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수퍼 소닉 시리즈/등장인물]][[분류:섀도우 더 헤지혹]] ||<-5>
'''[[수퍼 소닉 시리즈|{{{#fff 수퍼 소닉 시리즈}}}]][[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등장인물|{{{#fff 의 등장인물}}}]][br]{{{#fff {{{+1 섀도우 더 헤지혹}}}[br]Shadow the Hedgeho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섀도우 수퍼 소닉.jpg|width=100%]]}}} || || '''이름''' ||섀도우 더 헤지혹[br]Shadow the Hedgehog || || '''다른 이름''' ||'''프로젝트 섀도우'''[br]'''Project Shadow''' || || '''종족''' ||[[고슴도치]] {{{-2 (Hedgehog) / (인공 생명체)}}} || || '''성별''' ||남성 || || '''등장 영화''' ||〈[[수퍼 소닉 2]]〉 {{{-2 (카메오)}}}[br] 〈[[수퍼 소닉 3]]〉 || || '''담당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퍼 소닉 시리즈]]의 [[섀도우 더 헤지혹]]. == 특징 == === 성격 === === 외형 === 외형은 소닉과 거의 유사하나, 원작처럼 검정과 시그니처 색인 빨강이 적절하게 섞여 소닉보다 어둡고 날카로운 인상을 자아낸다. ==== 장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NICmovie3-offandrunning.jpg|width=100%]]}}} || * '''호버 슈즈''' 전체적으로 원작의 [[섀도우 더 헤지혹|섀도우]]가 신고 있던 '[[섀도우 더 헤지혹#s-4.1|호버 슈즈]]'와 동일한 디자인을 유지하고 있으나, 재질이 변경되었고 디테일이 추가되는 등 실사 배경에 맞게 리파인되었다. * '''리미터''' 원작에서처럼 손목과 발목에 하나씩, 총 4개를 달고 있는 링 형태의 장비. 영화판은, 원작과 달리 리미터 디자인이 약간 달라진 모습이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 [[수퍼 소닉 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섀도우 수퍼 소닉.jpg|width=100%]]}}} || >'''(원문) My god... Project Shadow.''' >'''(번역) 맙소사... 프로젝트 섀도우.''' >'''(더빙) 이런 세상에... 섀도우 프로젝트?''' 엔딩 크레딧 이후 삽입된 쿠키 영상에서 첫 등장. 최후의 결전 이후, 미국 정부가 [[닥터 로보트닉(수퍼 소닉 시리즈)|닥터 로보트닉]]의 기록 말소를 위해 정보를 수색하던 도중 50년 전의 일명 '''프로젝트 섀도우'''가 언급이 되었고, 그 뒤 어느 장소에서 기계장치가 개방되는데... 천천히 섀도우의 상징인 신발과 상반신을 완전히 드러내며 첫 등장을 알렸다. 그 후 감고 있던 두 눈을 뜨면서 [[수퍼 소닉 3|다음 편]]의 메인 빌런이 될 것임을 암시하며 영화는 완전히 막을 내린다.[* 이 쿠키 영상에서 팬들이 섀도우 얼굴이 너무 순해보인다고 하는데, 3편에서 테일즈도 그랬듯이 보다 날카로워 보이는 인상으로 수정해서 나올 가능성이 있다. 최근 공식에서 공개한 수퍼 소닉 3 촬영장 사진 속 섀도우 마네킹의 모습은 원작과 거의 판박이던 쿠키영상과 달리 디자인이 약간 달라진 것으로 추정되어 테일즈와 마찬가지로 디자인이 리파인되었다는 것은 거의 확정일 듯 하다.] === [[수퍼 소닉 3]] === == 능력 == [[소닉 더 헤지혹(수퍼 소닉 시리즈)|소닉]]과 [[너클즈 디 에키드나(수퍼 소닉 시리즈)|너클즈]]처럼 능력을 사용할 시 온 몸에 번개가 감도는 연출이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쿠키 영상 막바지에 눈을 뜰 때 눈동자에서 주황색의 전기가 감돌았다. 원작 대로 설정이 짜여진다면 소닉과 거의 동등한 수준의 스피드를 보여줄 것이며, 특히 수퍼 소닉 2에서 마스터 에메랄드를 흡수한 닥터 로보트닉이 보여준 것과 같이 [[카오스 컨트롤|에메랄드를 이용한 액션]]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다. == 여담 == * 수퍼 소닉에서 마지막에 깜짝 등장하여 팬덤에 화제를 불러 일으킨 테일즈처럼 섀도우 또한 이번 작품의 최대 화젯거리가 되었다. 실제로 북미에서 상영할 때 섀도우의 등장에 다들 매우 환호성을 지르기도 했다. 심지어 아이들까지 "섀도우! 섀도우!" 하며 섀도우를 응원하는 모습마저 보여줬다. 섀도우의 인기가 얼마나 많은지 잘 알 수 있는 반응이다. * 고고한 전사의 모습과 허당미를 동시에 겸비하고 있는 너클즈와는 달리, 섀도우 같은 경우 원작에선 웃음기를 싹 거둔 안티 히어로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그만큼 과거 스토리는 [[섀도우 더 헤지혹(게임)|다소 진중하고 잔혹하기 때문에]] 전체 이용가를 표방하는 해당 시리즈에 어떤식으로 녹아들지가 주목되는 부분.[* 일각에서는 원작 그대로, 혹은 비슷하게 진행될 경우 심의 등급 또한 변동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섀도우가 주인공인 [[섀도우 더 헤지혹(게임)]]에서도 본래 유혈 묘사가 있을 예정이었으나 심의 규정 때문에 [[블랙 암즈|외계인]]들에게만 허용했고 그 외계인들의 피 색깔도 빨간색에서 녹색으로 처리하고 나서야 겨우 심의를 통과했을 정도로 섀도우가 주역인 상황들은 상당히 시리어스한 분위기였다.] * 수퍼 소닉 2 개봉 전 수퍼 소닉 3가 확정되었을 때 팬들은 클래식 시리즈 트릴로지로 3편은 [[소닉 CD]]의 내용을 다루는, 즉 [[메탈 소닉]]과 [[에이미 로즈]]의 등장을 예측하고 있었으며 메탈 소닉이라는 캐릭터 자체가 클래식 소닉 시리즈 최고의 네임드 빌런이기에 3편의 메인 빌런일 것이다 라고 예측하였다. 아니면 원작의 클래식 시리즈의 완결편에 해당하는 [[소닉 어드벤처]]의 스토리를 새롭게 각색하여 카오스의 등장을 예측한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2편 쿠키 영상에 섀도우가 깜짝 등장하면서 사실상 [[소닉 어드벤처 2]]의 전개와 비슷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실제로 '프로젝트 섀도우'가 언급됨으로써 [[제럴드 로보트닉]]과 [[마리아 로보트닉]]도 등장을 예측해볼만 하다. * 소닉은 롱클로, 너클즈는 아버지를 포함한 동족들을 잃은 슬픔을 간직하고 있는데, 섀도우의 설정이 원작과 같다면, 셋이서 소중한 사람을 상실한 경험을 공유할 여지가 생겼다.[* 원작의 [[소닉 어드벤처 2|섀도우의 과거가]] [[섀도우 더 헤지혹|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게임]]에선 소닉, 너클즈가 섀도우와 공감대를 나눌만한 요소가 너무 없어서 따로 노는 느낌이 존재한다.] * 섀도우의 등장이 확정되면서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는 역시 3편에서 섀도우의 성우가 누가 될 것인가이다. * 북미는 테일즈만 기존과 동일한 성우를 캐스팅해서 기존과 동일한 성우를 쓸 것이란 생각은 이미 반 정도 포기하고서 어떤 배우가 캐스팅될지에 대한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다. 북미 팬들은 그 중에서 [[로버트 패틴슨]], [[키아누 리브스]]를 추천하기도 한다.[* 로버트 패틴슨은 더 배트맨에서 배트맨 역을 맡았다.] * 일본 역시 테일즈만 동일한 성우를 쓰는 탓에 기존 성우인 [[유사 코지]]가 캐스팅될지 아닐지에 대한 의견이 갈리는 편이다. * 반면 한국은 소닉 일행의 성우진을 모두 기존과 동일한 성우로 캐스팅해서, 기존에 섀도우를 맡았던 [[정재헌]]이 그대로 캐스팅될 확률이 높을 것이란 기대를 걸고 있다.[* 실제로 [[소닉 프라임]]에서도 [[팀 소닉]]을 제외한 멤버들은 모두 성우가 교체된 반면 섀도우는 성우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는 정재헌 본인도 마찬가지여서, 테일즈 역을 맡은 [[조현정(성우)|조현정]]에게 3편에서 보자는 농담 섞인 멘트를 남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