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서초구)] || [[파일:서초18_greencity_1684.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초18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서초18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선바위역)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양재근린공원) || ||<|2> 종점[br]행 || 첫차 || 06:00(평일·토요일) / 07:00(공휴일) ||<|2> 기점[br]행 || 첫차 || 06:30(평일·토요일) / 07:30(공휴일) || || 막차 || 23:00(평일·토요일) / 22:00(공휴일) || 막차 || 23:30(평일·토요일) / 22:30(공휴일) || ||<-2> 평일배차 || 출퇴근 2~3분 / 평시 5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5분 / 공휴일 10~15분 || ||<-2> 운수사명 || [[구민버스]] / [[청암운수]] ||<-2> 인가대수 || 21대[* 구민버스 9대 / 청암운수 12대] || ||<-2> 노선 ||<-4> --환경사업소--[* 미인가 정류소이지만, 이 곳에서도 승하차가 가능하다.] - [[선바위역]] - 서초힐스아파트 - 네이처힐 - 우면주공아파트.양재1동주민센터 - 우성아파트 - [[양재역]] - 삼호물산 - 언남중고교 → 매헌초교 → 양재근린공원 → 언남중고교 → 이후 역순 || == 개요 == [[구민버스]]와 [[청암운수]]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19.5km다. [[http://map.naver.com/?busId=1652&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구 서초구 05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당시엔 식유촌이 종점이었고, 선바위까지는 가지 않았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서초18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0년 6월 26일에 노선이 겹쳐 수요가 저조했던 [[서울 버스 서초19|서초19번]](선바위역 - 성촌마을 - 우면아파트 - 양재역 - 구.영동중)과 통합되어 선바위역까지 연장되었다. 이와 동시에 서초 19번에 있던 차량 4대가 증차되어 인가 대수가 21대로 늘었다. * 2013년 8월에 [[서울 버스 서초18-1|서초18-1번]]을 개통하기 위해 2대가 감차되어 인가 대수가 19대로 줄었다. (구민, 청암 각 1대씩 감차) * 2014년에 구민버스와 청암운수에서 각각 1대씩 증차되어 인가 대수가 다시 21대로 늘었다. == 특징 == * [[서울 버스 서초19|서초19번]]과 통합 전에는 막차가 22시 반이라 놓치면 약 10~20m 전방에 위치한 시내버스 정류소로 내려가서 [[서울 버스 강남10|강남10번]], [[서울 버스 서초21|서초21번]], [[서울 버스 4312|4312번]]에 의지해야 했었다. 지금은 23시 쯤에도 차가 양재역 5번 출구 정류장에서 대기 중이다. * 선바위역에서 우면동/삼호물산 쪽으로 가는 수요와 양재역에서 우면동으로 오가는 수요가 굉장히 많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91225|선바위역에서 서초18번을 기다리는 대기행렬]] 주로 삼호물산 주변에 밀집되어 있는 회사들이나 우면동 연구단지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과, [[언남중학교|언남중]]-[[언남고]]/[[은성중학교|은성중]]-[[은광여고]]/[[양재고]]/[[영동중]]으로 통학하는 [[우면동]]/[[도곡동]]/[[양재동]] 학생들이 주 수요층이다. 특히나 우면지구~양재역 구간은 양재역 방면 차에는 양재역으로 가려는 직장인과 학생들, 선바위역 방면은 우면동 연구단지로 출근하는 인원들이 섞여 양방향 모두 혼잡하기 그지없다. 전체적으로 첨두시간대에 양방향 혼잡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 양재역에서 5분 정도 정차했다가 출발한다. 4~5년 전까지는 보통 2~3대가 양재역에 정차해있어 교통혼잡을 야기했다. 현재는 2대 이상 서 있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배차간격 조절을 위해 장시간 정차하는 상황은 여전히 흔하다. 게다가 10번 출구 앞 선바위역 방면 정류장의 경우 과거에는 마을버스 전용 정류장에 정차해서 다른 버스의 운행에는 큰 영향이 없었지만, 2017년 경 지선/간선 시내버스 정류장과 통합되면서 다른 버스노선들이 제 위치에 정차를 못 하는 상황이 빈번하다. [* 이는 10번 출구 구조물과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사이의 좁은 공간에 정류장이 위치해 있고 해당 구조물들이 차도에 바짝 붙어있어 사람이 지나다닐 여유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정차장 길이도 중형 그린시티 2대가 간신히 들어가는 길이다.]그래서 우면동에서 언남고로 통학하는 학생들 중에서는 지각의 위기에 처하면 걸어오거나, [[서울 버스 서초09|서초09]]번으로 갈아타거나, 시간 많으면 버스 타고 오는 경우도 있다. * 선바위역~환경사업소 부근에 위치한 마을 두곳과 대로변에도 항상 3~4대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어 [[양재역]]의 상황에 못지않은 민폐를 끼치고 있다. * 오후 퇴근시간에는 정류소가 아니지만 KT연구소후문(우면 코오롱 아파트 근처)앞에서 태워주는 경우도 종종 있다. * 청암운수와 구민버스가 [[공동 배차]]로 운행한다. 빨간 행선판이 청암운수, 파란 행선판이 구민버스 차량이다. * 과거 해당 노선의 주력 차종이었던 [[에어로타운]]에 휠체어 리프트를 탑재한 차량이 운행했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692|관련 게시물]] --정작 리프트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 인가상으로는 기점이 선바위역으로 되어있지만 실질적 기점은 환경사업소 정류장이다. 실제로도 환경사업소에서도 승하차가 가능하다. 또한 과천시를 유일하게 경유하는 마을버스이다.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대개편 당시부터 2014년까지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승객수 1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2015년부터는 [[서울 버스 동작01|동작01번]]에게 추월당했으나, 2019~2021년에는 다시 탈환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310157|#]] 그러나 2022년에 다시 [[서울 버스 동작01|동작01번]]에 1위 자리를 뺏겼다. * 이렇듯 승객수가 많은 이유로는 전술한대로 양방향 탑승률이 모두 높은 이유도 있지만, 경쟁 노선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이유도 있다. 선바위역~양재역 구간이 거의 대부분 겹치는 노선들이 많고 일부는 강남 중심부까지 들어가지만, 해당 노선들의 배차간격이 10~30분 정도로 벌어지고, 마을버스보다 요금도 비싸며, 후술할 이유로 우면1지구로 진입하지 않는다는 점[* 341번 제외] 때문이다. 서초18번은 저렴한 가격으로 평일 첨두/비첨두 무관하게 5분 이내의 배차간격으로 빗자루질을 하기 때문에 언제, 어떤 상황이든 무난하게 탑승할 수 있어 선호도가 높다. * 우면1지구로 들어가는 4개 노선(서초18, 서초18-1, [[서울 버스 341|341]], [[서울 버스 4435|4435]]) 중 하나이다. [[서울 버스 541|541]], [[서울 버스 542|542]]는 KT연구소정문으로 우회하는데, 이렇게 우회하는 이유는 교총회관에서 삽준네마을-우면주공아파트로 이어지는 도로의 상태 때문이다. 중앙선을 못 그릴 정도로 도로폭이 좁고 한쪽에는 연구소 담장과 전봇대가 여유공간 없이 붙어있어 버스들이 교행할 때는 반드시 골목 입구에 차를 멈추고 마주오는 버스가 지나가기를 기다려야 한다.[[https://map.naver.com/v5/?c=14140495.7196630,4504774.2544212,18,0,0,2,dha&p=m2QRNCujU0kVbSVHnjuTAg,127.29,-7.94,80,Float|거리뷰]] 이러한 이유로 인해 舊 3412번, 現 341번만이 우면1지구로의 진입이 가능한 실정이고, 이 노선은 전술한대로 다소 불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서초18번이 가는 선바위역을 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대체 노선 자체가 빈약한 우면1지구에서는 서초18번의 중요도가 매우 높고, 탑승률도 높다. * 원래는 언남중고교 → 매헌초교 → 양재근린공원 → 언남중고교 순이지만 동산로가 막힐때에는 언남중고교 → 양재근린공원 → 매헌초교 → 언남중고교 순으로 운행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초18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22,727명 || - || || 2014년 || 22,326명 || {{{#blue ▽ 401}}} || || 2015년 || 21,954명 || {{{#blue ▽ 372}}} || || 2016년 || 20,847명 || {{{#blue ▽ 1,107}}} || || 2017년 || 20,073명 || {{{#blue ▽ 774}}} || || 2018년 || 19,812명 || {{{#blue ▽ 261}}} || || 2019년 || 20,613명 || {{{#red △ 801}}} || || 2020년 || 15,644명 || {{{#blue ▽ 4,969}}} || || 2021년 || 15,379명 || {{{#blue ▽ 265}}} || || 2022년 || 13,747명 || {{{#blue ▽ 1,632}}}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코로나19로 인해 승차량이 줄었음에도 15000명선을 유지하는 것은 이 노선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사례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양재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선바위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양재역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분류:서울 서초구의 교통]][[분류:과천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