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금천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천03.jpg|width=77%]]}}}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SC_0067.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금천0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금천03.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가산디지털단지역) ||<-2> 종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구로디지털단지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20 ||<|2> 기점[br]행 || 첫차 || 05:25 || || 막차 || 00:00 || 막차 || 00:13 || ||<-2> 평일배차 || 5분 ||<-2> 주말배차 || 5분 || ||<-2> 운수사명 || [[대상운수]] ||<-2> 인가대수 || 14대[* 평일 12대 운행, 주말은 8대 운행한다.] || ||<-2> 노선 ||<-4> [[가산디지털단지역]] - [[마리오아울렛]] - 제일모직아울렛 - 구립가산도서관.두산위브아파트 - 가산동주민센터.금천글로벌센터 - 독산고개 - [[구로디지털단지역]] || == 개요 == [[대상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2km다. [[http://map.naver.com/?busId=1528&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80년대 후반, 서울시내버스 회사였던 흥기운수에서 무번호 마을버스로 개통하였으며 시흥대로 진입시 경로가 변경된걸 제외하곤 30년 넘게 노선이 전혀 바뀌지 않았다. * 90년대엔 5번 마을버스였으나 1999년에 [[안양 버스 5|5번 시내버스]]와 혼동으로 인하여 번호만 변경된 18-5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 2005년 12월 [[시흥대로(서울)|시흥대로]] 버스중앙차로 개통으로 구로디지털단지 방향이 남문시장(18149)경유[* 가산초교(18577) - 독산고개입구[* 현 독산고개입구(18582)와 이름만 같고 사실은 다른 독산고개입구(가산동방향)(18618)의 건너편에 있었다] - 독산고개(18146) - 남문시장(18149) - 독산고개(18147)순으로 정차하였다] [* 참고로 당시 경로중에 있는 문성초등학교(18600)는 노선바뀌고 한참뒤에 신설된 정류장이다] 에서 현재 구간으로 변경 되었다 * 2019년 11월 4일 부로 1대가 증차되었다. * 2022년 1월 9일부터 [[신안산선]] 공사 목적상 구로디지털단지역 환승센터가 폐쇄되면서 중앙버스전용차로 상행정류장 옆에 위치한 회차노선 정류장에 정차한다. == 특징 == * 주요 수요는 두산위브아파트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이나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이동하는 승객이다. 두산위브아파트단지를 경유하기 때문인지 출퇴근시간은 물론이며 비첨두시간대에도 많은 승객이 이용한다. 버스 운행시간은 노선 중간지점인 가산동주민센터 기준으로 가산디지털단지역 약 10분, 구로디지털단지역 약 10분 정도이며 노선 전체 운행 시간은 약 35분 정도 소요된다. 출퇴근 시간에는 많은 승객들과 도로 정체로 인해 가산디지털단지역 출발 후 다시 복귀하기까지 35분~45분까지도 소요된다. * 가산디지털단지역 1번 출구에서 출발하여 2번 출구에서 운행 종료하며[* 운행이 종료된 버스는 가산어린이집 앞 로터리에서 회차 후 대륭포스트6차 앞 도로에서 대기하다 출발한다.], 구로디지털단지 환승센터 1번 정류장에서 정차하고 유턴한다. 골목을 누비고 다니는 경로 특성상 꼭 손잡이를 잡고 타야하는 노선이다. 다만 버스정류장의 표지판이 잘 안 보이거나 아예 없는 곳은 정류장의 위치를 찾기가 힘들다. 지역주민만 아는 정도. * 구립가산도서관.두산위브아파트 에서 온누리아파트 구간은 왕복 1.5차로[* 그렇다고 도로가 상당히 협소할 정도 까지는 아니다. 버스 두대가 동시에 못지나갈 뿐 이지, 승용차인 경우는 구석에 약간 비켜서 지나갈 수 있다. 그나마 가산테라타워 구간만 잠시 왕복 2차로다.] 이기 때문에 반대편에서 버스가 마주 오면 지나갈때 까지 정류소 에서 대기한다.[* 때문에 버스운전 기사는 데시보드 옆에 스마트폰 으로 카카오버스 어플을 셋팅하고 실시간 확인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금천03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6,546명 || - || || 2014년 || 15,451명 || {{{#blue ▽ 1,095}}} || || 2015년 || 15,067명 || {{{#blue ▽ 384}}} || || 2016년 || 14,402명 || {{{#blue ▽ 665}}} || || 2017년 || 13,852명 || {{{#blue ▽ 550}}} || || 2018년 || 13,620명 || {{{#blue ▽ 232}}} || || 2019년 || 13,674명 || {{{#red △ 54}}} || || 2020년 || 12,253명 || {{{#blue ▽ 1,421}}} || || 2021년 || 13,131명 || {{{#red △ 878}}} || || 2022년 || 13,207명 || {{{#red △ 76}}}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 기타 == *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가끔 안내방송을 3~4회 반복하는 경우가 있다. * 2010년대 주력 차종은 대우버스 였지만 2020년대 가 되면서 중형전기초저상 버스인 하이거 버스[* 국내에는 중형전기초저상 버스가 '''아직 없다.''']로 대차 하고 있다. 다만 하이거 버스는 하차벨 소리가 정류소안내방송 알림 소리와 거의 일치해서 승객들에게 다소 혼동이 있다. 그리고 중문 뒤에 뒷좌석쪽이 높은데다가 시트도 2인 이여서 승객들을 많이 탑승하지 못한다는 말도 있다.[* 그래도 대우버스는 뒷좌석 1~2열만 빼고 전부 1인 이라서 승객들을 더 많이 탑승할 수 있다.]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분류:서울 금천구의 교통]][[분류:서울 구로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