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관악구)] [[파일:관악04번_그린시티.pn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관악04번}}} || ||<-2> 기점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군인아파트) ||<-2> 종점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사랑의병원)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6:20 || || 막차 || 23:50 || 막차 || 00:15 || ||<-2> 평일배차 || 6분 ||<-2> 주말배차 || 6분 || ||<-2> 운수사명 || [[인헌운수]] ||<-2> 인가대수 || 6대 || ||<-2> 노선 ||<-4> 군인아파트 - (← 세진아파트 ← 인헌아파트 ← 세진아파트 ←) - 동인당약국.인헌중고입구 - 하모니마트 → 낙성대입구 → 사랑의병원 → [[낙성대역]] → 하모니마트 → 이후 역순 || == 개요 == [[인헌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http://map.naver.com/?busId=1596&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구 관악구 6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관악04번으로 변경됐다. == 특징 == * [[봉천동|인헌동]]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으로 인헌동 주민들의 발이다. [[인헌중학교]], [[인헌고등학교]] 통학 수요도 상당히 많다. * [[남부순환로]]에서 인헌동으로 들어가려면 한참을 걸어야 하는데 이 노선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한다. * 인헌아파트에서 타면 군인아파트가 종점으로 앞차로 갈아타야 한다. 낙성대역으로 가는 승객은 [[서울 버스 관악02|관악02번]]을 타는 것을 추천한다. 우리현대마트나 인헌중고, 오리사랑 정류장 이용승객은 앞차로 갈아타야 되니 어쩔 수 없다. * 가스 충전은 [[신림동]] [[한남여객운수]] 차고지에서 한다. * [[서울대학교]] 안에서 종종 주박한다. * 이 노선에 전기충전소를 설치할 공간이 나오지 않으며 급경사로 인해 저상버스 의무화 대상에서 제외됐다. * 종점인 '사랑의병원'을 제외한 모든 정류장이 단독정류장이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관악04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6,620명 || - || || 2014년 || 6,326명 || {{{#blue ▽ 294}}} || || 2015년 || 6,350명 || {{{#red △ 24}}} || || 2016년 || 6,371명 || {{{#red △ 21}}} || || 2017년 || 6,133명 || {{{#blue ▽ 238}}} || || 2018년 || 6,198명 || {{{#red △ 65}}} || || 2019년 || 6,102명 || {{{#blue ▽ 96}}} || || 2020년 || 4,904명 || {{{#blue ▽ 1,198}}} || || 2021년 || 5,171명 || {{{#red △ 267}}}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낙성대역]]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분류:서울 관악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