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서상렬[* 대전현충원묘적부에는 서상'''{{{+1 열}}}'''로 등재돼 있다.]}}}'''[br]'''徐相烈'''}}}}}}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서상렬2.jpg|width=100%]]}}} || || '''본관''' ||[[이천 서씨]][* 병부상서공파(兵部尙書公派)-익롱공파(益聾公派)-난정공계(懶亭公系) 32세 상(相) 항렬.] || ||<|2> '''출생''' ||[[1920년]] [[10월 5일]] || ||[[전라남도]] [[무안군]] [[암태도|암태면]] 기동리[* [[http://shinanculture.net/history/index.html?mode=read&uid=157&start=100&now_no=1&p=6&where=&key_word=|#]]] || ||<|2> '''사망''' ||[[1977년]] [[11월 1일]] (향년 57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동]] 76-3번지 자택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583호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독립유공자]] [[서창석(1892)|서창석]]은 둘째 작은아버지이고, [[서태석]]은 8촌 삼종형(三從兄)이다. == 생애 == 1920년 10월 5일 전라남도 무안군 암태면(現 [[신안군]] 암태면) 기동리에서 아버지 서광수(徐光洙, 1902. 8. 26 ~ 1961. 5. 28)[* 자는 광호(光浩).]와 어머니 [[김해 김씨]] 김옥례(金玉禮, 1900. 8. 8 ~ 1968. 9. 20)[* 김응균(金應均)의 딸이다.] 사이에서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0년대 [[학병]]으로 [[일본 제국 육군]]에 징집되었으나, 이후 탈영해 1944년 7월 5일 [[한국광복군]]에 입대했다. 1944년 10월 [[안휘성]]에서 광복군 훈련반인 한광반(韓光班) 제1기를 수료한 뒤 광복군 총사령부에서 기간요원으로 활동했다. 그 뒤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위대 대원 및 부대장으로 전보되어 임시정부 고위 간부들의 경호담당으로 활약했고, 1945년 1월부터는 광복군 총사령부 경리처 및 참모처 등지에서 근무하던 중 [[8.15 광복]]을 [[http://shinanculture.net/history/index.html?mode=read&uid=157&start=100&now_no=1&p=6&where=&key_word=|맞았다]]. 귀국 후 1948년 12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제2조사부 조사관에 [[http://db.history.go.kr/id/pj_003_0010|임명되어]] 산업 및 경제 방면의 [[친일반민족행위자]] 조사를 담당했다. 1949년 1월 25일에는 특수경찰대원들을 지휘해 악명높은 친일 경찰 [[노덕술]]의 가택을 수사하고 노덕술을 경호하던 정복 경관 4명을 [[http://db.history.go.kr/id/pj_002_0140_0010|수감하기도 했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11020023910701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7-11-02&officeId=00023&pageNo=7&printNo=17407&publishType=00010|수여받았다]]. 1977년 11월 1일 새벽 4시에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동]] 76-3번지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11020032920702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11-02&officeId=00032&pageNo=7&printNo=9876&publishType=00020|별세했다]]. 1980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고,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유해는 당초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축현리 기독교인공원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96년 10월 9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신안군 출신 인물]][[분류:이천 서씨]][[분류:1920년 출생]][[분류:1977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