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BS 월화 드라마(2016~2020))] [include(틀: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
<-3><:> {{{#9674ab '''[[SBS|[[파일:SBS 텍스트 로고.svg|width=30]]]] 월화 드라마 ''' }}} [br]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파일:3017로고ver2.png|width=100]]]] (2018) [br]Thirty But Seventeen (Still 17)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3017대문포스터.jpg|width=100%]]}}} || ||<-2> [[영상물 등급 제도|{{{#white ''' 시청 등급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000000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선정성, 모방위험)}}}]]''' || ||<-2> {{{#white ''' 방송 시간 ''' }}} ||<(> [[월요일|월]], [[화요일]] 오후 10:00 ~ 11:10 || ||<-2> {{{#white ''' 방송 기간 ''' }}} ||<(> [[2018년]] [[7월 23일]] ~ [[2018년]] [[9월 18일]] || ||<-2> {{{#white ''' 방송 횟수 ''' }}} ||<(> 32부작[* 70분 기준으로 16부작이다.] || ||<-2> {{{#white ''' 제작 ''' }}} ||[[본팩토리|[[파일:본팩토리 로고.svg|height=14&theme=light]][[파일:본팩토리 로고 화이트.svg|height=14&theme=dark]]]] || ||<-2> {{{#white ''' 장르 ''' }}} ||<(> [[로맨틱 코미디]], 휴먼, 성장 || ||<-2> {{{#white ''' 채널 '''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50]]]] || ||<|3><-1> {{{#ffffff ''' 제작진 ''' }}} ||<-1> {{{#ffffff ''' 제작 ''' }}} ||<(> 문석환, 오광희|| ||<-1> {{{#white ''' 연출 ''' }}} ||<(> [[조수원(PD)|조수원]] || ||<-1> {{{#white ''' 극본 ''' }}} ||<(> [[조성희(각본가)|조성희]] || ||<-2> {{{#white ''' 출연 ''' }}} ||<(> [[신혜선]], [[양세종(배우)|양세종]], [[안효섭]] 外 || ||<-2> {{{#white '''차량 협찬'''}}} ||[[기아|[[파일:기아 로고(2012-2021).svg|width=45]]]] || ||<-2> {{{#white ''' 링크 ''' }}} ||<(> [[http://programs.sbs.co.kr/drama/30but17/mai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tv.naver.com/sbs.30but17|[[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17]]]]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O3pv7vGP9mn5ObHWkuIPDwELVEURWVK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8년 7월 23일부터 2018년 9월 18일까지 〈[[기름진 멜로]]〉의 후속으로 방영된 [[SBS]] 월화 드라마. 열일곱에 [[혼수상태#s-2|코마]]에 빠져 서른이 돼서 깨어난, 육체와 정신이 부조화를 이루는 여자와 세상과 단절하고 살아온 남자의 서른이지만 열일곱 같은 애틋하면서도 코믹한 로맨틱 코미디다. 조수원[* [[너의 목소리가 들려(드라마)|너의 목소리가 들려]], [[피노키오(드라마)|피노키오]] 등을 연출했다.] PD가 연출하고 조성희[* [[그녀는 예뻤다]], [[고교처세왕]], [[지붕뚫고 하이킥]] 등을 집필했다. 필명은 [[조조(동음이의어)#기타 외래어|JOJO]]] 작가가 집필했다. == 공개 정보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9zP9QDqOck,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c9gct3sXfY, width=100%)]}}} || || '''1차 티저 {{{-2 (16s)}}}''' || '''2차 티저 {{{-2 (15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hEDC9hSMXs,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TJO3UYEsH0, width=100%)]}}} || || '''3차 티저 {{{-2 (27s)}}}''' || '''4차 티저 {{{-2 (15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AEXEcdEvAg,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uJEAh58_8, width=100%)]}}} || || '''5차 티저 {{{-2 (15s)}}}''' || '''6차 티저 {{{-2 (30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RmG1L9k4-0, width=100%)]}}} || ||<-2> '''티저 {{{-2 (31s)}}}'''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0172인공개포스터.jpg|width=33%]][[파일:30but17_poster.jpg|width=67%]]}}}|| || {{{#white '''공식 포스터 2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017 2인 포스터2.jpg|width=25%]][[파일:3017 3인포스터2.jpg|width=25%]][[파일:3017 3인포스터.jpg|width=25%]][[파일:3017 4인포스터.jpg|width=25%]] }}} || || {{{#white '''미공개 포스터 4종'''}}} || === 메이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uAvGIeK0N4,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VjW_12Qx8g, width=100%)]}}} || || '''대본리딩 현장 메이킹''' || '''종영 인터뷰 + 미공개 메이킹''' || || '''제작 발표회 현장''' || '''티저 포스터 촬영''' || '''메이킹 1''' || '''메이킹 2''' || || [[https://programs.sbs.co.kr/drama/30but17/clip/55550/22000287909|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l08iW-L43C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qNc6wyslyDU|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EiD02M-l7f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메이킹 3''' || '''메이킹 4''' || '''메이킹 5''' || '''메이킹 6''' || || [[https://youtu.be/0UxfVC99VZI|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y7kAJGIqv_o|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7UzZUpc43R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BlapZEDV3Mc|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메이킹 7''' || '''메이킹 8''' || '''메이킹 9''' || '''메이킹 10''' || || [[https://youtu.be/HsmyRYqcv_w|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0d849ggPh6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q4TcmzslHlI|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AebhylqYCA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메이킹 11''' || '''메이킹 12''' || '''메이킹 13''' || || || [[https://youtu.be/mVRswt7gkl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rE_nlEqD-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lqLET2R2xXk|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X7ohK5tq14, width=100%)]}}} || ||<-2> '''메이킹 합본 {{{-2 (35m 56s)}}}''' || == 기획의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브스캐치3017헤더.png|width=100%]] }}} [br]행복의 문이 하나 닫히면, 다른 문이 열린다.[br]그러나 우리는 종종 닫힌 문만 멍하니 바라보다[br]우리를 향해 열린 다른 문을 보지 못한다.[* 마지막화 엔딩에서 [[공우진]]의 나레이션으로 인용된다. 행복의 문은 우진의 방 천장 창에 비유되며, 버스 사고 이후 굳게 닫혀있던 그 문(천장 창)을 처음으로 여는 법을 가르쳐 준 사람, 즉 우진에게 행복을 알려준 사람은 [[우서리]].][br]ㅡ [[헬렌 켈러]][br] [br] || ||[br]여기, 한 [[공우진|소년]]과 [[우서리|소녀]]가 있다.[br]그런데 어느 날. 한 사고로[br]소년과 소녀 앞에 열려있던 행복의 문이 닫혀버리고 만다.[br]소년은 이미 굳게 닫힌 문을 하염없이 바라보며 멈춰 서 있고.[br]소녀는 닫혀버린 문 앞에서 그만 깊은 잠에 빠져버린다.[br][br]13년이 지난 후.[br]어느새 어른이 된 그때의 소년은, 여전히 굳게 닫힌 문만 바라보며 서 있고[br]이제야 긴 잠에서 깨어난 그때의 소녀는,[br]자신의 행복의 문 하나가 닫혀버렸단 사실을 뒤늦게야 알게 된다.[br][br]고개를 돌려 주위를 둘러보던 여자는, 자신을 향해 열려있는 또 다른 행복의 문 하나를 발견하고 그 문을 향해 걸어가기 시작한다.[br]그러다 문득 닫힌 문만 우두커니 바라보고 서 있는 남자를 보게 된다.[br]여자는 손을 내밀며 남자에게 말한다.[br]‘저기 또 다른 문이 열려있다고. 함께 가지 않겠냐고.’[br]남자는 그제야 고개를 돌린다. 그리고 처음으로 알게 된다.[br]자신을 향해 활짝 열려있던 또 다른 행복의 문이 있었다는 사실을...[br]자신이 돌아봐주지 않아 그 존재조차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을...[br][br]누군가의 말처럼, 많은 이들은 이미 지나간 후회스런 과거만 돌아보느라,[br]지금 바로 앞에 있는 또 다른 행복을 보지 못한 채 살아간다.[br][br]이 드라마는,[br]끔찍한 사고로 인생이 뒤틀려버린 두 남녀가 만나,[br]또 다른 행복의 문을 있는 힘껏 열어보려 함께 애쓰는 이야기다.[br][br]이 드라마는,[br]다른 행복의 문이 당신을 기다리며 활짝 열려있을지 모르니, 당신이 돌아봐주지 않아 그냥 닫혀버리기 전에, 고개를 조금만 돌려보라고 외치는 이야기다.[br]다 끝났다고 주저앉아있지 말고, 박차고 일어나 그 문을 향해 뚜벅뚜벅 걸어가라고 있는 힘껏 등 떠미는 이야기다! || ==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등장인물)] ==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명대사|명대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명대사)] == 음악 == ||
<:>
'''{{{#white 파트}}}''' ||<:>'''{{{#white 표지}}}''' ||<:>'''{{{#white 발매일}}}''' ||<:>'''{{{#white 곡명}}}''' ||<:>'''{{{#white 가수}}}''' ||<:>'''{{{#white 링크}}}'''|| ||<:>Part 1|| [[파일:external/image.bugsm.co.kr/album/images/1000/201833/20183311.jpg|width=150]] || 2018.07.30 || Seventeen || [[Every Single Day]] ||<:>[[https://www.youtube.com/watch?v=YDp1Aq0mtqA|듣기]]|| ||<:>Part 2|| [[파일:Just Stay.jpg|width=150]] || 2018.08.07 || [[Just Stay]] || [[효린]] ||<:>[[https://youtu.be/d0aTEBt_Jmc|뮤비]] [[https://youtu.be/Bqg39ncSm1w|듣기]]|| ||<:>Part 3|| [[파일: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part 3.png|width=150]] || 2018.08.13 || Thirty Waltz || 타린 ||<:>[[https://www.youtube.com/watch?v=kT03yBE9IzI|듣기]]|| ||<:>Part 4|| [[파일: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Part 4.jpg|width=150]] || 2018.08.21 || 내 맘 속의 눈물 || [[심규선]] ||<:>[[https://youtu.be/2pRsNHuvAto|듣기]]|| ||<:>Part 5|| [[파일: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OST Part 5.jpg|width=150]] || 2018.09.04 || Get Away || [[봉구(가수)|봉구]] ||<:>[[https://youtu.be/qHe7Deqt4Bk|뮤비]] [[https://youtu.be/9Hcb7kX7piI|듣기]]|| ||<:>Part 6|| [[파일: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OST Part 6.jpg|width=150]] || 2018.09.11 || 우리 지금 || [[미교]] ||<:>[[https://www.youtube.com/watch?v=Ukun1YTETgw|듣기]]|| ||<:>Part 7|| [[파일: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OST Part 7.jpg|width=150]] || 2018.09.17 || 같이 걷자 || [[박재정(가수)|박재정]] ||<:>[[https://www.youtube.com/watch?v=EHSzD5zGfO0|듣기]]|| == [[/방영 목록|방영 목록]] 및 시청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방영 목록)] * {{{#blue 파란색 수치}}}는 최저 시청률, {{{#red 빨간색 수치}}}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 ||
{{{#white '''회차''' }}} || {{{#white '''방영일''' }}} || {{{#white '''부제''' }}} || {{{#white '''시청률[br](닐슨 전국)''' }}} || || '''1''' ||<|2> 2018.07.23 ||<|2> [[La Campanella#s-1|라 캄파넬라(작은종)]] [*A [[니콜로 파가니니|파가니니]]의 곡.] || {{{#blue 5.7%}}} || || '''2''' || 7.1% || || '''3''' ||<|2> 2018.07.24 ||<|2> 우아한 유령 [* 윌리엄 볼콤의 곡. 국내에는 [[조지 윈스턴]]의 편곡 버전이 유명하다. ] || 6.9% || || '''4''' || 8.1% || || '''5''' ||<|2> 2018.07.30 ||<|2> 미지의 나라들 [*B [[슈만]]의 곡.] || 7.6% || || '''6''' || 8.8% || || '''7''' ||<|2> 2018.07.31 ||<|2> 그것이 진실인가요? || 7.3% || || '''8''' || 9.0% || || '''9''' ||<|2> 2018.08.06 ||<|2> [[Clair de Lune|달빛]] [* [[클로드 드뷔시|드뷔시]]의 곡] || 7.2% || || '''10''' || 8.8% || || '''11''' ||<|2> 2018.08.07 ||<|2> 남몰래 흐르는 눈물 [* 도티체니의 오페라 [[사랑의 묘약]]에 수록된 곡.] || 7.6% || || '''12''' || 9.1% || || '''13''' ||<|2> 2018.08.13 ||<|2> 어느 갠 날 [*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에 수록된 곡.] || 8.2% || || '''14''' || 9.7% || || '''15''' ||<|2> 2018.08.14 ||<|2> [[수수께끼 변주곡|수수께끼 변주곡]] [* [[엘가]]의 곡.] || 8.4% || || '''16''' || 10.5% || || '''17''' ||<|2> 2018.08.21[* [[8월 20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2018 아시안 게임]] 중계로 결방.]||<|2> 난 당신을 원해요 [* [[에릭 사티]]의 곡. 드라마에서는 [[어쿠스틱 카페]]의 편곡 버전이 나왔다.] || 7.5% || || '''18''' || 9.9% || || '''19''' ||<|2> 2018.08.28[* [[8월 27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2018 아시안 게임]] 중계로 결방.] ||<|2> [[트로이메라이#s-1|트로이메라이(꿈)]] [*B] || 9.8% || || '''20''' || 10.8% || || '''21''' ||<|2> 2018.09.03 ||<|2> 그대는 나의 안식처 [*C [[슈베르트]]의 곡.] || 8.7% || || '''22''' || 10.2% || || '''23''' ||<|2> 2018.09.04 ||<|2> 위안 [* [[프란츠 리스트]]의 곡.] || 9.3% || || '''24''' || 10.8% || || '''25''' ||<|2> 2018.09.10 ||<|2> 죽음과 소녀 [*C ] || 9.5% || || '''26''' || 10.9% || || '''27''' ||<|2> 2018.09.11 ||<|2> [[프레데리크 쇼팽/에튀드#s-4.1.3|이별의 곡]] [* [[쇼팽]]의 곡.] || 8.9% || || '''28''' || 10.4% || || '''29''' ||<|2> 2018.09.17 ||<|2> [[La Campanella#s-2|라 캄파넬라]], 두 번째 이야기[* [[프란츠 리스트]]의 곡. 1화에서 나온 바이올린 음악과 달리 피아노 음악이 나온다.] || 9.8% || || '''30''' || 10.7% || || '''31''' ||<|2> 2018.09.18 ||<|2> 꾸밈없이 진심으로 [*B] || 9.2% || || '''32''' || {{{#red 11.0%}}} || == 평가 == * 신인급 연기자 캐스팅으로 시청자들에게 많은 기대를 받으며 출발한 작품은 아니었지만, 드라마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면서 다양한 시청자층을 흡수하면서 경쟁작들을 일찌감치 따돌린 모습이다. * 가볍게 볼 수 있는 로맨틱 코미디 장르에다, 드라마 흐름이 에피소드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큰 줄거리만 파악하면 드라마를 뒷부분부터 보기 시작한 시청자들도 부담없이 뛰어들기 좋다는 점 등이 상승세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한 듯하다. * 드라마 자체도 상당한 [[수작]]이다. [[휴머니즘]]과 성장, 재회에 뿌리를 둔 기획 의도에 맞게, 구성 붕괴나 무리한 설정 없이 대체로 충실하게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평이 많다. 영상미와 연출, 배경음악 또한 잔잔한 드라마 분위기에 꼭 맞는 선에서 상당한 퀄리티를 자랑한다. 그리고 [[신혜선]]의 연기는 ‘명불허전’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드라마의 중심을 잡아주며, 신인 축에 속하는 배우인 [[양세종(배우)|양세종]]과 [[안효섭]] 두 주요 인물들의 연기도 설득력 있게 캐릭터를 잘 표현해낸다는 평가가 많다. 조연들의 연기는 말할 것도 없고... * 소위 '[[떡밥]]'의 회수가 잘 이루어졌고, 소품 하나하나의 활용도가 높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악역 대신 주인공들의 서사 중심으로 전개되는 극 특성상 등장인물들의 감정선이 매끄럽게 흘러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소품, 대사 등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 이를 구현해냈다는 것이다. == 수상 == ||
{{{#ffffff '''수상 연도'''}}} || {{{#ffffff '''시상식'''}}} || {{{#ffffff '''부문'''}}} || {{{#ffffff '''수상자(작)'''}}} || ||<|6> [[2018년]] || 그리메상 시상식 || 연출상 || 조수원 || ||<|5> [[SBS 연기대상]] || 청소년 연기상 || [[시은|박시은]] || || 남자 신인상 || [[안효섭]] || || 여자 조연상 || [[예지원]] || || 월화극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 [[양세종(배우)|양세종]] || || 월화극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신혜선]] || == 기타 == * [[신혜선]]은 첫 미니시리즈의 주연작이고 [[황금빛 내 인생]] 이후 약 4개월 만에 복귀했다. 작가가 노렸는지 모르지만 드라마 제목과 마찬가지로 실제 당시에 서른이다. * 신혜선은 이번 드라마 출연으로 [[고교처세왕]], [[그녀는 예뻤다]]에 이어 조성희 작가 집필작에 세 번째 출연했다. * 신혜선과 [[심이영]]은 [[아이가 다섯]] 이후 2년 만에 재회했다.[* 둘째 오빠의 아내(작은 새언니)가 외숙모가 되었다.] * [[양세종(배우)|양세종]]은 [[사랑의 온도]] 이후 약 1년 만에 복귀했다. SBS 월화드라마에는 [[낭만닥터 김사부|10]][[사랑의 온도|개월]]마다 출연한 셈이다. * 특이하게도 클래식 곡의 제목이 매 회차의 부제로 붙었다. 해당 곡들은 남녀 주인공의 심정을 대변하거나(5~6회), 남녀 주인공을 연결하는 매개체(9~10회, 17~18회 등)가 되는 등의 형식으로 극중에서 흘러나왔다. * 주요 등장인물들에게 하나씩 말버릇이나 추임새가 있다. [[공우진|우진]]의 "난데없이", [[우서리|서리]]의 "아참참"과 "쩜쩜쩜", [[유찬(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찬]]의 "몹시베리마치"와 "두둥", [[제니퍼(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제니퍼]]의 말투, [[한덕수(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덕수]]의 "리를빗", [[강희수(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희수]]의 "확 던져버린다?", [[진현(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현]]의 "붐치기 댑"과 "두둥" 등. * 조성희 작가가 우연히도 [[지붕뚫고 하이킥]]의 작가였던 관계로 본 드라마의 엔딩도 흡사 [[지붕뚫고 하이킥#s-9|지붕뚫고 하이킥의 결말]]처럼 되지 않을까라는 [[https://tv.naver.com/v/4071407|우려]]가 16화 예고 댓글에 달리기도 했으나... 다행히 해피엔딩으로 모두 잘 마무리 되었다. * 공우진과 우서리의 아역을 맡은 [[윤찬영]]과 [[시은|박시은]]은 실제로 동갑이고 둘 다 촬영 당시 [[고양예술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었다. 둘은 이전에도 같은 작품에서 여러 번 만난 적이 있다. * 공우진 역의 양세종과 유찬 역의 안효섭은 이후 [[낭만닥터 김사부 2]]에서 선후배로 재회한다. 양세종은 1기에선 주요 인물중 한명이었지만, 2기에선 특별출연이었고 안효섭은 2기의 메인 주연. 각각 본작과 다른 작품에서 이름이 우진으로 같다는 점도 재미있는 부분이다. * 약간 [[창작물의 반영 오류|사실 반영 오류]]가 있는 부분은 회상 2005년 때의 [[뽀로로]]는 아직 옷을 입지 않았을 때인데, 작중에는 옷을 입은 채로 나온다. * [[돌아온 씽씽이]]에도 13년 동안에 누워 있었다는 설정이 쓰였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공우진, version=91)] [[분류: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