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 [[파일:흥안1138_LFSAC.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38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138 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4동종점)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수유역.강북구청) || ||<|2> 종점[br]행 || 첫차 || 04:30 ||<|2> 기점[br]행 || 첫차 || 05:00 || || 막차 || 23:40 || 막차 || 00:10 || ||<-2> 평일배차 || 17~28분 ||<-2> 주말배차 || 17~28분[* 흥안운수 본사에 따르면 주말에는 30~40분 이상의 배차로 늘어날 때도 있다고 한다.] || ||<-2> 운수사명 || [[흥안운수]] ||<-2> 인가대수 || 5대[* 예비차량은 1139,1224번과 공동 사용하며, 주말에는 3대로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 ||<-2> 노선 ||<-4> 상계4동종점 - 불암현대아파트 - [[상계역]] - [[노원역]] - 노원구청 - 창4동주민센터 - 창1동주민센터[*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 신창.창동시장 - 창2동주민센터·보건지소 - 수유3동우체국 → [[수유역]].강북구청 → 삼성화재강북지점 → 수유역·노스페이스문화센터 → 수유3동우체국 → 이후 역순 || == 개요 == [[흥안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7.7km다. [[https://map.naver.com/v5/bus/bus-route/-/bus-route/821?c=14141519.0567551,4530819.1835466,13,0,0,0,dh|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0번대#s-15|구 7번]](상계7단지 ~ 망원동) 도시형버스가 전신이다.[* 한성버스 부도로 흥안운수가 인수했으나 파행운행의 이력이 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수유역 - 망원동' 구간을 단축한 채 창동구간을 일부 변경하고 '상계7단지(노원역) - 상계4동차고지' 구간을 연장했으며[* 동사 225번이 1134번으로 개편되면서 상계7단지 출발로 조정되었고 그걸 대체하기 위해 연장된 것이다.], 번호도 1138번으로 바꾸었다. 사실상 말이 7번 단축이지 실제로는 폐선 후 재신설이라고 봐도 무방한 수준. * 2004~5년에는 '동막골유원지 - 당고개역 - 상계제일시장 - 노원역 - 창동역' 구간으로 주말 맞춤버스를 운행하기도 했다. * 2009년 1월에 유상감차로 1대가 감차되었다. * 2012년 12월 8일에 '상계4동차고지 - 당고개오거리 - 상계역 - 상계제일시장 - 노원역(4호선) - 노원구청' 구간을 '상계4동차고지 - 당고개역 - 은행사거리 - 중계주공 3,4,5단지 - 노원역(7호선) - 노원구청'으로 변경하고 '덕릉고개 - 덕릉초교 - 쌍용예가아파트 - 불암동입구 신안인스빌 - 별내더샵아파트 - 대원칸타빌아파트 - 덕흥주유소 - 덕릉고개' 구간이 연장되었다. 노선이 대폭 길어지면서 삼화상운 및 한성여객이 공동배차로 운영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3대가 증차되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3518|관련 공지사항]] * 2013년 5월 28일에 별내신도시, 중계동 구간을 폐선하면서 기존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이때 별내신도시 구간은 수요가 없다는 이유로 폐지되었는데, 2013년 경 별내신도시는 아직 활성화 되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수요가 적게 나올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자회사에서 굴리던 33, 85번 마을버스까지 있었던지라 제 살 깎아먹기 식의 경쟁까지 이뤄졌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한성여객, 삼화상운에서 차출한 차량은 각각 100, 103번으로 이동했다. 또한 타 노선에서 차출한 차량은 146번으로 이동했다. * 2019년 5월 13일을 기해 동년 9월 30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5회씩 감회 운영되었고, 이에 따라 본래 27분인 최대 배차간격도 28분으로 조정 운영되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7772684|관련 공문]] * 2020년 7월 6일을 기해 동년 10월 5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가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5회씩 감회 운영되었고, 이에 따라 최대 배차간격도 27분에서 28분으로 늘어났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20706130|관련 공문1]], [[http://opengov.seoul.go.kr/sanction/20715803|관련 공문2]] * 2021년 12월 8일을 기해 승무원 식시시간 확보를 위해 상세 배차 조정이 단행됨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5~27분이던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17~28분으로 확대 조정되었다.(단, 1일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view/?nid=24921738|관련 공문]] * 2022년 7월 1일을 기해 동년 8월 31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 등의 영향으로 대당 1일 운행횟수가 일시적으로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도 55회에서 각각 5회씩 감회된 50회로 운행했다. 다만 최소/최대 배차간격 자체는 전일에 걸쳐 변동 없이 운행 했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6296284|관련 공문]] == 특징 ==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보통 상계고등학교나 노원구청으로의 통학, 통근을 목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편이나, [[서울 지하철 4호선]]과 대부분의 노선이 겹치는 데 비해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다보니 영 맥을 못 추는 상황이다.[* 그렇다보니 2007년 여름부터 가을까지는 수요가 폭발적이던 1142번에 대형차를 투입시키고, 1138번에는 중형차가 투입되었으나 그 해 말에 다시 환원되었다.]그나마 지하나 지상으로 몇 층씩 이동해야 하는 전철의 단점 탓에 1138번 버스가 금방 옴을 확실히 알 수 있을 때에 한해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정도는 있다. * 창동주공3단지 일대에 단독구간이 있다. 지하철역과의 거리가 어중간한 곳이라 수유역 - 노원역 간 양 상권을 이어주는 본 노선을 탑승하는 편. 2018년 정기노선조정 당시 109번이 이 구간에 추가 투입되는 조정안이 나오면서 이 노선은 수요가 크게 줄 위기에 처했지만, 109번의 노선 조정이 무산되었다. * 실질적으로 대부분의 수요가 나오는 곳은 덕릉로 일대와 수유역 간의 이동 수요. [[서울 버스 1127|1127번]]과 분담하고 있으나, 두 노선 모두 배차간격이 좋지 않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38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2,061명 || - || || 2014년 || 2,402명 || {{{#red △ 341}}} || || 2015년 || 2,589명 || {{{#red △ 187}}} || || 2016년 || 2,675명 || {{{#red △ 86}}} || || 2017년 || 2,495명 || {{{#blue ▽ 180}}} || || 2018년 || 2,352명 || {{{#blue ▽ 143}}} || || 2019년 || 2,326명 || {{{#blue ▽ 26}}} || || 2020년 || 1,986명 || {{{#blue ▽ 340}}} || || 2021년 || 2,038명 || {{{#red △ 52}}} || || 2022년 || 2,115명 || {{{#red △ 77}}}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노선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38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6> 삼성화재강북지점 · 수유역[br]09206 · 09003 || || 수유역.노스페이스문화센터[br]09248 || || || || || '''수유(강북구청)역[br]09013''' || || 수유3동우체국[br]09247 || {{{#ffffff ↓}}} || || {{{#ffffff ↑}}} || || 수유3동우체국[br]09001 || || 태영데시앙아파트[br]10336 || || || || || 태영데시앙아파트[br]10331 || || 창2동주민센터.보건지소[br]10253 || {{{#ffffff ↓}}} || || || {{{#ffffff ↑}}} || 창2동주민센터.보건지소[br]10252 || || 창번2교앞[br]10314 || || || || || 금용아파트[br]10313 || || 창동서울탁주앞[br]10250 || {{{#ffffff ↓}}} || || || {{{#ffffff ↑}}} || 창동서울탁주앞[br]10251 || || 창동.신창시장[br]10330 || || || || || 창동.신창시장[br]10331 || || KEB하나은행창동지점[br]10248 || {{{#ffffff ↓}}} || || || {{{#ffffff ↑}}} || KEB하나은행창동지점[br]10249 || || 창림초교창동신창아파트앞[br]10246 || || || || || 창림초교창동신창아파트앞[br]10247 || || - || {{{#ffffff ↓}}} || || || {{{#ffffff ↑}}} || 도봉문화정보도서관[br]10245 || || 서울가든아파트앞[br]10269 || || || || || - || || 창1동주민센터[br]10270 || {{{#ffffff ↓}}} || || || {{{#ffffff ↑}}} || 창1동주민센터[br]10271 || || 창동주공3단지[br]10272 || || || || || 창동주공3단지[br]10273 || || 서울북부지방법원등기국[br]10231 || {{{#ffffff ↓}}} || || || {{{#ffffff ↑}}} || 서울북부지방법원등기국[br]10232 || || 창4동주민센터[br]10235 || || || || || 창4동주민센터[br]10236 || || 노원구청[br]11252 || {{{#ffffff ↓}}} || || || {{{#ffffff ↑}}} || 노원구청[br]11251 || || 노원역1번출구[br]11211 || || || || || 노원역9번출구[br]11210 || || 상계2동주민센터[br]11242 || {{{#ffffff ↓}}} || || || {{{#ffffff ↑}}} || 상계2동주민센터[br]11262 || || 상계중앙시장입구[br]11222 || || || || || 상계중앙시장입구[br]11223 || || 상계역[br]11391 || {{{#ffffff ↓}}} || || || {{{#ffffff ↑}}} || 상계벽산아파트[br]11240 || || 불암대림아파트[br]11231 || || || || || 불암대림아파트[br]11230 || || 상계시장[br]11229 || {{{#ffffff ↓}}} || || || {{{#ffffff ↑}}} || - || || 동아불암아파트[br]11228 || || || || || 동아불암아파트[br]11227 || || - || {{{#ffffff ↓}}} || || || {{{#ffffff ↑}}} || 불암현대아파트[br]11226 || || 흥안운수종점[br]11224 || || || || || 흥안운수종점[br]11225 || ||<-6> '''흥안운수상계4동종점'''[br]'''11232 · 11491'''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당고개역]][* 흥안운수종점 하차], [[상계역]], [[노원역]], [[수유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노원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0,1권역]][[분류:1985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