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종로구)] || [[파일:IMG_4835.jpg|width=100%]] || [[파일:종로11_5421.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종로1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종로1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삼청공원)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1가(서울역)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6:15 || || 막차 || 23:00 || 막차 || 23:15 || ||<-2> 배차간격 ||<-4> 10분 || ||<-2> 운수사명 || [[삼청교통]] ||<-2> 인가대수 || 7대 || ||<-2> 노선 ||<-4> 삼청공원 - 금융연수원 - 삼청동주민센터 - 삼청파출소 - [[경복궁]] - [[세종문화회관]]/KT광화문지사 - [[시청역(서울)|시청역]] - 삼성본관앞/숭례문앞 - [[서울역]] || == 개요 == [[삼청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1699|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93년 8월 10일에 [[유진운수(서울)|경동교통]]과 [[군포교통]]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하던 104-2번 도시형버스(삼청동 - 서울역)가 마을버스로 전환되었다. 당시에는 군포교통 삼청영업소에서 운영했다. * 1995년 3월에 군포교통 삼청영업소가 [[삼청교통]]으로 분리 독립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종로11번으로 변경됐다. == 특징 == * [[서울역]]~[[숭례문]]~[[서울특별시청]]~[[광화문광장]]~[[경복궁 광화문|광화문]]으로 이어지는 [[세종대로]]를 완주한다. * 관광지로도 유명한 [[삼청동]]을 잇는다. [[서울 버스 종로02|종로02번]]이 삼청동을 스쳐 지나지만 종로02번은 가회동 동편의 [[북촌한옥마을]] 수요가 절대다수. 삼청동 깊숙히 들어가다 보니 출퇴근 시간은 물론이고 주말, 휴일만 되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과 [[국립민속박물관]] 본관을 찾는 관광객들로 항상 만원이다. 삼청동, 광화문(세종문화회관), 경복궁, 시청, 남대문 같은 주요 명소들을 지나는 관광객 수요로 먹고 산다. 삼청공원 쪽을 통해서 [[북악산]]으로 가려는 사람들도 타는 것으로 보인다. *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과의 연계는 잘 되지 않는다. 경복궁 정류소로부터 [[경복궁역]]이나 [[안국역]]까지의 거리가 각각 500m 가량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3호선을 이용하고 싶을 때는 시청이나 광화문에서 종로09번으로 갈아타면 경복궁역으로 연계가 가능하다. * 편도 회차 구간인 서울역 부근은 [[염천교]], [[숭례문]]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숭례문앞 정류장에 정차하는데 숭례문과는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 [[서울역]]으로 가는 노선이지만 서울역 바로 앞, [[서울역 환승센터]]로는 가지 않는다. 서울역 정류소는 [[광역버스(인천)|인천 광역버스]] 정류장에서 염천교 방면으로 더 뒷편에 있다. 1호선 환승이 목적이라면 시청역에서 갈아타는 편이 훨씬 낫다. === 시간표 === [[파일:서울-삼청교통 종로11.png]] 요일 상관없이 6대(예비차 1대)로 운행하며, 약 2~3개월 주기로 미세 조정이 이루어지나 전체적으로는 이 시간표의 틀을 유지한다고 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종로1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3,428명 || - || || 2014년 || 3,607명 || {{{#red △ 179}}} || || 2015년 || 3,458명 || {{{#blue ▽ 149}}} || || 2016년 || 3,231명 || {{{#blue ▽ 227}}} || || 2017년 || 3,198명 || {{{#blue ▽ 33}}} || || 2018년 || 3,239명 || {{{#red △ 41}}} || || 2019년 || 3,320명 || {{{#red △ 81}}} || || 2020년 || 2,166명 || {{{#blue ▽ 1,154}}} || || 2021년 || 2,199명 || {{{#red △ 33}}} || || 2022년 || 3,173명 || {{{#red △ 974}}}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 [[시청역(서울)|시청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분류:199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 종로구의 교통]][[분류:서울 중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