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1907}}}'''[br]''Mitrailleuse St. Étienne Mle 1907''[br]''생테티엔 M1907 기관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arge_DI_2014_2613.jpg|width=100%]]}}}|| || '''종류''' ||[[중기관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08년]]~[[1945년]]으로 추정 || || '''개발년도''' ||[[1907년]]으로 추정 || || '''생산''' ||생테티엔 병기창 || || '''생산년도''' ||[[1908년]]~[[1917년]] || || '''생산수''' ||39,700정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br][[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width=23]] [[그리스 왕국]][br][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왕국)][br][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제2공화국)][br][include(틀:국기, 국명=루마니아 왕국)][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국기, 국명=중화민국)] || || '''사용된 전쟁''' ||[[제1차 세계 대전]][br][[그리스-터키 전쟁]][br][[군벌/중화민국|군벌 전쟁]][br][[스페인 내전]][br][[제2차 세계 대전]] || ||<-2> {{{#White '''기종'''}}} || || '''원형''' ||퓌토 APX 기관총(M1905) || || '''파생형''' ||1916년 개량형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8 mm#8×50mmR 르벨|8×50mmR 르벨]] || || '''급탄''' ||25발들이 [[보탄판]][br]300발들이 탄띠(1916년형)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 || '''총열길이''' ||710mm || || '''전장''' ||1,180mm || || '''중량''' ||26kg || || '''발사속도''' ||600RPM || || '''탄속''' ||724m/s || || '''유효사거리'''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fZnarVq8pw)]}}}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fx86opKx3A)]}}}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작동 방식 영상 || 생테티엔 M1907은 프랑스의 공랭식 중기관총이다. == 상세 == 일반적으로 [[호치키스 기관총]]의 파생형으로 알려져 있는데, 애초에 생테티엔 M1907은 [[방 소총]]의 블로우 포워드 방식을 기초로 했기에 호치키스와는 작동 방식과 구조부터 차이점이 있다. 애초에 이 기관총을 개발하게 된 계기도 민간기업이 아닌 국영 조병창에 의해 설계된 기관총을 채택해야 한다는 군부의 요구에서 시작된 것. 때문에 다른 민간기업(특히 호치키스)이 특허 침해를 주장할 구실을 최대한 만들지 않도록 설계할 것이 요구되었다. 이 총이 채탁한 블로우 포워드 방식, 다시 말해 전진하는 피스톤으로 노리쇠를 후퇴시키는 방식 역시 '''후퇴하는''' 피스톤에 대한 호치키스의 특허를 피하려면 '''전진하는''' 피스톤을 쓰면 된다는 발상에서 비롯된 것. 그러나 급탄 방식만큼은 호치키스 기관총에서 비롯된 [[보탄판]]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자존심 문제나 몇 가지 근본적인 문제로 채택을 꺼리던 탄띠 급탄식을 제외하고 나면 쓸 만한 급탄방식은 보탄판이 거의 유일한 방식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앞서 언급한 [[방 소총]]의 작동 방식을 따와 [[https://en.wikipedia.org/wiki/Puteaux_APX_Machine_Gun|퓌토 APX 기관총]]이 개발되었으나 기관총 자체의 성능이 프랑스군의 기대에 전혀 미치지 않았고, 결국 몇가지의 자잘한 개조를 한 후 생산공장의 이름을 따[* 생테티엔 병기창(Manufacture d'Armes de Saint-Etienne). [[FAMAS]]와 [[MAS-36]]을 만든 그 곳 맞다.] 생테티엔 M1907이라는 제식명을 붙여주고 프랑스군의 제식 기관총으로 사용된다. 분당 50~600발 사이로 발사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연장치라던가, 총열의 팽창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수정되는 가늠쇠 장치 등 2023년 기준으로 봐도 고급스러운 기능들도 들어가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생각하면 이러한 설계는 내부구조의 복잡함을 야기하고 이는 곧 생산성과 야전 신뢰성의 하락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실제로 기관총이 한정이라도 더 필요했던 1차 세계대전 당시, 특히 전장환경이 시궁창스럽기로 유명했던 서부전선에서는 [[르벨 M1886]] 과 비슷하게 엘리베이터로 약실에 탄약을 집어넣는 방식과 내부구조를 더 복잡하게 만드는 기능들이 탑재된 M1907보단 일반적인 후퇴식 가스 피스톤과 틸팅볼트를 사용한 간단한 구조만을 채용해 생산성도 높고 전장의 오염에도 저항이 높은 [[호치키스 기관총|호치키스 M1914]]가 선호되었다. 결국 이러한 지적에 따라 생테티엔 M1907의 생산을 중지하고 호치키스 M1914를 새로운 주력 기관총으로 운용한다는 결정이 1917년 7월에 내려지면서 생테티엔은 2선급 무기로 사용되거나 다른 나라로 수출되었고, 일부는 [[1916년]]에 탄띠 장전 방식을 사용하도록 개량되어 사용되기도 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1차 세계대전/연합군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프랑스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그리스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기관총]][[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