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관악구)] || [[파일:신호관악06번_레스타.png|width=100%]] || [[파일:신호관악06번_뉴카운티.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관악06번}}} || ||<-2> 기점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난곡동(보명사·법화사) ||<-2> 종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사동(신대방역)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 || 막차 || 23:50 || 막차 || || ||<-2> 배차간격 ||<-4> 5분 || ||<-2> 운수사명 || 신호운수 ||<-2> 인가대수 || 9대 || ||<-2> 노선 ||<-4> 보명사.법화사 - 한마음슈퍼 - 남강중고등학교입구 - 세이브마트 - 신림고등학교 - 신림체육센터 - 난곡사거리 → [[신대방역]] → 조원경로당 → 펭귄시장 → 난곡사거리 → 이후 역순 || == 개요 == 신호운수에서 운행 중인 마을버스 노선. [[https://map.naver.com/v5/bus/bus-route/06/bus-route/1600?c=14127787.2528231,4506277.8456180,15,0,0,0,dh|전체 정류장 목록]] == 특징 == * 차량 주박은 [[양천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관악구 마을버스 10개 노선 중 [[서울 버스 관악10|관악10번]]과 함께 난곡에 들어오는 노선인데, 난곡의 중심축인 [[난곡로(서울)|난곡로]]보다 동쪽이 기종점인 이 버스는 보다 서쪽의 [[신대방역]]과 통하고, 반면 난곡로보다 서쪽이 기종점인 관악10은 보다 동쪽의 [[신림역]]과 통한다는 점이다. 마찬가지로, 똑같이 봉천동의 서북쪽에 들어가는 [[서울 버스 관악03|관악03번]]과 [[서울 버스 관악11|관악11번]]도 보다 서쪽의 당곡중고등학교가 기종점인 관악11은 보다 동쪽의 [[봉천역]]과 통하며, 보다 동쪽의 국사봉체육관이 기종점인 관악03은 보다 서쪽의 [[신림역]]과 통한다. * 레스타와 카운티로만 운행하기 때문에 [[신대방역]]에서 타도 앉기는 커녕 서서 가기도 힘든 경우가 많다. 실제로 6번 버스 정류장 앞에 버스가 있는데도 주민들이 길게 줄을 서 있는 모습은 일상. 본인의 목적지가 난곡로상에 있거나 멀지 않다면 신대방역과 난곡을 잇는 [[서울 버스 5522|5522번(신대방역 경유)]], [[서울 버스 5524|5524번]], [[안양 버스 20|20번]]등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낫고, 난곡로보다 서쪽이 목적지라면 [[신림역]]에서 [[서울 버스 관악10|관악10번]]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관악06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9,481명 || - || || 2014년 || 9,172명 || {{{#blue ▽ 309}}} || || 2015년 || 9,176명 || {{{#red △ 4}}} || || 2016년 || 8,999명 || {{{#blue ▽ 177}}} || || 2017년 || 8,891명 || {{{#blue ▽ 108}}} || || 2018년 || 8,733명 || {{{#blue ▽ 158}}} || || 2019년 || 8,757명 || {{{#red △ 24}}} || || 2020년 || 6,655명 || {{{#blue ▽ 2,102}}}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