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종로구)]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DSCN7565.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종로0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종로 02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3가(성균관대학교후문) ||<-2>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종각역.YMCA) || ||<|2> 종점[br]행 || 첫차 || 06:15 ||<|2> 기점[br]행 || 첫차 || 06:30 || || 막차 || 23:15 || 막차 || 23:30 || ||<-2> 배차간격 ||<-4> 8분 || ||<-2> 운수사명 || [[대산교통]] ||<-2> 인가대수 || 7대 || ||<-2> 노선 ||<-4> 성균관대학교후문 - 감사원 - [[북촌한옥마을]] - 가회동주민센터 - [[안국역]] → [[낙원상가]] → [[종각역]].YMCA → [[조계사]] → [[안국역]].종로경찰서 → 이후 역순 || == 개요 == [[대산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http://map.naver.com/?busId=1692|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안국역사거리에서 북촌 방면으로 좌회전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과거에는 인사동길을 이용하여 회차했다. * 이 인사동길이 너무 [[헬게이트]]였는지 인사동길을 경유하지 않고, 안국동사거리 경유 노선으로 바뀌었다. 다만, 안국역사거리는 아침 7시부터는 특정 방향에서 좌회전이 금지되기 때문에[* 동쪽([[창덕궁]], 현대그룹 본사 사옥) → 남쪽([[낙원상가]]), 남쪽 → 서쪽(종로경찰서)으로의 좌회전은 된다.], 이 때부터는 낙원상가쪽으로 우회전한 다음 유턴하여 북촌으로 간다. 그런데 노선도 상에는 바로 좌회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 특징 == * 산 정상에 있는 성균관대 후문을 지나는 유일한 버스이고 지하철 1호선, 3호선과 연결되기 때문에, 성대생들에겐 ~~울며 겨자먹기로~~ 꼭 필요한 버스. 거의 셔틀버스 수준으로 이용하고 있다. 강의 시작시간에 즈음해서 안국역에 가 보면 길게 줄을 선 성대생들을 볼 수 있다. 후문쪽에 가깝긴 하지만 어차피 서울캠퍼스 자체가 작아서... * 그리고 동아일보에서 '가장 아름다운 버스 노선'에 들기도 했다. 봄-가을이 되면 아름답게 계속되는 성균관대부터 감사원까지 숲길과 낙원상가에 들어가기 전까지 늘어서있는 아기자기한 건물들을 보고 있자면 그럴 법도 하다. 근처에 삼청공원과 겨울연가 촬영지도 있다. * 성균관대 학생들 외에도 주변의 중앙고등학교 근처를 지나기 때문에 7시 30분~8시 정도까지는 아이보리색과 흰색계통의 교복을 입은 [[중앙고등학교]]학생들이 몰려들어 뒤에서 줄을 서다가는 만차가 되어 버스를 놓칠 수도 있다. * 게다가 불교 사찰인 안국선원 앞에 정차하기 때문에 고령층들도 많이 타는 편이다. 다만 [[중앙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에는 교문 정문 바로 앞에 정차하는 [[서울 버스 종로01|종로01번]]을 선호하는 편이지만... 여유가 있을 때나 그런 거고(더군다나 바로 앞에 내려줘서 편할 뿐 오히려 창덕궁 옆으로 돌아가서 가는 거리는 더 멀다.) '''8시가 가까워오면 그런 거 없다.''' 또한 [[중앙중학교(서울)|중앙중학교]] 학생들도 이 노선을 많이 탄다. (7시50분~8시15분) 종로01번을 타면 더 돌아가서 그런것도있고, 중앙고 정문 앞에서 중앙중학교 건물까지 꽤나 시간이 걸린다. * 성균관대 후문에서 감사원까지의 숲길 구간의 경우 손잡이를 꽉 잡아야 한다. 산길인지라 경사가 심하거나 급커브인 구간이 여럿 있고, 특히 성대 후문 근처에는 자그마치 180도 [[드리프트]] 구간까지 있어서 자칫하면 넘어질 수도 있다. 실제로, 안내방송에서도 지속적으로 언급하고, 내려갈때는 브레이크와 함께 관성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급제동에 주의해야 한다. * [[구해줘홈즈]] 35회 덕팀 매물에 잠깐 출연 했다. * [[숙정문]]을 방문하고 싶은 사람은 안국역에서 이 버스를 타고 와룡공원 앞에서 내려서 말바위안내소 방향으로 가는 것이 그나마 오르막길을 좀 덜 걷는 가장 편한 루트이다. 그 다음으로 나은 루트는 북정마을 언덕을 오르는 [[서울 버스 성북03|성북03번]] 코스이다. 한성대입구역에서 버스를 타고 북정마을 노인정에서 내려 바로 옆 골목길로 따라 들어가면 차도가 나오는데, 그길을 따라 내려가면 와룡공원[* 와룡공원을 지나 더 내려가면 성대후문이고, 성대후문에서 이 노선과 만난다.], 반대로 올라가서 산길로 들어가면 숙정문이다. 올라가는 코스가 가장 짧은 경우이다. 또, 명륜동 계단을 조금 빡세게 오르는 [[서울 버스 종로08|종로08번]] 코스도 있는데, 종로08번은 종점에서 내리면 계단이 있는데 거기로 올라가서 조금만 걸어가면 와룡공원이다. ~~나머지는 다 가파른 등산로~~ * 석초운수 운행 시절에 이 노선은 한 때 인사동 구간을 지난 적이 있었다. 근데 당시 인사동 구간은 엄청난 헬게이트를 자랑했다. 이 노선을 매일 운행하는 운전기사들은, 인사동 구간을 지날때마다 입에서 자연스럽게 욕이 나오게 되고, 그렇게 욕설을 하는 기사들이 늘어나다보니, 운행업체인 석초운수는 욕초운수라는 별명까지 얻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은 회사명이 바뀌었다~~ 인사동길 구간이 얼마나 헬게이트 였는지 알고싶다면 명동거리 한가운데서 마을버스가 다녔다고 생각하면 된다. 또 걷고싶은거리 차량통제용 바리케이드가 설치되어 있어 기사가 내려서 이걸 치우고 지나간 후 다시 돌려놓아야하던 시절도 있었다. 참고로 [[서울 버스 종로01|종로01번]]은 여전히 인사동을 경유하고 있다. * 마을버스임에도 [[꼬마버스 타요]] 디자인을 1대 편성하여 운행 중이다. * 성균관대에서 이 버스를 탑승하는 경우, 법학관 옥상에서 이 버스의 종점으로 바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있다. 다만 이 계단이 좀 가파른데[* 겨울에는 심지어 미끄럽기까지 하다], 법학관 2층과 수선관 3층이 연결되어 있는 점을 이용하여 법학관 2층 → 수선관 3층 → 수선관 8층으로 가서, 수선관 8층의 출입문으로 나가서 가는 방법도 있다. 단 주말이나 방학 중에는 수선관 8층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종로02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4,218명 || - || || 2014년 || 4,049명 || {{{#blue ▽ 169}}} || || 2015년 || 3,833명 || {{{#blue ▽ 216}}} || || 2016년 || 3,567명 || {{{#blue ▽ 266}}} || || 2017년 || 3,496명 || {{{#blue ▽ 71}}} || || 2018년 || 3,576명 || {{{#red △ 80}}} || || 2019년 || 3,729명 || {{{#red △ 153}}} || || 2020년 || 2,130명 || {{{#blue ▽ 1,599}}} || || 2021년 || 2,114명 || {{{#blue ▽ 16}}}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안국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종로3가역]][* 5번 출입구 기준 낙원상가 정류장에서 내려서 220m 거리에 있는데, 5호선 정류장에서도 서쪽 끝 출입구라서 1,3호선 쪽과는 사실상 연계가 안 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1,3호선을 이용하려면 종각역, 안국역을 이용하자.]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