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용산구)] [[파일:금양용산04번_뉴비미디.pn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용산04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용산04.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중구 만리동1가(서울역서부) ||<-2> 종점 ||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2가(남정초등학교)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6:15 || || 막차 || 23:00 || 막차 || 23:15 || ||<-2> 배차간격 ||<-4> 6~11분 || ||<-2> 운수사명 || [[금양운수]] ||<-2> 인가대수 || 9대(예비 2대) || ||<-2> 노선 ||<-4> 서울역서부 - 만리시장 - 청파초등학교 → 한겨레신문사 → [[효창운동장]].효창동주민센터 → [[효창공원앞역]] → 남정초등학교 → 용산경찰서 → [[남영역]] → [[숙대입구역]] → [[숙명여자대학교]]{{{-3 (도서관, 정문, 후문)}}} → 청파초등학교 → 이후 역순 || == 개요 == [[금양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2km다.[[http://map.naver.com/?busId=703|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용산구 6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이때는 신흥기업에서 운행했다. * 2002년에 시내버스(지역순환버스)로 승격되었고, 번호도 468번으로 바뀌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0016번으로 바뀌었다. * 2007년경 용산중.고교로 연장할 예정이었지만, 왕복 운행거리가 10km를 넘어서 차등요금을 받을 수 없는지라 승객들의 반발이 많았다. 결국 연장 하루 전날에 연장은 없던 일이 되었다. 대신 이 노선에서 2대를 감차시켜 8001번 통학맞춤버스를 신설했다. * 2009년 무렵, 노선을 [[양천운수|오케이버스]]에 매각했다. * 2011년 7월 1일, 버스체계 개편 7년 만에 마을버스로 전환되어 현재의 용산04번 번호를 받았다. 운행은 [[한빛운수]]에서 담당한다. * 2011년 10월 24일에 [[금양운수]]로 넘어갔다. == 특징 == * 0016번 시절부터 티머니 승차량 집계에서 상위권에 들 만큼 수요가 많다. [[배문중]]/[[배문고]] 학생들이 등하교 시간에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 공식 기점은 경기여상 앞이지만, 실제로는 서부역(롯데마트 앞)이었다가 공식 기점도 서울서부역으로 당겨졌다. * 서부역에서 효창동이나 숙대로 가는 수요와 남영역/숙대입구역에서 숙대로 가는 수요가 어마어마하다. 숙대 앞까지 바로 가기 때문에(숙대입구역, 도서관, 정문, 후문 모두 경유) 숙대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 중고등학생들의 하교 시간(오후 4시 전후)에 이 버스를 타면 배문중고등학교-효창공원앞이 지옥이 된다. 이때는 청소년 전용 버스 느낌이 난다. 중간에 대한노인회 정류장에서 아주 약간 숨통이 트이고, 효창공원앞역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빠져나간다. * 운행경로 특성상 [[중구(서울)|중구]]와 마포구도 지난다. * 만리시장 구간으로 인해 저상버스 의무화 대상 노선에서 제외됐다. 도로폭이 협소하고 급커브가 있기 때문이다. 이곳은 차선도 없고, 불법주정차 차량이 상당히 많다. 그래서 마을버스 교행 시 서부역 방향 차량은 용문시장 방향 차량이 출발할때까지 기다린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용산04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7,219명 || - || || 2014년 || 6,912명 || {{{#blue ▽ 307}}} || || 2015년 || 6,796명 || {{{#blue ▽ 116}}} || || 2016년 || 6,695명 || {{{#blue ▽ 101}}} || || 2017년 || 6,714명 || {{{#red △ 19}}} || || 2018년 || 6,497명 || {{{#blue ▽ 217}}} || || 2019년 || 6,217명 || {{{#blue ▽ 280}}} || || 2020년 || 4,242명 || {{{#blue ▽ 1,975}}} || || 2021년 || 4,040명 || {{{#blue ▽ 202}}} || || 2022년 || 4,565명 || {{{#red △ 525}}}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 [[남영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숙대입구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효창공원앞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효창공원앞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분류:1995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 중구의 교통]][[분류:서울 용산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