티로 연장되었고, 삼화상운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차량은 1133번에서 가지고 왔다. * 2011년 5월 2일에 '중계본동 - 불암산종합스타디움 - 하계동'으로 연장되었고, 한성여객이 공동 배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 2011년 8월 25일에 하계동 대신 공릉터널, 화랑대역 경유 봉화산역으로 가게 되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2845|관련 공지사항]] * 2019년 11월 8일을 기해 공휴일의 흥안운수 운행차량이 1대 감편되었다. 그리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본래 90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05분으로 늘어나고,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8회/7회/16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전일에 걸쳐 13~20분이던 배차간격도 평일의 경우 13~25분으로 늘었으며,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17~29분'''으로 크게 늘어났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056880|관련 공문]] == 특징 == * [[서울 버스 3012|3012번]]과 더불어 3개 회사 공동배차 노선이다.[* 다만 셋이 계열사 관리라 사실상 [[흥안운수]] 단독 배차 운행이라 봐도 틀린 말은 아니다.] * '마들역 - 상계역 - 은행사거리' 구간은 [[한글비석로]]로 연결되는 구간이다. 하지만, '마들역 - 상계역' 구간은 한글비석로를 경유하나, '상계역 - 은행사거리' 구간은 [[상명고등학교]] 인근으로 우회하고, 대신 [[서울 버스 1142|1142번]]이 한글비석로를 경유한다. * 기종점이 노선 중간에 위치해 있어서, 중간에 중계본동을 거쳐가야 할 경우 여기서 환승해야 한다. 물론, 동일노선 환승처리로 처리되므로 추가요금 부과는 없다. * 중계본동 영업소 노선 중 왕복 운행거리가 가장 길다.[* 원래 중계본동 - 상계역을 잇던 단거리 노선이 대개편 때 노원교로 연장, 다시 수락리버시티 연장, 하계동 연장을 거쳐 다시 신내동 연장이 이뤄지면서 중계본동에서 가장 긴 노선이 되었다. 정작 3배 가까운 거리를 운행하게 되었음에도 대개편 당시에 비해 운행댓수는 1대도 늘지 않아서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다.] * 경유하는 정류장 중 '봉화산역' 정류장이 없어 봉화산역을 경유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신내우체국' 정류장에서 2분 거리에 봉화산역 4번 출구가 있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5bb025>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3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3,461명 || - || || 2014년 || 3,643명 || {{{#f00 △ 182}}} || || 2015년 || 3,865명 || {{{#f00 △ 222}}} || || 2016년 || 3,864명 || {{{#00f ▽ 1}}} || || 2017년 || 3,896명 || {{{#f00 △ 32}}} || || 2018년 || 3,929명 || {{{#f00 △ 33}}} || || 2019년 || 3,922명 || {{{#00f ▽ 7}}} || || 2020년 || 2,647명 || {{{#00f ▽ 1,275}}} || || 2021년 || 2,831명 || {{{#red △ 184}}}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상계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화랑대역]], [[봉화산역]][* 신내우체국 하차.]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마들역]], [[수락산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0,1권역]][[분류:의정부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