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타임지 선정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영웅들 & 아이콘들))] ---- ||<-2>
{{{#!wiki style="margin: -9px -10px" [[파일:thurgood marshall 2.jpg|width=100%]]}}}|| ||<-2> '''미국의 연방대법관''' || || '''이름''' ||서굿 마셜[br]Thurgood Marshall || ||<|2> '''출생''' ||[[1908년]] [[7월 2일]] ||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 ||<|2> '''사망''' ||[[1993년]] [[1월 24일]] (향년 84세) || ||[[미국]] [[메릴랜드주]] [[베데스다]] || || '''학력''' ||링컨 대학교 {{{-2 ([[철학]] , 미국문학 / B.A) }}} [br][[하워드 대학교]] {{{-2 ([[법학]] / LL.B.[* 당시에는 법무박사 학위였으며 1960년대 이후로는 J.D.로 변경되었다. 현재에는 미국에선 쓰이지않는 학위이며 국제적으로 보면 법학학사로 쓰이는 국가들이 존재해서 헷갈릴 수 있다.]) (-1933년)}}} || || '''경력''' ||제 2 연방 순회 항소법원 판사[br]([[1961년]] [[10월 5일]] –[[1965년]] [[8월 23일]])[br][[미국 연방대법원#s-4.1|법무부 송무차관]][br]([[1965년]] [[8월 23일]] - [[1967년]] [[8월 30일]])[br]'''[[미국 연방대법관]]'''[br]([[1967년]] [[10월 2일]] – [[1991년]] [[10월 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변호사]], [[미국 연방대법관|연방 대법관]]. 1967년부터 1991년까지 미국 연방 대법관을 지냈으며, '''미국 최초의 흑인 대법관'''이었다. [[볼티모어 워싱턴 국제공항|볼티모어/워싱턴 서굿 마셜 국제공항]]에 이름이 붙었다. == 생애 == 1908년 7월 2일 [[메릴랜드]]의 [[볼티모어]]에서 태어났다.[* 볼티모어는 현재도 흑인의 비중이 매우 높은 도시로, 지역구 연방하원의원 2인 중 1명이 흑인이다.] 그의 부모는 양쪽 모두 [[흑백혼혈]]인 물라토였으며, 친가와 외가의 조부모 둘 다 해방된 흑인 노예 출신이었다고 한다. 증조할아버지가 붙여준 이름은 서러굿(Thoroughgood)이었지만 길어서 서굿으로 바꿨다. 1925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펜실베이니아주의 [[흑인대학]]인 링컨 대학교에 진학했다. 철학과 미국문학을 공부했으며 나중에 [[메릴랜드 대학교]] 볼티모어 로스쿨에 진학하고자 했지만 입학절차에서 불합격하고 흑인대학인 [[하워드 대학교]][* 뒷날 미국 최초의 흑인 [[미국 부통령|부통령]]이 되는 [[카멀라 해리스]]도 이 학교 학부를 졸업하게 된다.] 로스쿨에서 법학을 공부, 변호사 자격을 얻게 된다. 변호사로 일하다가 1960년대 [[케네디]] 행정부가 집권하자 연방순회법원의 항소판사가 되었다. 1965년에는 [[린든 존슨]] 대통령에 의해 미국 법무부의 송무차관으로 오르고, 법무부장관 직위도 고려되었다. 그러나 이는 성사되지 않았고, 대신 1967년에 [[미국 연방대법원]]의 대법관으로 임명되었다. 존슨이 마셜에게 송무차관[* Solicitor General. '''미국 연방정부의 대표 변호사'''라고 봐도 되며, [[미국 연방대법원|연방대법원]] 청사에 따로 사무실까지 주어지는 자리이다. 그만큼 '''당대 최고의 법률가'''가 보임되며, 당연히 연방대법관 후보 0순위로 거론된다. ([[엘레나 케이건]]도 송무차관-대법관 테크를 탔다.)]취임을 설득하며 내뱉은 발언이 유명하다. "내가 원하는 게 뭔지 아시오? 송무차관 자리에 '''깜둥이(Nigger)'''가 앉아있는 걸 사람들이 보면 뭔 낯짝을 하게 될지 궁금하단 말이오!"라고 마셜 앞에서 질러 버린 것. 마셜은 린든 존슨과 사적으로도 친한 사이였는데 만날 때마다 평소 자기네들이 안 좋게 보던 사람들을 거론하면서 "그 X새끼, X해버릴 새끼." 뭐 이런 식의 뒷담화 수다를 떨었단다. 1991년에 대법관 자리에서 퇴임하고[* 후임자는 역시 흑인인 [[클래런스 토머스]]. 다만 마셜과 성향은 정반대인 강경우파이다.], 1993년 1월 24일에 고향 메릴랜드의 [[베데스다]]에서 별세하였다. 1929년 비비언 버리[* 1911년생으로 민권 운동가로 살았다. 폐암으로 사망하였다.]와 결혼하였으나 1955년 사별하였고, 이후 시실리어 수얏[* 1928년생으로, 서굿보다 20살이 어리다. 하와이 태생으로 [[필리핀계 미국인]]이며 민권 운동가이자 역사학자로 활동하다 2022년 11월 28일 숙환으로 사망했다.]와 결혼하였다. 비비언과의 사이에는 자식이 없었고, 서굿의 후손은 수얏과의 사이에 얻은 자식들이다. 장남 서굿 마셜 주니어는 1956년생으로 변호사이다. 차남인 존 윌리엄스 마셜은 1958년생으로 관료로 일했다. 서굿 마셜도 나이 쉰이 되어 얻은 자식들인데, 장남인 주니어도 2008년에 결혼하여 아들 둘을 늦게 얻었다. == 대중 매체 == * 1991년 [[시드니 푸아티에이]]가 [[ABC(미국)|ABC]] TV 미니시리즈 Separate but Equal에서 서굿 마셜을 연기해 [[골든 글로브]]와 [[에미상]]의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 2017년 영화 [[마셜]]에서 [[채드윅 보스만]]이 서굿 마셜을 연기했다. * [[TNO]]에서 [[린든 존슨]]이 대통령이 되고 진보파 대법관을 임명할 경우 등장한다. [[분류:1908년 출생]][[분류:1993년 사망]][[분류:볼티모어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법조인]][[분류:미국의 대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