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경전철)] [include(틀:수도권 전철 노선)] ||<-2><:>[[남서울경전철|[[파일:editor_20158144658426.png|height=20]]]] [[로템SRS|[[파일:로템SRS 로고.png|height=15]]]]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파일: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CI.svg|height=15]]]] || ||[[파일:SillimLine_icon.svg|width=50]]||{{{#6789CA '''서울 경전철''' {{{+1 '''신림선''' }}}[br]{{{-3 서울 輕電鐵}}} 新林線[br]{{{-3 Seoul LRT}}} Sillim Lin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15px;" [[파일:7315aac3dcf171.jpg|width=100%]]}}} ----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임시가칭]|| ||<-2> {{{#ffffff '''노선도'''}}}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 경전철 신림선 노선도.svg|width=100%]]}}} || ||<-2> {{{#ffffff '''노선 정보'''}}} || || '''분류''' || 도시철도 || || '''기점''' || [[샛강역]] || || '''종점''' || [[관악산역]] || || '''역 수''' || 11개(본선)[br]--6개(난곡지선)-- || || '''구성 노선''' || 서울 경전철 신림선[br]--[[난곡지선]]--[* 추후 개통예정.] || || '''상징색'''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6789ca;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2 서울하늘색 (#6789CA)}}}}}}}}} || || '''개업일''' || [[2022년]] [[5월 28일]] || || '''소유자''' || [[서울특별시|[[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seoul_symbol2008.png|width=150]]]] || ||<|3> '''운영자''' || [[남서울경전철|[[파일:editor_20158144658426.png|width=200]]]][br],,사업 시행,, || || [[로템SRS|[[파일:로템SRS 로고.png|height=30]]]][br],,운영 및 유지보수,, || ||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파일: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CI.svg|height=30]]]][br],,관제 및 기술지원,, || || '''사용차량''' ||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 || '''차량기지''' || [[보라매차량사업소]] || ||<-2> {{{#fff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7.53㎞ || || '''궤간''' || 1,700㎜ || || '''선로구성''' || [[복선]] || || '''사용전류''' ||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 || '''신호방식''' || [[LS ELECTRIC]] LTran-CX[* KRTCS 기반, [[https://www.lselectric.co.kr/products/category/Smart_Railway_Solution/Signaling_System/CBTC|#]]] RF-[[CBTC]] || || '''최고속도''' || 60㎞/h || || '''표정속도''' || 28.875㎞/h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41272|#]] || || '''지상구간''' || 없음 ||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 '''개통연혁''' || 2022. 05. 28. [[샛강역|샛강]] ↔ [[관악산역|관악산]] || || '''개통예정''' || 2026. [[보라매공원역|보라매공원]] ↔ [[난향역|난향]][br]미정. [[샛강역|샛강]] ↔ [[동여의도역|동여의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YnskxWmwuZw)] || || 홍보영상[* 홍보 영상 썸네일에는 개통 시기가 2021년으로 적혀있었지만, 공기가 연장되는 바람에 실제로는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됐다.] || || [youtube(ymH_8D2GusE)] || || 관악산역-샛강역 방면 주행영상 || || {{{#!folding 신림선 총괄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EC%B4%9D%EA%B4%84%EB%8F%84.jpg|width=100%]] }}} || [[서울 경전철]]의 노선 중 하나로, [[서울특별시]]의 교통 사각지대인 [[관악구]] [[신림동]] 지역의 교통난을 해소하고자 2000년대 초반부터 계획된 노선이다. 노선의 주 색상은 {{{#6789CA ●}}}서울하늘색(Seoul Blue).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58268&exception_mode=recommend&page=2|출처]][* 서울하늘색은 KS 5PB 6/10(dE4.7), 팬톤 297C(dE4.7). 헥스코드는 #6789CA이다. [[http://design.seoul.go.kr/reference/list2.jsp?cate1=C5&cate2=Cm20|디자인서울 서울색10색변환표]]] 홈페이지는 [[http://www.sillimlrt.com/kr/|여기]]. 2020년대에 [[진접선]], [[하남선]], [[신분당선]] [[신사역|신사]] 연장 등 노선 연장 개통을 제외하고 단일 노선으로는 처음으로 개통한 노선이다. 인구는 엄청나게 많은데 교통 사각지대인 신림동의 교통난을 해소하며 신림동을 여의도와 잇고, [[보라매역]]과 [[신대방역]] 사이 애매한 장소에 있던 [[보라매공원]]을 잇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서울대학교]]와 연결[* [[관악산역]]은 비록 서울대 정문과 350m 떨어져 있지만 서울대에서 가장 가까운 역이 될 예정이며, 걸어서 5분 거리의 정류장에서 서울대 안으로 들어가는 5511, 5513번 버스를 탈 수 있다.]되어 통학 수요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방역]] ~ [[보라매공원역]] 구간은 여의대방로와 겹치기 때문에 신림선이 [[헬게이트]]를 어느 정도 분담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BTO 방식으로 지어지는 서울시 추진 [[민간투자사업]]이며, 사업시행자는 [[농협은행]]과 [[DL이앤씨]][* 본래는 고려개발이었으나 고려개발이 워크아웃으로 대림산업에 지분을 양도하고 이탈하였다.]가 주축이 된 [[남서울경전철]]이다. [[현대로템]]의 자회사 [[로템SRS]]가 운영과 차량보수를 맡으며,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가 관제와 기술 지원을 맡는다. [[https://www.fnnews.com/news/202012310845032613|#]] 민자노선이지만 [[신분당선]] 등과 달리 민자노선 추가요금이 없으므로 서울전용 정기권도 쓸 수 있다. 대신 환승역에는 환승전용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현재 9호선처럼 승하차량 집계를 위해 설치되었다. == 역사 == === 노선 제안 === 신림선은 2006년에 [[고려개발]] 컨소시엄이 [[여의도]] [[샛강역]]에서 시작해 [[대방역]], [[보라매공원]], [[신림역]]을 거쳐 [[서울대학교]]에 이르는 [[고무차륜열차|고무차륜]] AGT 경전철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제안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 사업은 2008년 1월에 [[한국개발연구원]]의 민자적격성 조사[* 해당 민간투자사업이 타당성이 있는지, 타당성이 있다면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유리한지 조사한다. [[예비타당성조사]]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된다.]를 통과하였고, 2008년 11월에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 고시'에 반영되었다. 서울특별시는 민간제안을 토대로 2009년 11월에 제3자 공고를 냈고, 여기서 사업을 제안한 [[남서울경전철|고려개발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구체적인 노선 및 역 위치 결정, 사업비 분담 방식 등을 결정하였다. 민자사업 관련 협상은 2015년에 완료되었으며, 협상 결과는 2015년 4월 17일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를 통과했다. 사업비는 총 8,318억원으로, 그 중 국가가 931억원(12%), 서울특별시가 3,105억원(38%), 민자사업자가 4,282억원(50%)을 부담한다. === 건설 과정 === 2015년 7월 1일 [[두산건설]]이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240727|수주]]했으며, 2015년 9월 7일에 기공식, 2016년 4월 중 착공하였다.[* 원래 공사에서 기공식은 토지매입 진행중에 시행했다. 물론 기공식 때 미리 매입한 부분은 터파기가 시작된다. '착공'은 토지매입이 완료되고 전 구간이 공사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7140542|출처]], [[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729500195|기사]]) 당초 계획상으로는 4월 29일 착공될 예정이었으나, 사업 시행사인 [[남서울경전철]] 측에서 상세 설계도를 내지 않아 착공이 늦어졌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8410845|출처]]) 2016년 5월 19일에 별다른 큰 행사없이 조용히 착공식이 진행되었다. [[http://blog.naver.com/arang301/220713961432|착공식 사진]] ||[[파일:Y2fDLQf.jpg|width=100%]]|| 2015년 9월 7일에 기공식이 거행됐다.([[https://www.youtube.com/watch?v=VnHR0JaJztM|뉴스 영상]]) 기공식 당시에는 삽만 뜬 것이고, 실질적인 공사는 2016년 4월에야 시작했다. 그러나 2016년에도 일부 구간은 제대로 착공도 못하고 있었다.[[http://news1.kr/articles/?2742057|#]] [[보라매공원]]을 파헤치는 것과 관련한 민원과 고시촌역, [[서울대학교]] 내 역 신설 문제가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2016년 9월 2일 서울시는 신림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을 승인하면서 일단 고시촌과 서울대학교 내부에 역을 신설하지 않기로 했다.[[http://news.donga.com/Main/3/all/20160902/80095608/1|#]] || [[파일:16903177_1892854187618333_2657432255555556684_o.jpg|width=100%]] || || 공사 현장에 부착되어 있던 안내문 || 2016년 10월, 지장물 철거 및 가로수 이식공사가 시작되었다. [[http://blog.naver.com/okkimss/220834231905|출처]] 2017년 1월 26일, 각종 민원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실시계획이 바뀌었고 2월 3일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다. [[http://blog.naver.com/okkimss/221041083093|김성식 국회의원 블로그]] 2017년 3월 공군회관 남측, 병무청 앞 도로, 보라매병원 앞, 신림사거리 초입, 대학동 한남운수 종점, [[샛강역]]에서 공사중이었고, 대방~샛강간 노선이 곡선이 됨에 따라 노선이 지나가는 주변 아파트 주민들이 시위를 하였다. 이에 따라 샛강역에서 [[대방역]]으로 이어지는 시점부 노선이 곡선에서 직선으로 바뀌었다. ||[[파일:shinrim_before.jpg|width=100%]]||[[파일:shinrim_after.jpg|width=100%]]|| 신림선 시점부 본선터널 통과지 중 한국개나리아파트, 신일해피트리아파트 하부통과 구간에 대한 지역주민의 민원 발생으로 사유지 하부통과를 배제할 수 있는 선형으로 계획하고 [[대방역]] 구조물 계획도 바꿨다. 2019년 4월 23일, 첫 터널 공사를 끝냈으며,[[http://news.mt.co.kr/mtview.php?no=2019042308301793006|기사]] 2020년 12월 16일, 전 구간 터널 공사가 완료되었고 열차 2편성이 입고되었다. 2021년 1월부터 구간별로 시험운행을 하고 있다. [[https://m.metroseoul.co.kr/article/20201227500151|기사]] 2021년 8월부터 영업 시운전 및 시설물 점검을 실행하였다. 2021년 12월 16일, 인사들이 보라매병원역에서 직접 시승식을 가졌으며, 서울시에서 신림선 개통 대비 시민 모니터링 요원을 모집하여 선발된 인원을 대상으로 시승 행사를 가졌다. 2022년 1월 기준 공정률은 96.0%이며, 2022년 1월 3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시민들과 함께 시승했다. 2022년 1월 27일에 [[보라매병원역]]과 [[서원역]], [[관악산역]]에 출입구 기둥이 설치되었다. 2022년 2월 17일, 모든 역 출입구에 LED 안내기가 설치되었으며 3월 7일, 당곡역 1번 출구에 출입구 기둥이 설치되었다.[* 2번 출구에는 4월 30일에 설치되었다.] 2022년 4월 19일,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이 [[장애인의 날]]을 기념하여 역사에 있는 장애인을 위한 시설점검에 들어갔다. 2022년 5월 16일에 신림선 노선 홈페이지가 생겨 역 정보와 운행 시간표가 공개되었고, 기존 역(샛강, 대방, 보라매, 신림.)출입구마다 신림선 스티커를 붙였으며, 동월 18일에 개통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파일:신림선_개통포스터.jpg]] 2022년 5월 27일 10시에 보라매공원에서 개통식이 열렸으며, 2022년 5월 28일 5시 30분 첫차 운행을 시작으로 [[신분당선]] [[신사역|신사]]~[[강남역|강남]] 구간과 함께 개통하였다. == 전동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K-AGT]]에 기반한 [[고무차륜열차|고무차륜 AGT]] 차량을 쓴다. 3량 1편성으로 설계 최고속도 70km/h, 운행 최고속도 60km/h이며 158명 정원이다. DC 750V [[제3궤조]] 급전방식을 채택했으며, [[우진산전]]에서 만든다. == [[서울 경전철 신림선/역 목록|역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 경전철 신림선/역 목록)] == [[서울 경전철 신림선/연장|연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 경전철 신림선/연장)] == 여담 == *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과 환승역으로 지정된 샛강역은 9호선 급행이 정차하지 않고 통과한다. 그렇다고 샛강역에 급행을 세우면 [[여의도역]]부터 [[노량진역]]까지 3연속 정차이며, 양쪽 다 환승역이라 급행을 통과시킬 수 없다. 저수요 역을 찾기 힘든 서울 지하철에서, 이런저런 이유로 마냥 급행 정차역을 늘려줄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7호선 [[보라매역]]~[[논현역]] 21분, 9호선 [[샛강역]]~[[신논현역]] 21분(샛강역이 급행역이었다면 13분)으로 강남까지의 소요시간이 샛강역으로 가는 소요시간과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으로 가는 시간이 차이가 없어 배차간격 이외엔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지금 지어지는 [[서울 경전철]] 노선은 9호선 완행 역과 연계되게 노선을 짜는 것이 이득이다.[* 이미 급행은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멀게는 [[인천국제공항철도]]와 [[김포 골드라인]] 환승으로 [[인천광역시]] 북부 지역과 [[영종도]], [[김포시]] 수요까지 커버중이고 향후 [[대곡소사선]]이 개통되면 [[파주시]]와 [[고양시]], [[부천시]] 북부 지역 수요까지 커버 예정이다.] 상대적으로 강남까지 거리가 가까우니 완행과 연계하여 급행쏠림현상을 완화해 이용객 분산을 노릴 수 있다. * 한국에서 연구,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한국형 무선기반 신호시스템(KRTCS : Korea Radio Train Control System)'''을 신림선에 첫 적용하기로 하였는데, 이는 순수 대한민국 기술로 만들어진 첫 철도신호체계이다. * 2020년 9월 7일부터 18일까지 동작구 구간 역명을 공모했다.[[https://www.dongjak.go.kr/dong/bbs/B0000301/view.do?nttId=10212277&menuNo=800107|#]] 동작구와 비슷한 시기에 관악구 구간도 역명 공모 후 온라인 선호도 조사를 진행했다.([[http://www.gwanak.go.kr/site/365/dembbs/opinion_discuss/view.do?dbdBbsKey=16|온라인 관악청]]) 2021년 2월 7일에 110역을 제외한 모든 역의 역명이 정해졌으나 2021년 6월 17일에 본래 숯고개역으로 결정된 역 이름이 [[서원역]]으로 바뀌었으며, 9월 7일에 110역의 역명이 [[서울대벤처타운역]]으로 확정되었다. * [[철도 동호인]]이자 교통평론가인 [[한우진]]의 블로그에 [[https://blog.naver.com/ianhan/222587698983|신림선 배선도]]를 만들어서 올라와 있다. 특이하게 건넘선이 종착역에만(샛강, 관악산) 있으며, 차량기지 입출고선이 관악산 방면으로만 존재한다. * 개통 전 언론 취재진에 공개한 바에 따르면 [[역번호]]는 샛강역의 101부터 시작해 관악산역까지 1씩 더하는 방식이었으나, 개통 며칠 전에 샛강역의 S401부터 시작해 관악산역까지 1씩 더하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옛 역번호의 흔적은 스크린도어에 새겨진 역번호나 신림선 공식 홈페이지에 제시된 역 안내도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개통 전 처음 시간표가 공개되었을 당시에는, 평일 NH 시간대의 배차간격이 10분으로 고정되어 있어 이와 관련된 말이 많았다. 하지만 개통 직전에 시간표가 조정되어 평일 NH 시간대는 첫막차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7 ~ 8.5분 간격으로 변경되었다. * 다른 경전철들과 마찬가지로 안내방송은 TTS로 출력되지만 영어에서는 역명이 1번만 나온다. * 전 구간 무인 운전이나, 개통 후 6개월간은 승무원이 탑승한다고 한다. * 개통 당일 [[관악산역]]에서 한 승객이 [[철도 동호인]]으로 추정되는 다른 승객에게 자신의 얼굴이 사진에 찍혔다는 이유로 시비를 걸어 싸움이 발생하였다. 이후 경찰이 출동했다고 한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284483]]] 비슷한 시각 열차 내에는 비상통화장치를 누른 사람이 있었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284480|출처]] 같은 날 개통한 [[신분당선]] 신사 연장 구간은 신림선에 비해 철도 동호인이 비교적 많지 않았다고 한다 .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경전철 노선)] == 관련 문서 == * [[도시철도]] [[분류:서울 경전철 신림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