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샤먼킹/애니메이션)] ||<-2>
{{{#ffffff,#ffffff '''{{{+1 샤먼킹}}}''' (2001~2002)[br]シャーマンキン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12312_2.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ffffff 장르}}}''' ||[[다크 판타지]], [[배틀물|배틀]] || || '''{{{#ffffff,#ffffff 원작}}}''' ||[[타케이 히로유키]] || || '''{{{#ffffff,#ffffff 감독}}}''' ||[[미즈시마 세이지]]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코이데 카츠히코(小出克彦)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타카미 아키오]]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야마오카 신이치(山岡信一)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코야마 토시히사(小山俊久) || || '''{{{#ffffff,#ffffff 색채 설정}}}''' ||세키모토 나츠코(関本美津子)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히로세 카츠토시(広瀬勝利) || || '''{{{#ffffff,#ffffff 편집}}}''' ||오오타케 야요이(大竹弥生)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미마 마사후미]] || || '''{{{#ffffff,#ffffff 음악}}}''' ||오오모리 토시유키(大森俊之)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XEBEC]] || || '''{{{#ffffff,#ffffff 제작}}}''' ||[[테레비 도쿄]][br][[Nihon Ad Systems|NAS]][br][[XEBEC]]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1년 7월|2001. 07. 04.]] ~ 2002. 09. 25.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테레비 도쿄]] / (수) 18: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원]] || || '''{{{#ffffff,#ffffff 스트리밍}}}''' ||[[Laftel]] [[https://laftel.net/item/16137|▶]][br][[왓챠]] [[https://watcha.com/ko-KR/contents/tE02rzP|▶]]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64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7세 이상 시청가}}}]][* 애니박스에서 방영되는 자막판은 12세이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만화 [[샤먼킹]]을 원작으로 한 구작 [[일본 애니메이션 |TV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2001년 7월|2001년 7월 3일]]부터 2002년 9월 25일까지 [[테레비 도쿄]]계 채널에서 방영했다. 총 64화. 감독은 [[미즈시마 세이지]]. 제작은 [[XEBEC]].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히로인 [[쿄우야마 안나]] 역을 맡음과 동시에 OP/ED곡을 불렀다. 그녀가 [[소년 점프]] 원작 애니메이션에서 성우로 참가한 적은 몇 번 있지만, 주제가까지 부른건 본작이 유일무이하다. 희한하게도 [[신세기 에반게리온]]과 함께 [[러시아]]에서 인기있는 애니메이션이다. == [[샤먼킹/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샤먼킹/등장인물)] == [[샤먼킹/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샤먼킹/설정)] == 주제가 == === OP1 === ||<-2>
'''{{{#ffffff,#ffffff OP1[br]Over Sou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YMrLirXFY, width=100%)]}}} || ||<-2> '''{{{#ffffff,#ffffff Japanes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0HNOi2JJjs, width=100%)]}}} || ||<-2> '''{{{#ffffff,#ffffff Korean ver.}}}''' || || '''노래''' || 日: [[하야시바라 메구미]][br]韓: [[김혜란]] || || '''작사''' || [[하야시바라 메구미|MEGUMI]] || || '''작곡''' ||<|2> 타카하시 고우 || || '''편곡''' || ||<-2> {{{#!folding 가사 ▼ ||
하늘과 대지가 교차되어 있는 지금 잠시 멈춰선 이 세계에서 생명이 태어나 또 다시 사라져 반복되는 따분한 일상 속에서 당연한 일이라 지나치는 순간 꿈은 힘을 잃어버리지 나는 다시 한번 태어나리라 지금 이곳에 정의의 그 깊은 곳에는 꿈이 숨쉬고 있다네 함께하는 힘을 믿고 나아가 정의의 그 깊은 곳에는 어둠이 숨어 있다네 꿰뚫어봐 그 모든 것을 높이 들어올린 검은 베어내기 위함이 아냐 서로를 당기는 운명 각성시켜 선명하게 Let there be light Revive a Soul ||}}} || 애니메이션 1화부터 34화(1~2쿨)까지 사용되었던 오프닝이다. 2000년대 초반을 풍미했던 곡으로 현재까지도 추억의 애니메이션 명곡으로 손꼽힌다.특히 도입부 가사인 "요미가에레(다시태어나)" 임팩트가 강하여 여기저기 패러디로도 활용되고 있다.[[2000년대]]에 발매한 [[하야시바라 메구미]] 싱글 중 최고 매출을 기록했다. 여러모로 샤먼킹 애니메이션을 상징하는 노래로 취급받는지 2021년 샤먼킹 리메이크판 제작 소식이 특보로 알려졌을 때도 이 노래가 BGM으로 깔렸고, 실제 리메이크 애니메이션 5화에서는 엔딩 즈음에 [[아사쿠라 요우]]가 오버 소울을 터득했을 때 이 노래가 엔딩송으로 나와서 구작 팬들을 전율시켰다. === ED1 === ||<-2>
'''{{{#ffffff,#ffffff ED1[br]trust yo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Xd_jGVf7BU, width=100%)]}}} || ||<-2> '''{{{#ffffff,#ffffff Japanes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navervid, vid=504B8174EA291E0187FE2CA3684C18C5EE75, outkey=V1235d046092dd7d78c17ed51fd7a4a9ac4e92a5c73ac780b0916ed51fd7a4a9ac4e9&width=544&height=306, width=640, height=360)]}}} || ||<-2> '''{{{#ffffff,#ffffff Korean ver.}}}''' || || '''노래''' || 日: [[하야시바라 메구미]][br]韓: [[배정미]] || || '''작사''' || [[하야시바라 메구미|MEGUMI]] || || '''작곡''' ||<|2> 타카하시 고우 || || '''편곡''' || === OP2 === ||<-2>
'''{{{#ffffff,#ffffff OP2[br]Northern Light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fjAq4au2mo, width=100%)]}}} || ||<-2> '''{{{#ffffff,#ffffff Japanes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Rq3cTcJ_I0, width=100%)]}}} || ||<-2> '''{{{#ffffff,#ffffff Korean ver.}}}''' || || '''노래''' || 日: [[하야시바라 메구미]][br]韓: [[정선아(뮤지컬 배우)|정선아]] || || '''작사''' || [[하야시바라 메구미|MEGUMI]] || || '''작곡''' ||<|2> 타카하시 고우 || || '''편곡''' || ||<-2> {{{#!folding 가사 ▼ ||
갈라 놓여져버린 두 개의 영혼 갈 곳 하나없는 추억이 마음을 조여오네 어째서 우린 이렇게 만난 거냐고 묻고 싶었던 순간도 그림자 속에 흩어져 흔들림 하나 없이 강인함따윈 없이 달려나간 그 앞에 네가 원한 해답이 있는데 언젠간 이뤄질 우리의 꿈들을 이제는 조용히 그냥 느껴봐 지금의 결심과 내 안의 방황이 우연히 만나 앞길을 비추네 사랑도 실수도 꿈들도 어둠도 지금 내 온 몸을 감싸안으며 강인한 너의 힘 내 안의 모든 것 서로가 마주친 순간 무엇이 태어날까 Do you believe in destiny ||}}} || 애니메이션 35화부터 64화(3~5쿨)까지 사용되었던 오프닝이다. '''오리콘 차트에서 주간 차트 최고 3위를 기록, 자체기록을 갱신하여 하야시바라 전작품을 통틀어서 최고 기록이다.''' 당시 솔로 성우 가수로써의 최고 기록이며 그시절 [[샤먼킹]]과 하야시바라 성우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 ED2 === ||<-2>
'''{{{#ffffff,#ffffff ED2[br]おもかげ[br]모습}}}'''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ZREzcSsdWI, width=100%)]}}} || ||<-2> '''{{{#ffffff,#ffffff Japanes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navervid, vid=C6E7DCF0208FE89F8B56F0FC23146E96092D, outkey=V126e9e3f0adda725cf3a788e63201f8d332e0822b8206ca893ae788e63201f8d332e&width=544&height=306, width=640, height=360)]}}} || ||<-2> '''{{{#ffffff,#ffffff Korean ver.}}}''' || || '''노래''' || 日: [[하야시바라 메구미]][br]韓: [[정유진]] || || '''작사''' || [[하야시바라 메구미|MEGUMI]] || || '''작곡''' ||<|2> 타카하시 고우 || || '''편곡''' || === 최종화 ED === [youtube(h3DswGAqX30)] 노래는 [[아사쿠라 요우]]의 성우 [[사토 유우코]]. 한국 방영시 원곡 그대로 나왔다. == 회차 목록 == * 애니박스 자막판 방영 시간은 일요일 새벽 3시. ||
'''회차''' || '''제목'''[* 한국 최초 방영사인 [[대원방송]] 계열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일본/한국더빙/한국자막] || || {{{-1 1회}}} || {{{-1 幽霊と踊る少年[br]유령과 춤추는 소년}}} ||<|5> {{{-1 코이데 카츠히코[br](小出克彦)}}} ||<-2> {{{-1 [[미즈시마 세이지]]}}} || {{{-1 [[타카미 아키오]]}}} || {{{-1 日: 2001.07.04.[br]韓: 2004.03.01.}}} || || {{{-1 2회}}} || {{{-1 待つサムライ[br]기다리는 사무라이}}} || {{{-1 播野無四郎}}} || {{{-1 사토 오사무[br](佐藤 修)}}} || {{{-1 마루야마 타카시[br](丸山 隆)}}} || {{{-1 日: 2001.07.11.[br]韓: }}} || || {{{-1 3회}}} || {{{-1 もう一人のシャーマン[br]또 다른 샤먼}}} || {{{-1 [[스즈키 토시마사]]}}} || {{{-1 나가사와 츠요시[br](長澤 剛)}}}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1.07.18.[br]韓: }}} || || {{{-1 4회}}} || {{{-1 憑依100[br]빙의 100}}} ||<-2> {{{-1 카쿠타 카즈키[br](角田一樹)}}} || {{{-1 [[타니구치 모리야스]]}}} || {{{-1 日: 2001.07.25.[br]韓: }}} || || {{{-1 5회}}} || {{{-1 おシャマなシャーマン[br]야무진 샤먼}}} || {{{-1 카쿠타 카즈키}}} || {{{-1 나가사와 츠요시}}}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1.08.01.[br]韓: }}} || || {{{-1 6회}}} || {{{-1 カンフーマスター[br]쿵푸 마스터}}} ||<|2> {{{-1 이나리 아키히코[br](稲荷昭彦)}}} ||<-2> {{{-1 [[우에다 시게루(うえだしげる)|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1 [[오오츠카 켄]][br][[치바 미치노리]]}}} || {{{-1 日: 2001.08.08.[br]韓: }}} || || {{{-1 7회}}} || {{{-1 パイロン怒りの一発[br]파이론 분노의 한 방}}} || {{{-1 [[하바라 노부요시]]}}} || {{{-1 하바라 노부요시[br][[오오츠키 아츠시]]}}} || {{{-1 타카미 아키오}}} || {{{-1 日: 2001.08.15.[br]韓: }}} || || {{{-1 8회}}} || {{{-1 シャーマンライフ[br]샤먼 라이프}}} || {{{-1 코이데 카츠히코}}} ||<-2> {{{-1 사토 오사무}}} || {{{-1 마루야마 타카시}}} || {{{-1 日: 2001.08.22.[br]韓: }}} || || {{{-1 9회}}} || {{{-1 北の国から来た少年[br]북쪽 나라에서 온 소년}}} ||<|3> {{{-1 니시조노 사토루[br](西園 悟)}}} ||<-2> {{{-1 [[호시카와 타카후미]]}}}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1.08.29.[br]韓: }}} || || {{{-1 10회}}} || {{{-1 因縁600年[br]600년의 인연}}} || {{{-1 카네코 신고[br](金子伸吾)}}} || {{{-1 카쿠타 카즈키}}} || {{{-1 우에다 미노루[br](植田 実)}}} || {{{-1 日: 2001.09.05.[br]韓: }}} || || {{{-1 11회}}} || {{{-1 春にふる雨[br]봄에 내리는 비}}} || {{{-1 [[카와사키 이츠로]]}}} || {{{-1 나가사와 츠요시}}} || {{{-1 츠쿠마 타케노리}}} || {{{-1 日: 2001.09.12.[br]韓: }}} || || {{{-1 12회}}} || {{{-1 始まりを告げる星[br]시작을 알리는 별}}} ||<|2> {{{-1 코이데 카츠히코}}} || {{{-1 도쟈가겐[* 쿠사카 나오요시(日下直義)의 필명.][br](土蛇我現)}}} || {{{-1 쿠사카 나오요시[br](日下直義)}}} || {{{-1 이케가미 타로[br](池上太郎)}}} || {{{-1 日: 2001.09.19.[br]韓: }}} || || {{{-1 13회}}} || {{{-1 オーバーソウル[br]오버 소울}}} || {{{-1 오오츠카 켄}}} || {{{-1 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1 오오츠카 켄}}} || {{{-1 日: 2001.09.26.[br]韓: }}} || || {{{-1 14회}}} || {{{-1 シャーマンファイト[br]샤먼 파이트}}} || {{{-1 니시조노 사토루}}} ||<-2> {{{-1 나카츠 타마키[br](中津 環)}}}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1.10.03.[br]韓: }}} || || {{{-1 15회}}} || {{{-1 ボーン・キラーズ[br]본 킬러즈}}} ||<|2> {{{-1 이나리 아키히코}}} ||<-2> {{{-1 카쿠타 카즈키}}} || {{{-1 우에다 미노루}}} || {{{-1 日: 2001.10.10.[br]韓: }}} || || {{{-1 16회}}} || {{{-1 ファウスト・ラブ[br]파우스트 러브}}} ||<-2> {{{-1 사토 오사무}}} || {{{-1 마루야마 타카시}}} || {{{-1 日: 2001.10.17.[br]韓: }}} || || {{{-1 17회}}} || {{{-1 ベストプレイス二人旅[br]베스트 플레이스 두 여행}}} ||<|2> {{{-1 니시조노 사토루}}} ||<-2> {{{-1 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1.10.24.[br]韓: }}} || || {{{-1 18회}}} || {{{-1 よう[br]요우}}} ||<-2> {{{-1 오오츠키 아츠시}}} || {{{-1 카토 하츠에[br](加藤初重)}}} || {{{-1 日: 2001.10.31.[br]韓: }}} || || {{{-1 19회}}} || {{{-1 2人のビッグソウル[br]2명의 빅 소울}}} ||<|2> {{{-1 코이데 카츠히코}}} ||<|2> {{{-1 도쟈가겐}}} ||<|2> {{{-1 쿠사카 나오요시}}} ||<|2> {{{-1 이케가미 타로}}} || {{{-1 日: 2001.11.07.[br]韓: }}} || || {{{-1 20회}}} || {{{-1 ソウル摩多霊園[br]소울 마타영원}}} || {{{-1 日: 2001.11.14.[br]韓: }}} || || {{{-1 21회}}} || {{{-1 ビリーブ[br]빌리브}}} ||<|2> {{{-1 [[아이카와 쇼|하즈키 쿠로우]][br](葉月九ロウ)}}} ||<-2> {{{-1 나카츠 타마키}}} ||<|2>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1.11.21.[br]韓: }}} || || {{{-1 22회}}} || {{{-1 オレたちの必殺技[br]우리들의 필살기}}} || {{{-1 호시카와 타카후미}}} || {{{-1 나가사와 츠요시}}} || {{{-1 日: 2001.11.28.[br]韓: }}} || || {{{-1 23회}}} || {{{-1 蘇る娘娘道士[br]되살아나는 여자 도사들}}} ||<|3> {{{-1 코이데 카츠히코}}} ||<-2> {{{-1 사토 오사무}}} || {{{-1 마루야마 타카시}}} || {{{-1 日: 2001.12.05.[br]韓: }}} || || {{{-1 24회}}} || {{{-1 不死身の道円[br]불사신의 도원}}} || {{{-1 카네코 신고}}} || {{{-1 카쿠타 카즈키}}} || {{{-1 치바 미치노리}}} || {{{-1 日: 2001.12.12.[br]韓: }}} || || {{{-1 25회}}} || {{{-1 シャーマンの旅へ[br]샤먼의 여행으로}}} || {{{-1 도쟈가겐}}} || {{{-1 쿠사카 나오요시}}} || {{{-1 이케가미 타로}}} || {{{-1 日: 2001.12.19.[br]韓: }}} || || {{{-1 26회}}} || {{{-1 ビッグ・アメリカ[br]빅 아메리카}}} || {{{-1 니시조노 사토루[br]코이데 카츠히코}}} ||<-2> {{{-1 오오츠키 아츠시}}}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1.12.26.[br]韓: }}} || || {{{-1 27회}}} || {{{-1 ダウジング・エボリューション[br]다우징 에볼루션}}} || {{{-1 이나리 아키히코}}} ||<-2> {{{-1 나가사와 츠요시}}} || {{{-1 츠쿠마 타케노리}}} || {{{-1 日: 2002.01.09.[br]韓: }}} || || {{{-1 28회}}} || {{{-1 リゼルグ・リベンジャー[br]리제르그 리벤저}}} ||<|2> {{{-1 하즈키 쿠로우}}} || {{{-1 오오츠카 켄}}} || {{{-1 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1 오오츠카 켄}}} || {{{-1 日: 2002.01.16.[br]韓: }}} || || {{{-1 29회}}} || {{{-1 メラ根性[br]메라 근성}}} || {{{-1 도쟈가겐}}} || {{{-1 쿠사카 나오요시}}} || {{{-1 이케가미 타로}}} || {{{-1 日: 2002.01.23.[br]韓: }}} || || {{{-1 30회}}} || {{{-1 うばわれたオラクルベル[br]빼앗긴 오라클벨}}} || {{{-1 이나리 아키히코}}} ||<-2> {{{-1 나카츠 타마키}}}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2.01.30.[br]韓: }}} || || {{{-1 31회}}} || {{{-1 精霊の森[br]정령의 숲}}} || {{{-1 코이데 카츠히코}}} ||<-2> {{{-1 호시카와 타카후미}}} || {{{-1 호리 타에코[br](堀たえ子)}}} || {{{-1 日: 2002.02.06.[br]韓: }}} || || {{{-1 32회}}} || {{{-1 ホロホロ苦い友の味[br]불쾌스러운 친구의 맛}}} || {{{-1 치바 카츠히코}}} || {{{-1 도쟈가겐}}} || {{{-1 쿠사카 나오요시}}} || {{{-1 이케가미 타로}}} || {{{-1 日: 2002.02.13.[br]韓: }}} || || {{{-1 33회}}} || {{{-1 ひみつな麻倉[br]비밀의 마창}}} || {{{-1 코이데 카츠히코}}} || {{{-1 카쿠타 카즈키}}} || {{{-1 하바라 노부요시}}} || {{{-1 타카미 아키오}}} || {{{-1 日: 2002.02.20.[br]韓: }}} || || {{{-1 34회}}} || {{{-1 アメリカ温泉[br]아메리카 온천}}} || {{{-1 이나리 아키히코}}} || {{{-1 도쟈가겐}}} || {{{-1 카쿠타 카즈키[br]나가사와 츠요시}}} || {{{-1 츠쿠마 타케노리}}} || {{{-1 日: 2002.02.27.[br]韓: }}} || || {{{-1 35회}}} || {{{-1 吸血鬼伝説[br]흡혈귀 전설}}} ||<|2> {{{-1 하즈키 쿠로우}}} || {{{-1 오오츠키 아츠시}}} || {{{-1 사토 오사무}}} || {{{-1 마루야마 타카시}}} || {{{-1 日: 2002.03.06.[br]韓: }}} || || {{{-1 36회}}} || {{{-1 天使のピストル[br]천사의 피스톨}}} ||<-2> {{{-1 나카츠 타마키}}}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2.03.13.[br]韓: }}} || || {{{-1 37회}}} || {{{-1 ジョーダンキング[br]죠던킹}}} ||<|2> {{{-1 치바 카츠히코}}} || {{{-1 喜多壱郎}}} || {{{-1 타카세 세츠오[br](高瀬節夫)}}} || {{{-1 이시이 유미코[br](石井ゆみこ)}}} || {{{-1 日: 2002.03.20.[br]韓: }}} || || {{{-1 38회}}} || {{{-1 セミノアの伝承歌[br]세미노어의 전승가}}} || {{{-1 미야오 요시카즈[br](宮尾佳和)}}} || {{{-1 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1 타카미 아키오}}} || {{{-1 日: 2002.03.27.[br]韓: }}} || || {{{-1 39회}}} || {{{-1 花組[br]화조}}} || {{{-1 이나리 아키히코}}} ||<-2> {{{-1 나가사와 츠요시}}} || {{{-1 츠쿠마 타케노리}}} || {{{-1 日: 2002.04.03.[br]韓: }}} || || {{{-1 40회}}} || {{{-1 超・占事略決[br]초 점사약결}}} || {{{-1 코이데 카츠히코}}} || {{{-1 오오츠카 켄}}} || {{{-1 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1 치바 미치노리}}} || {{{-1 日: 2002.04.10.[br]韓: }}} || || {{{-1 41회}}} || {{{-1 爆れつオーバーソウル[br]폭렬 오버소울}}} || {{{-1 이나리 아키히코}}} || {{{-1 스즈키 토시마사}}} || {{{-1 카쿠타 카즈키}}} || {{{-1 우에다 미노루}}} || {{{-1 日: 2002.04.17.[br]韓: }}} || || {{{-1 42회}}} || {{{-1 スピリットオブソード[br]스피릿 오브소드}}} || {{{-1 코이데 카츠히코}}} ||<-2> {{{-1 사토 오사무}}} || {{{-1 마루야마 타카시}}} || {{{-1 日: 2002.04.24.[br]韓: }}} || || {{{-1 43회}}} || {{{-1 神々の闘い[br]신들의 싸움}}} ||<|2> {{{-1 하즈키 쿠로우}}} ||<-2> {{{-1 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2.05.01.[br]韓: }}} || || {{{-1 44회}}} || {{{-1 もうひとふんばり[br]좀 더 분발해서}}} || {{{-1 카네코 신고}}} || {{{-1 카쿠타 카즈키[br]나가사와 츠요시}}} || {{{-1 타카미 아키오}}} || {{{-1 日: 2002.05.08.[br]韓: }}} || || {{{-1 45회}}} || {{{-1 グレートスピリッツ[br]그레이트 스피릿}}} ||<|2> {{{-1 코이데 카츠히코}}} || {{{-1 오오츠키 아츠시}}} || {{{-1 나카츠 타마키}}} || {{{-1 츠쿠마 타케노리}}} || {{{-1 日: 2002.05.15.[br]韓: }}} || || {{{-1 46회}}} || {{{-1 道の亡霊[br]길의 망령}}} || {{{-1 하바라 쿠미코[br](羽原久美子)}}} || {{{-1 카쿠타 카즈키}}}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2.05.22.[br]韓: }}} || || {{{-1 47회}}} || {{{-1 メラ純情[br]메라 순정}}} || {{{-1 치바 카츠히코}}} ||<-2> {{{-1 国分寺恋}}} || {{{-1 오쿠 유키히데[br](屋 幸秀)}}} || {{{-1 日: 2002.05.29.[br]韓: }}} || || {{{-1 48회}}} || {{{-1 ドラゴンの伝道師[br]드래곤의 전도사}}} || {{{-1 이나리 아키히코}}} || {{{-1 오오츠카 켄}}} || {{{-1 쿠리하라 히바리[br](栗原ひばり)}}} || {{{-1 치바 미치노리}}} || {{{-1 日: 2002.06.05.[br]韓: }}} || || {{{-1 49회}}} || {{{-1 ドクタードクター[br]닥터 닥터}}} || {{{-1 코이데 카츠히코[br]나카무라 히로유키[br](中村寛之)}}} || {{{-1 [[사토 타츠오]]}}} || {{{-1 카쿠타 카즈키}}}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2.06.12.[br]韓: }}} || || {{{-1 50회}}} || {{{-1 オレの心にゃ闇がある[br]내 마음에 어둠이 있다}}} ||<|2> {{{-1 하즈키 쿠로우}}} ||<-2> {{{-1 스즈키 토시마사}}} || {{{-1 우에다 미노루}}} || {{{-1 日: 2002.06.19.[br]韓: }}} || || {{{-1 51회}}} || {{{-1 シャーマンハント[br]샤먼 헌트}}} ||<-2> {{{-1 나가사와 츠요시}}} || {{{-1 타카미 아키오}}} || {{{-1 日: 2002.06.26.[br]韓: }}} || || {{{-1 52회}}} || {{{-1 特訓だよ!? 全員集合[br]특훈이라구!? 전원집합}}} ||<|2> {{{-1 코이데 카츠히코}}} ||<-2> {{{-1 나카츠 타마키}}}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2.07.03.[br]韓: }}} || || {{{-1 53회}}} || {{{-1 バイバイ[br]바이바이}}} || {{{-1 미즈시마 세이지}}} || {{{-1 키무라 히로시[br](木村 寛)}}} || {{{-1 야나세 유지[br](柳瀬雄二)[br]이와이 유키[br](岩井優器)}}} || {{{-1 日: 2002.07.10.[br]韓: }}} || || {{{-1 54회}}} || {{{-1 8番目の天使[br]8명째의 천사}}} || {{{-1 코이데 카츠히코}}} || {{{-1 와타나베 준이치[br](わたなべぢゅんいち)[br]少林寺拳[br]하바라 노부요시[br]카쿠타 카즈키}}} || {{{-1 카쿠타 카즈키[br]나가사와 츠요시}}} || {{{-1 타카미 아키오}}} || {{{-1 日: 2002.07.17.[br]韓: }}} || || {{{-1 55회}}} || {{{-1 ゲートオブバビロン[br]게이트 오브 바빌론}}} || {{{-1 이나리 아키히코}}} || {{{-1 호시카와 타카후미}}} || {{{-1 나카츠 타마키}}}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2.07.24.[br]韓: }}} || || {{{-1 56회}}} || {{{-1 バビロンの扉[br]바빌론의 문}}} || {{{-1 코이데 카츠히코}}} || {{{-1 오오츠카 켄}}} || {{{-1 쿠리하라 히바리}}} || {{{-1 치바 미치노리[br]오오츠카 켄}}} || {{{-1 日: 2002.07.31.[br]韓: }}} || || {{{-1 57회}}} || {{{-1 シャーマンファイト終了?[br]셔먼 파이트 종료?}}} ||<|2> {{{-1 하즈키 쿠로우}}} || {{{-1 카네코 신고}}} || {{{-1 나가사와 츠요시[br]카쿠타 카즈키}}} || {{{-1 아이사카 나오키[br](相坂直紀)}}} || {{{-1 日: 2002.08.07.[br]韓: }}} || || {{{-1 58회}}} || {{{-1 炎上エンジェル[br]불꽃위의 엔젤}}} ||<-2> {{{-1 스즈키 토시마사}}} || {{{-1 타카미 아키오}}} || {{{-1 日: 2002.08.14.[br]韓: }}} || || {{{-1 59회}}} || {{{-1 星の聖地[br]별의 성지}}} ||<|2> {{{-1 치바 카츠히코}}} || {{{-1 호시노 세이지[br](ホシノセイヂ)}}} || {{{-1 나가사와 츠요시[br]카쿠타 카즈키}}} || {{{-1 우에다 미노루}}} || {{{-1 日: 2002.08.21.[br]韓: }}} || || {{{-1 60회}}} || {{{-1 友達[br]친구}}} ||<-2> {{{-1 나카츠 타마키}}}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2.08.28.[br]韓: }}} || || {{{-1 61회}}} || {{{-1 永遠のサヨナラ[br]영원의 작별}}} || {{{-1 이나리 아키히코}}} ||<-2> {{{-1 오오츠키 아츠시}}} || {{{-1 타카미 아키오}}} || {{{-1 日: 2002.09.04.[br]韓: }}} || || {{{-1 62회}}} || {{{-1 DIE・激突![br]DIE 격돌!}}} ||<|3> {{{-1 코이데 카츠히코}}} || {{{-1 호시카와 타카후미}}} || {{{-1 스즈키 토시마사}}} || {{{-1 타카하시 아키라}}} || {{{-1 日: 2002.09.11.[br]韓: }}} || || {{{-1 63회}}} || {{{-1 在るべき場所[br]있어야 할 장소}}} || {{{-1 하바라 노부요시}}} || {{{-1 쿠리하라 히바리}}} || {{{-1 치바 미치노리}}} || {{{-1 日: 2002.09.18.[br]韓: }}} || || {{{-1 최종회}}} || {{{-1 エピローグ[br]에필로그}}} ||<-2> {{{-1 미즈시마 세이지}}} || {{{-1 타카미 아키오}}} || {{{-1 日: 2002.09.25.[br]韓: }}} || == 시청률 == ||
방영 기간 || 2001.07.04 ~ 2002.09.25 || || 방영 시간 || 수요일 18:30 ~ 19:00 || || 방영 화수 || 전체 64화 || || 방영 형태 || 스테레오 방송 || || 최고 시청률 || 9.5% || || 최저 시청률 || 5.2% || || 평균 시청률 || 7.5% || ( [[http://home-aki.la.coocan.jp/anime-list/shaman.htm|시청률 정보 페이지]] ) 동일 출처에서 1995년에 동일 시간 방송한 [[신세기 에반게리온]]이 최고 10.1%, 평균 7.3% 이며, 2001.04.03 ~ 2001.09.25 기간에 화요일 18:00 ~ 18:30 방영한 [[정글은 언제나 하레와 구우]]이 최고 7.1%, 평균 4.7% 인 것을 감안하면 굉장한 시청률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 해외 공개 == === 대한민국 === [[대원방송]]에서 정식으로 수입해 산하 채널인 [[애니원]]에서 [[2004년]] [[3월 1일]]부터 [[5월 27일]]까지 한국어 더빙판으로 방영했다. 연출은 [[김정규]] PD.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100% 이뤄지기 직전에 수입했기 때문에 핵심인물인 [[아사쿠라 요우]]나 [[아사쿠라 하오]]의 풀네임은 그대로 나오고, [[오야마다 만타]]나 [[쿄우야마 안나]] 같은 인물들은 만타 & 안나 같이 이름만 언급한다. 그리고 [[우메미야 류노스케]]는 '류'로 변경했다. 유명 성우진들 다수 기용한데다 호연을 펼쳤기 때문에 퀄리티는 상당히 좋은 편이나 [[중복 캐스팅]]이 좀 심했다.[* 특히 [[배정미]]는 [[쿄우야마 안나|히로인]]을 포함하여 1인 7역(...)을 했다.] 배틀물로서 인기있는 작품이기 때문에 방영 당시 상당한 인기몰이를 했으며, [[2000년대]] 중후반에 필름이 변색될 수준으로 재방송을 자주 해줬다. 이후 판권이 만료되었는지 [[애니박스]]에서 2012년에 방영한 걸 끝으로 더빙판은 더이상 공식루트를 통해서 볼 수 없게 된 상태. 자막판은 2020년에 애니박스에서 틀어준걸 시작으로 간간히 재방송 편성되고 있다. [[https://m.ruliweb.com/family/211/board/300015/read/2223914?|#]] 가끔 [[투니버스]] 리즈시절이라면서 샤먼킹이나 샤먼킹 OST를 들고 오는 사람들이 있는데 애초에 샤먼킹은 [[대원방송|대원 계열]]에서 방영했지,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적이 한 번도 없다(...).[[이누야샤/애니메이션|이누야샤]]가 투니버스에서 방영했으니[* 이쪽은 극장판을 자체 더빙으로 방영하기도 했다.] 비슷한 류의 애니인 샤먼킹도 방영했겠거니 하고 사람들이 생각하는 듯. 게다가 그 시절은 방송사 별로 애니를 서로 빌려가며 방영했던 터라 투니버스, [[애니원]], [[챔프TV|챔프]] 등을 그냥 제일 유명했던 투니버스로 퉁쳐버리는 인식이 있었다.[* 샤먼킹이 처음 방영할 당시만 해도 애니원은 [[스카이라이프]]에서만 송출하였다. 반대로 이 시절 투니버스는 [[케이블 방송]]에만 나왔다는 것. 사실 투니버스도 스카이라이프 초기에 송출되기는 했는데, [[어른의 사정]]으로 얼마 못 가 송출이 중단된 것이다.] 종영 후 (주)에스에스애니먼트로 귀속됐다. == 평가 ==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154, user=7.76)]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40143-shaman-king, user=85)]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16137, user=3.8)] [include(틀:평가/왓챠, code=tE02rzP, user=3.8)]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88757, light=100)] ## 2022년 9월 13일 기준 (reviewers : 185870) 가장 큰 특징은 원작이 완결되지 않은 시점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중반부터 오리지널 스토리로 변경되었다는 점이다. 2020년 9월 17일, [[샤먼킹(2021년 애니메이션)|샤먼킹 리메이크]]의 정보가 풀리면서 미즈시마 감독이 이 부분에 대한 코멘트를 했는데, 메인 스폰서이자 원작 판권사이기도 한 [[슈에이샤]]의 요청에 의해 이뤄진 일이라고. [[https://twitter.com/oichanmusi/status/1306442023390519297?s=19|#]]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사먼 파이트 본선 대회장인 [[패치족]] 마을까지 찾아가는 부분까진 거의 동일하나,[* 다른부분도 좀 있긴하다. 패치마을에 거의 당도했을 즈음, 안나가 초점사약결의 요점만 뽑은 공간을 만들어 거기에 요우 일행을 집어 놓고 단기간 속성훈련을 시킨 부분이 대표적.] 그 이후부턴 스토리 및 캐릭터 설정 등이 모두 원작과 다른 방향으로 전개된다. 대표적인 예로 중후반부 주요인물들의 파워업 요소인 갑박식 오버소울이 전혀 나오지 않는 대신, 오버소울의 크기를 줄이고 거기에 무력을 응축시켜 이전보다 몇배의 파워를 내는 응용기를 터득했다는 얼추 비슷한 설정을 들고 나왔다. 메인 악역인 [[아사쿠라 하오]]는 원작과 좀 다른 의미에서 [[미친 존재감]]을 어필했고, 원작,신작 애니에 없는 스피릿 오브 파이어 vs 샤마쉬도 선보였다. 또한 [[X-LAWS]]의 전투씬에도 비중을 제법 둬서 원작처럼 어이없게 죽이는 대신 하오 부하들과 나름대로 멋지고 장렬한 사투를 보여줬다.[* 물론 결국 죄다 죽는다는 점은 동일하다.] 사실 [[X-LAWS]]의 행적이 원작과는 아예 다르게 그려졌는데, 특히 [[리제르그 다이젤]]과 [[아이언 메이든 잔느]]의 경우는 [[캐릭터 붕괴]]가 심한 편이라 이에 대한 혹평도 많다. 원작에 묘사된 잔인한 장면들도 심의에 걸리기 때문에 많이 순화되었는데, 잔느가 아이언 메이든에서 나올 때 피가 쏟아지는 연출은 가시덩굴에 휘감겨 있는 것으로 변경했고 이 외에 팔이 잘리거나 살가죽이 벗겨지거나 하는 장면들도 부상입는 수준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사정상 오리지널 캐릭터의 비중이 상당히 큰 편인데, 감초역이었던 "리리파이브"의 경우는 중반부 진지하거나 중요한 장면마다 꼭 끼어들어 보기 거슬린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리고 [[아사쿠라 하오]]의 무력이 125만 이상이라는 사실이 드러난 이후 급전개가 시작되는데, [[타오 렌]]이 갑자기 급버프를 받고 하오 부하들을 상대로 단신으로 맞서 간단히 털어버리더니 하오와의 최종결전에선 되살아난 요우와 주연들이 그냥 다 같이 힘 모아서 하오와 스피릿 오브 파이어를 일도양단으로 끝내고 패치족은 종적을 감추고 샤먼 파이트는 중단된 걸로 서로의 에필로그를 마무리 짓는다.보통 현재진행형 원작이 완결되기 전 이뤄진 애니화는 대체로 후속편의 여지를 두고 끝내는 것과 달리 이때 [[샤먼킹]] 구작 애니는 자체적으로 완전한 마무리를 지었다는 점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당시 고화질 디지털 기술을 도입한 작품이라 애니화 수준이 상당한 편이었고 원작의 인기가 아직은 유지됐던터라 시청률은 꽤 높았다. [[클리셰]] 덩어리의 애니메이션이지만 당시 원작 (미)완결이 나온 이후에는 일부 사람들이 원작 결말보다 낫다는 평을 하기도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샤먼킹/애니메이션, version=153, paragraph=1)] [[분류:샤먼킹]][[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1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1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2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2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2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