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보물/1401~1600호|{{{#ffffff 대한민국의 보물}}}]]''' || || 1533호 ||<|2> ← || '''1534호''' ||<|2> → || 1535호 || || 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 || '''서궐도안''' || 숙빈최씨 소령원도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보물|{{{#f39100 대한민국 보물 제1534호}}}]]''' || ||<-2> {{{#fff {{{+1 '''서궐도안'''}}}[br]{{{-1 西闕圖案}}}}}}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박물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박물관 (서울특별시) || || '''{{{#fff 수량/면적}}}''' || 1기 || || '''{{{#fff 지정연도}}}''' || 2007년 12월 31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 || || [[파일:서궐도안.png|width=530]] || || 이 그림이 서궐도안이다. 줄여서 서궐도라고도 부른다. || == 개요 == [[1829년]]([[순조]] 29)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경희궁]]을 그린 그림. 고려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7년에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1534호로 지정됐다. == 내용 == 법궁인 [[경복궁]]의 서쪽에 있는 [[경희궁]]의 전경을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의 이름이 서궐도인 이유도 [[경복궁]] 서쪽에 있는 [[경희궁]]을 그렸기 때문이다. 서궐도와 비슷한 문화재로는 [[동궐도]]와 북궐도가 있다. [[경희궁]]에 화재가 있었던 [[1829년]] 이전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1830년]]부터 [[1831년]]까지 이루어진 중건 내역을 알 수 있는 서궐영건도감의궤(西闕營建都監儀軌)를 참조하여 보면 지금 남아있는 서궐도와 약간의 차이가 있어 중건 이전의 그림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동궐도]]와 달리 채색은 되어있지 않으며, 먹으로만 그렸다. [[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품]][[분류:나무위키 한국사 프로젝트]][[분류:경희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