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성동구)] || [[파일:성동01.png|width=100%]] || [[파일:성동01그린시티.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동0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동0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옥수역)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신당역.하나은행)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6:20 || || 막차 || 00:00 || 막차 || 00:20 || ||<-2> 배차간격 ||<-4> 8분 || ||<-2> 운수사명 || [[왕금운수]] ||<-2> 인가대수 || 9대(예비 1대)[* 평일 7대, 주말 5~6대로 운행] || ||<-2> 노선 ||<-4> [[옥수역]] - 서울숲푸르지오정문/무쇠막- 금호사거리 - 논골사거리 - 왕십리자이.신당현대아파트 - [[신당역]].하나은행 || == 개요 == [[왕금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km다. [[http://map.naver.com/?busId=1658&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80년대에는 신당역과 현.금호119안전센터를 잇는 노선이었다. 당시 차량에는 '신당역 ~ 소방서' 행선판이 붙어 있었다. * 그러다가 1990년대에 5호선 공사가 시작되면서 '논골사거리 - 금호119안전센터' 구간이 폐쇄되어 몇 년 동안 '신당역 - 논골사거리' 구간을 오가는 노선으로 운행했다. * 5호선이 개통한 후 다시 소방서까지 연장되었다. * 1997년 1월 4일에 1번으로 노선 번호가 부여되었다. * 얼마 후 무쇠막까지 연장되었다. * 이후 옥수역까지 연장되었다. * 한때 도로교통공단 사거리 방면이 유턴이 불가능해 도로교통공단 후문에서 다산로44길로 들어갈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신당역 하나은행 정류장 건너편(현 황학 아크로타워 앞)에서 정차하고, 신당역 11번 출구 부근에서 유턴하여 신당역 하나은행으로 간 적이 있었다. 이후 도로교통공단 후문 방면으로 유턴이 허용되면서 현재처럼 다시 바뀌었다. * 2011년~2012년에는 무쇠막삼거리 앞의 입체교차로 공사로 인해서 옥수역에서 금호사거리로 갈 때 용비교를 건너 성수대교북단사거리까지 가서 유턴한 다음 무쇠막으로 돌아와 금호사거리로 올라갔다. * 2016년 1월에 1대가 증차되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7247797|관련 공문]] == 특징 == * 난계로의 '신당역 - 금호 베스트빌 아파트' 구간은 경사가 상당히 급하다. 현재까지 여러차례의 공사가 있었지만, 길만 넓어졌지 경사도는 거의 그대로다. * 기점인 옥수역에서는 언제든지 탈 수 있다. 다만 [[서울 버스 성동09|성동09번]]과 교대로 출발하므로, 09번이 앞에 기다리고 있으면 약간 더 오래 기다려야 한다. 현재는 옥수역 일대의 교통정체로 2번출구 앞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였으며, 이외의 지점에서는 승하차가 절대 불가능하다. 09번과 12번은 기존의 정류장을 이용한다. * '옥수역 - 무쇠막' 구간은 [[뚝섬로]]를 이용하는데, 이 곳이 [[강변북로]]의 대체구간이다보니 막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차고지가 아득히 멀어졌다. 본래 옥수역 주차장에서 주박했으나 GTX 공사로 인해 폐쇄되면서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경기대형주차장에서 주박하게 됨에 따라 공차거리가 상당하다. === 운행시간표 === ||[[파일:왕금운수 성동01.png|width=100%]]|| 2022년 02월 기준이며, 이 시간표는 2022년 05월 현재까지도 통용되고 있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동0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8,356명 || - || || 2014년 || 8,329명 || {{{#blue ▽ 27}}} || || 2015년 || 8,247명 || {{{#blue ▽ 82}}} || || 2016년 || 8,052명 || {{{#blue ▽ 195}}} || || 2017년 || 8,217명 || {{{#red △ 165}}} || || 2018년 || 8,659명 || {{{#red △ 442}}} || || 2019년 || 8,617명 || {{{#blue ▽ 42}}} || || 2020년 || 6,276명 || {{{#blue ▽ 2,341}}} || || 2021년 || 5,631명 || {{{#blue ▽ 645}}} || || 2022년 || 5,877명 || {{{#red △ 246}}}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당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옥수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당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옥수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옥수역(ITX-청춘)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분류:199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 성동구의 교통]][[분류:서울 중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