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이란 항공병기)] ||
[[이미지:Shahed-136.jpg|width=100%]] || || '''شاهد ۱۳۶''' (Shahed-136) || [목차] == 개요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youtube(-U0usQ-g9GM)]}}}|| || {{{#fff '''샤헤드-136의 작동 원리'''}}} || [[이란]]의 이란항공기제조산업공사(HESA)에서 개발/제조한 자폭[[드론]]이다. 샤헤드는 순교자라는 뜻이라고 하며 어떻게 보면 자폭 무인기라는 컨셉에 잘 맞는 이름이다. 이란 발음은 샤히드에 가깝다. == 제원 == ||<-4> {{{#ffffff '''۱۳۶ شاهد'''}}} || ||<-2> '''전장''' ||<-2> 3.5m || ||<-2> '''전폭''' ||<-2> 2.5m || ||<-2> '''중량''' ||<-2> 200kg[* 탄두 포함] || ||<-2> '''엔진''' ||<-2> MD-550 피스톤 엔진 || ||<-2> '''최고속도''' ||<-2> 185km/h(추정치) || ||<-2> '''작전반경''' ||<-2> 1,800~2,500km(추정치) || ||<-2> '''탄두중량''' ||<-2> 30~50kg || ||<-2> '''유도방식''' ||<-2> [[위성 항법]], [[INS]] || ||<-2> '''발사 플랫폼''' ||<-2> [[JATO]] || == 실전 == === [[예멘 내전]] === 이란의 지원을 받는 [[후티 반군]]이 사용했다고 한다.[[https://www.newsweek.com/iran-suicide-drones-yemen-red-sea-tensions-1561395|#]]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 측에 지원되어서 운용 중이다. 러시아 측의 제식명칭은 '게란-2, Герань-2'이다. 한국어로는 [[제라늄]]을 뜻한다. 우크라이나 측이 격추한 무인기의 잔해를 통해 샤헤드-136이 러시아에 지원된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우크라이나 측은 이에 대해 크게 반발하며 이란과의 외교 관계를 격하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174571?sid=104|#]] 이후 이란과 [[단교]]를 추진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054565?sid=104|#]] 샤헤드-136은 레이더 시스템과 대포를 각각 노리는 식으로 운용된다고 하며, 우크라이나 제92기계화포병여단 사령관 쿨라긴 대령은 이란 드론이 비교적 작아 우크라이나 방공시스템이 감지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48925?sid=104|#]]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목격담과 오토바이 소리 비슷한 소리를 들었다는 증언이 쏟아지고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ZLVK-QqEguw|영상]] 10월 3일에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고향인 [[크리비리흐]]를 공격했고[[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175938?sid=104|#]], 10월 6일에는 수도 [[키이우]] 인근 빌라체르크바시를 공격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06761?sid=104|#]],[[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87788?sid=104|#]],[[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84941?sid=104|#]] 상당수가 중간에 추락하여 테일 넘버를 식별할 수 있는 상태로 파괴되었다. [[https://mobile.twitter.com/inbarspace/status/1578339398101630976|테일 넘버 모음집]] 이란제 무기를 연구할 수 있는 기회이므로 이란의 적성국인 이스라엘에서도 본 무기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2022년 10월 10일 젤렌스키 대통령은 키이우 공습에도 샤헤드 드론이 쓰였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384339?sid=104|#]] 우크라이나 오신트에 따르면 자폭드론(카미카제)으로 말하는 걸로 봐선 샤헤드-136이 거의 확정적이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977044|#]] 이후 우크라이나 언론의 정식보도로도 샤헤드-136이 확인됐다.[[https://www.pravda.com.ua/news/2022/10/10/7371285/|#]] 신종우 한국 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인터뷰에서 부품 자체가 첨단 장비는 아니지만, 가성비가 뛰어난 자폭드론이라고 평가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005255?sid=104|#]] 대당 2만 달러에 불과해 가성비가 좋고[[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31518?sid=104|#]] 가용범위가 960km에 달해 전략적 측면에서 러시아에 유용할 것이라고 평가되지만, 크고 속도가 느려서 기관총 같은 사격 무기에 취약한 단점도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07885?sid=104|#]] 10월 13일 키이우 공습에도 샤헤드-136이 쓰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847122?cds=news_media_pc|#]] 또한 빈니차에서 우크라이나 전투기가 공중에서 1기를 요격하기 위해 미사일을 쏘는 영상이 게재됐다.[[https://www.youtube.com/watch?v=V6NzySZafhU|#]] 이 영상의 [[MiG-29]]는 기술적 문제로 추락했다고 하며 5기의 샤헤드를 격추했다고 한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983856|#]] 날아오는 샤헤드에 우크라이나 대공 기관총이 사격을 퍼붓는 영상도 공개됐다.[[https://www.reddit.com/r/ukraine/comments/y65dqh/footage_of_civilians_attempting_to_shoot_down/|#]] 10월 15~17일에도 키이우에 샤헤드-136을 이용한 대규모 공습이 있었다. 상당한 수가 격추됐지만 그래도 피해를 누적시키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09254?sid=104|#]],[[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14019?sid=104|#]],[[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397841?sid=104|#]],[[https://www.youtube.com/watch?v=HJbsB1liOKA|영상]] 한편 우크라이나 경찰이 날아오는 샤헤드에 소총을 쏴서 격추시키려 했지만 실패하고 인근에 떨어져 폭발하는 희귀한 영상이 공개됐다.[[https://www.youtube.com/watch?v=5TGgCaBpLhU|#]] 키이우 주민들과 경찰, 군인들이 소총으로 화망을 구성해서 샤헤드를 격추시키려는 모습이 자주 포착되고 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995612&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C.83.A4.ED.97.A4.EB.93.9C&page=1|#]],[[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996898&exception_mode=recommend&page=1|#]] EU는 이란의 고위 인사와 샤헤드 항공에 제재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807771?sid=104|#]],[[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16689?sid=104|#]],[[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536433?sid=104|#]] 한편 많은 수의 샤헤드가 격추됐으나[[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16666?sid=104|#]] 미처 막지 못한 러시아의 미사일과 샤헤드의 공습으로 우크라이나 발전소가 상당한 피해를 보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404273?sid=104|#]] 한편 우크라이나는 이스라엘에 방공망을 요청했으나[[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6/0000046406?sid=104|#]] 이스라엘은 러시아와의 관계를 생각해서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23013?sid=104|#]] 우크라이나는 한달간 161기의 샤헤드-136을 비롯한 이란 드론 166기를 격추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10238?sid=104|#]] 우크라이나는 3단계 방공망을 통해 샤헤드-136을 70%정도 격추했다고 밝혔다. 다만 전투기가 드론을 격추시키는 것은 효율적이긴 하지만 비싼 미사일로 드론을 격추시키는 것은 가성비가 맞지 않는다고 답답함을 토로하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24703?sid=104|#]] 2022년 10월 13일, 스페인이 자국에서 퇴역한 [[호크 대공미사일]] 4개 포대를 무인기 대응용으로 우크라이나에 제공한다고 NATO를 통해 발표했다.[[https://milidom.net/news/1365358|#]] == 관련 무기 == * 샤헤드-131은 러시아군에 의해 '게란-1'로 명명되어 사용중이다.[[https://twitter.com/inbarspace/status/1580693185688281088|#]] 샤헤드-131은 136의 소형화 버전으로 위력은 좀 더 약하지만 가성비는 더 좋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11368?sid=104|#]]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이란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분류:이란군]][[분류:드론]][[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자폭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