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식물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 [include(틀:유희왕/OCG/테마)][include(틀:생아발론)] ||<:><-6> '''{{{#!html생아발론}}}''' || ||<-6><#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생아발론 드리아스.jpg|width=100%]][br] ,,[[생아발론#생아발론 드리아스|{{{#92ca66 생아발론 드리아스}}}]],,}}}|| || '''{{{#!html한국어판 명칭}}}''' ||<-5><#fff> '''생아발론''' || || '''{{{#!html일어판 명칭}}}''' ||<-5><#fff> '''[ruby(聖天樹, ruby=サンアバロン)]''' || || '''{{{#!html영어판 명칭}}}''' ||<-5><#fff> '''Sunavalon'''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fff>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2><#fff> [[식물족]] ||<-2><#fff> 효과[br] '''[[링크 소환|링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링크 소환]] 중심 카드군.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성천수'라 쓰고, '생아발론'이라 읽는다.]] 일칭인 "산(サン)아바론"은, 일본어로 태양을 뜻하는 Sun과 Saint의 준말 San의 발음이 サン으로 같은 것을 이용한 언어유희다. VRAINS 국내 방영 이전에는 전자를 살린 '선아발론'이라는 표기가 주류였고, 더빙판에서는 후자를 프랑스식으로 읽은 '생아발론'으로 번역되었다. == 상세 == === 원작 === [[유희왕 VRAINS]]의 등장인물인 [[스펙터(유희왕 VRAINS)|스펙터]]가 사용한다. 스펙터는 어릴 때 부모에게 버려졌고, 보육시설에 발견될 때까지 며칠간 거대한 나무 밑에서 보호받았다고 한다. 생아발론은 그 때의 기억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스펙터가 현세에서 유일하게 애착을 갖는 대상이다. 그 모티브처럼 스펙터를 지키며, 동시에 스펙터 또한 생아발론을 지키는 방어적인 플레이를 중시한다. 스펙터에게 있어서 '''어머니'''인 존재라서 그런지 몇몇 몬스터는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고 드리아데스, 드리아노움, 드리아트란티에는 줄기에 여성의 몸이 붙어있다. 생아발론은 특유의 힐 효과가 존재하며,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힐 효과를 이용하여 LP를 계속해서 회복하며 전선을 유지했다. 덤으로 회복 효과는 생아발론에서 뻗어져 나오는 짙은 색의 덩굴들이 스펙터의 상반신을 통째로 붙잡아 묶으며 회복이 되는 기괴한 연출을 보인다. 처음에는 별다른 감정표현이 없었지만 나중에는 스펙터가 회복이 될 때 홍조를 띄우며 느끼는 것 같은 엄한 묘사가 있어 [[촉수물|특정 장르]]를 연상시킨다. 아이러니하게도 스펙터와 생아발론의 관계를 생각할 때 이 회복 묘사는 '''아들을 포옹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특수 소환 이후에 회복이 되는 처리였기에 생바인을 특수 소환할 링크 마커 앞 몬스터 존이 없으면 LP 회복도 할 수 없었다. 또한, 링크 소환한 턴에 링크 소재로 삼을 수 없어 바로 높은 링크의 생아발론을 전개하기가 어려웠다. 거목을 모티브로 한 카드답게 애니메이션에서는 소환되면 스펙터의 후방을 가득 채울 정도로 거대한 사이즈를 자랑한다. 반면 일러스트는 나무 전체를 작은 범위 내에 담으려다 보니 나무의 크기가 너무 작아지고 배경이 차지하는 범위만 넓어져 굉장히 휑하다. 스펙터의 성우 카지모토 다이키는 [[https://twitter.com/kajimotodaiki/status/1316704844879548416|트위터의]] [[https://twitter.com/kajimotodaiki/status/1316705079747989507|코멘트]]를 통해 '''어머니이이이이!'''를 외치며 드디어 이루어진 OCG화에 기뻐하는 반응을 보였다. === OCG === 11기의 [[SELECTION 10]]에서 OCG화 하였다. 꽤 체계적으로 구성된 카드군이고, 스펙터의 비중도 상당히 높지만 정작 [[유희왕 VRAINS]] 작중에 등장한 다른 무수한 카드군들과 마찬가지로 종영 순간까지 OCG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나마 2020 컬렉션 팩 애니메이션 카드 OCG화 투표에서는 [[화석(유희왕)|화석]]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상당한 인기 테마임을 입증했고 결국 이 인기에 힘업어 OCG화가 확정되었다. 링크 몬스터로 이루어진 "생아발론"을 중심으로, "[[생시드]]"와 "[[생바인]]"이라는 두 카드들과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공식에서는 이 3가지 테마를 묶어서 부를 때 이 카드군의 이름인 "생아발론"으로만 지칭하고 있다. 똑같이 여러 테마가 섞여 있는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 황금향, 엘드릭시르, 엘드리치]나 [[이빌트윈|이빌트윈]][* 라이브트윈, 이빌트윈, 키스킬, 리일라]과 유사한 경우. 생아발론은 공통적으로 공격 대상이 되지 않으며, 필드에 생아발론만 존재할 경우에는 모든 공격을 직접 공격으로 받는 [[전설의 어부]]를 연상케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다프네와 멜리아스 이외의 "드리아"라 이름붙은 링크 3까지의 생아발론은 이하의 효과를 공유한다. ||자신이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입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수치만큼의 자신의 LP를 회복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생바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자신의 링크 마커의 수까지 한 턴에 발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높은 링크일 수록 회복 가능한 횟수가 늘어난다. 이 효과 및 생바인 가드너의 존재로 인해 필드에 생아발론만 남아있다고 해도 직접 공격을 여러 번 맞아 패배할 걱정은 거의 없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상대는 굳이 생아발론이 필드에 있을 때 공격 선언을 하지 않을 것이므로 전투를 통해 발동하기는 어렵고, 특수 소환 효과를 살리기 위해서는 스스로 효과 데미지를 받는 카드를 사용하는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애니메이션과는 다르게 링크 3 이하 생아발론은 효과 내성이 전혀 없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어서 이들을 오래 유지하기 어렵다. 링크 4인 드리아트란티에에 이르러서야 겨우 효과 파괴 내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링크 3 이하로 오래 버티기는 포기하고 가능한 한 빨리 링크 수를 높이면서 생바인 스래셔 및 생아발론 블루밍으로 공격적인 플레이를 추구하는 것이 좋다. 애니메이션과 OCG의 플레이 방식이 크게 달라진 일례. 스펙터가 그랬듯이 이 덱은 [[엑스트라 링크]]가 쉽다. 그러나 모든 전개의 첫 도미노인 생시드 소우잉이 엑스트라 덱 특수소환에 식물족 제약을 걸어버리는데, 지금까지는 에이스로 내세울만큼 강력한 식물족 링크 몬스터가 '''단 한장도''' 없기 때문에 실전성은 높지 않다. 현재는 주로 [[아로마(유희왕)|아로마]]나 [[세리온즈#세리온즈 "릴리" 보레아|세리온즈]], 그리고 [[육화]] 등 다른 식물족 카드의 로망을 이뤄주는 데에 쓰인다. 땅바닥에 게니우스 로키를 심기만 하면 순식간에 [[아로마(유희왕)#아로마세라피-재스민|아로마세라피-재스민]]이 돋아나 '''모든 식물족 몬스터'''가 서치&덱특소 범위 안에 잡히기 때문에, 전개력과 초동이 매우 불안정했던 ~~미소녀 위주의~~기존 식물족 덱들의 전개를 도울 수 있다. 다만 우라라&증G&무한포영 중 어느 하나에라도 걸리면 전개가 멈춰버리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상술한 장점 덕분에, 이 테마에 육화나 세리온즈를 얹은 덱이 가끔 입상한다. 본격적인 티어싸움에 낄 정도는 아니고, 기존 1티어 테마가 몰락한 금제 직후~강력한 새 테마가 출시되기 직전 사이의 그 짦은 공백기에 한번씩 출몰하는 정도이다. 만약 제대로 된 에이스를 보유한 식물족 카드군이 출시된다면, 생아발론의 입지는 적어도 지금보다는 나아질 것이다. 한편 TCG권에서는 [[육화]]와 같이 투입한 것이 강력하다고 평가받는다. 실제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3]]에서는 8강 진출자 중 2명이 생아발론+육화의 식물GS 유저였다. == 생시드 == '''생시드 / [ruby(聖種, ruby=サンシード)] / Sunseed''' '성종'이라 쓰고, '생시드'라 읽는다. 주로 생아발론 및 생바인의 링크 소재가 되는 역할이다. 이에 따라 모티브도 [[씨앗]], [[새싹]]이다. [clearfix] === [[일반 몬스터]] === ==== 레벨 1 ==== ===== 생시드 게니우스 로키 ===== [[파일:聖種の地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생시드 게니우스 로키, 일어판명칭=聖種の地霊(サンシード・ゲニウス・ロキ), 영어판명칭=Sunseed Genius Loci, 속성=땅, 레벨=1, 공격력=0, 수비력=600, 종족=식물족, 효과외1=천 년에 1번\, 생아발론에서 얻어지는 씨앗은 천 년의 시간이 지나 그 땅의 수호정령이 된다고 전해지고 있다.)] 카드명의 루비는 '성종의 지령'이라 쓰고, '생시드 게니우스 로키'라 읽는 것이다. 레벨 1 / 식물족 / 땅 속성 중에는 이미 [[나츄르|나츄르 체리]] 등이 있으니, [[일반 몬스터]] 서포트를 따로 쓰지 않는 이상 채용의 여지는 별로 없다. 생아발론 주축의 덱이라면 생아발론 드리아스의 ①의 효과를 위해서라도 거의 필수적으로 채용하게 된다. [[원 포 원]], [[예상외]], [[론 파이어 블로섬]], [[드라코넷]], [[레스큐 래빗]] 등으로 덱에서 특수 소환하여 링크 소재로 사용한 후, 다른 생시드 몬스터나 생바인 슈라인 등으로 소생하며 추가 링크 소재로서 사용되는 것이 기본적인 역할. 서치 수단도 [[고통의 결단]], [[피리 레이스의 지도(유희왕)|피리 레이스의 지도]] 등 풍부하기 때문에 이를 적당히 넣는다면 매우 높은 확률로 선턴에 게니우스 로키를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VRAINS]]에서는 [[스펙터(유희왕 VRAINS)|스펙터]]가 사용. 덱의 주축이 되는 만큼 모든 듀얼에서 등장했으며, 이 카드를 소환하고 소생시키기를 반복해 링크 소재를 충당했다. 소환 시에는 아래쪽의 뾰족한 받침대를 바닥에 내리꽂으며 둔탁하게 떨어지는 연출이 있다. 20년만에 등장한 레벨 1 식물족 [[일반 몬스터]]로, 레벨 1의 식물족 일반 몬스터는 이 카드를 제외하면 어둠 속성의 [[플랜트(유희왕)|다크 플랜트]] 뿐이다. 카드명의 모티브는 [[지니어스 로사이|게니우스 로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생시드 섀도우 ===== [[파일:聖種の影芽.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생시드 섀도우, 일어판명칭=聖種の影芽(サンシード・シャドウ), 영어판명칭=Sunseed Shadow, 속성=땅, 레벨=1, 공격력=0, 수비력=400, 종족=식물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식물족 일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링크 상태에 링크 2 이하인 자신의\, "생아발론" 몬스터 또는 "생바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같은 이름의 몬스터 1장을 효과를 무효로 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식물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카드명의 루비는 '성종의 영아'라 쓰고 '생시드 섀도우'라 읽는다. 패에서 특수 소환 가능한 ①의 효과와 같은 이름의 링크 몬스터를 소환하는 ②의 효과를 지닌 몬스터. 두 효과 모두 링크 소재를 충당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다.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면 링크 2인 드리아데스를 링크 소환할 수 있고, ②의 효과로 드리아데스를 복제하면 바로 드리아트란티에의 링크 소환이 가능해진다. 다만 상대가 식물족 덱이 아니라면 ②의 효과를 사용한 후 생바인 스래셔의 전투로 파괴한 상대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는 그 턴에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은 주의하자. [[파일:SunseedShadow-JP-Anime-VR.png|width=300]] ||원작 효과|| ||<-5>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br]①: 자신 필드에 식물족 일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br]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엑스트라 링크 상태의 링크 2 이하의 식물족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 같은 이름의 링크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상호 링크 상태가 되도록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스펙터(유희왕 VRAINS)|스펙터]]가 [[라이트닝(유희왕)|라이트닝]]과의 마스터 듀얼에서 사용. 엑스트라 링크 상태에서만 발동 가능하다는 ②의 효과의 난감한 제약이 크게 완화된 대신, 소환 가능한 몬스터가 한정되고 몇 가지 디메리트가 붙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레벨 2 ==== ===== 생시드 트윈 ===== [[파일:聖種の天双芽.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생시드 트윈, 일어판명칭=聖種の天双芽(サンシード・ツイン), 영어판명칭=Sunseed Twin, 속성=땅, 레벨=2, 공격력=0, 수비력=800, 종족=식물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가 존재하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식물족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와 자신 필드의 링크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에 같은 이름의 식물족 링크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할 경우\, 그 중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카드명의 루비는 '성종의 천쌍아'라 쓰고 '생시드 트윈'으로 읽는 것이다. 생시드 섀도우와 마찬가지로 링크 소재를 충당하는 효과를 지닌 생시드 몬스터. 원래 생아발론은 게니우스 로키와 섀도우를 확보하는데 주력해서 [[초영양태양]]같은 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 선턴 전개에 활용하기 힘들었으나, 드리아스로 생바인 소우잉을 서치한 후 그것을 발동해 덱의 트윈을 특수소환하여 간단히 효과를 발동할 수 있게 되어서 1~2장은 투입된다. 단 소우잉이 덱에서의 특수소환에만 대응되기 때문에 생시드 트윈을 전부 패에 잡으면 전개하기가 곤란해진다. ②의 효과는 필드의 링크 몬스터를 제외해야 하며 묘지에 같은 이름의 링크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해야 한다는 복잡한 조건을 요구한다. 다만 생아발론 덱은 소환이 쉬운 링크 1 몬스터인 [[생바인]]의 존재 덕분에 링크 몬스터의 소환이 어렵지 않아 양쪽 조건을 만족하는 것도 쉬운 편이다. [[파일:SunseedTwin-JP-Anime-VR.png|width=300]] ||원작 효과|| ||<-5>①: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몬스터가 존재하고, 이 카드가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식물족의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br]②: 묘지의 이 카드와 자신 필드의 링크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자신 묘지에 2장 이상으로 존재하는 같은 이름의 링크 몬스터 중에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역시 [[라이트닝(유희왕)|라이트닝]]과의 마스터 듀얼에서 사용. 몇 군데 조정이 가해져 있으나 기본적인 효과는 같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생바인 == '''생바인 / [ruby(聖蔓, ruby=サンヴァイン)] / Sunvine''' '성만'이라 쓰고, '생바인'이라 읽는다. 주로 링크 몬스터로 구성된다. 가벼운 링크 소재로 링크 소환되거나 생아발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전투 능력이 거의 없는 생아발론을 대신해 전투를 담당한다. 모티브는 덩굴, 그리고 가지.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생바인 메이든 ===== [[파일:聖蔓の乙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생바인 메이든, 일어판명칭=聖蔓の乙女(サンヴァイン・メイデン), 영어판명칭=Sunvine Maiden, 속성=땅,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식물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필드의 식물족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상대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생아발론" 마법 / 함정 카드 및 "생바인" 마법 / 함정 카드는 상대의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성만의 소녀'라 쓰고, '생바인 메이든'이라 읽는다. 전체적으로 효과가 크게 상향되었다. 원작의 특수 소환 + 무효화 유발 즉시 효과인 ①의 효과는 카드 명칭 제한이 생긴 대신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된 식물족 몬스터'로 범위가 크게 넓어졌다.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하기만 하면 되기에 [[펜듈럼 소환]]으로 소환한 식물족 몬스터도 이 카드의 효과로 보호받을 수 있다. 발동 조건이 '때'이기 때문에 체인 순서로 인해 타이밍을 놓칠 수 있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또한 OCG화되면서 필드의 생아발론 / 생바인 마법 / 함정 카드에 대상 지정 내성을 부여하는 ②의 지속 효과가 추가되었다. 현 시점에서 유일한 메인 덱 생바인 몬스터이기도 하다. [[파일:SunvineMaiden-JP-Anime-VR-NC.png|width=300]] ||원작 효과|| ||<-5>①: 상대가 자신 필드의 "생아발론" 몬스터를 대상으로 효과를 발동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링크 몬스터 === 현재 존재하는 생바인 링크 몬스터들은 전부 링크 1이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공유한다. ||①: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가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파괴한다.|| 원작에서는 생아발론의 링크 앞에 존재하지 않으면 파괴되는 지속 효과였기에 필드에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으나, OCG화되면서 효과가 조정되어 단독으로도 필드에 소환이 가능해졌다. 또한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발동하는 효과이기 때문에 생아발론이 효과로 필드를 벗어나는 순간에 어떤 이유로든 생바인의 효과가 무효화되어 있었다면 효과가 돌아와도 생바인은 파괴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상향이지만, 생바인과 링크 상태가 아닌 생아발론이 필드를 벗어나도 파괴되므로 생아발론이 2장 이상 소환된 상태라면 내성이 없는 생아발론 하나가 제거당했을 때 얼떨결에 생바인이 휘말려 파괴될 수도 있다. ==== 링크 1 ==== ===== 생바인 가드너 ===== [[파일:聖蔓の守護者.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생바인 가드너, 일어판명칭=聖蔓の守護者(サンヴァイン・ガードナー), 영어판명칭=Sunvine Gardna, 속성=땅, 레벨=1, 공격력=600, link8=, 종족=식물족, 소재=식물족 일반 몬스터 1장,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가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와 링크 상태가 되어있는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데미지 스텝 종료 후에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다.)] '성만의 수호자'라 쓰고, '생바인 가드너'라 읽는다. 고유의 효과는 전투 데미지 반감 및 배틀 페이즈 종료 효과. 데미지 스텝 종료 후에 배틀 페이즈를 종료하는 특성상 전투 데미지를 한 번은 받아야만 한다. 다만 데미지가 절반이 되므로 타격은 크지 않고, 데미지를 받기는 한다는 점 덕분에 생아발론의 LP 회복 및 특수 소환 효과를 발동하고서 배틀 페이즈를 종료할 수도 있다. [[파일:SunvineGardna-JP-Anime-VR.png|width=300]] ||원작 효과|| ||<-5>식물족 몬스터 1장[br]①: 이 카드가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파괴된다.[br]②: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한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링크 앞에 이 카드가 존재하는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대상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수 × 800만큼 감소한다.[br]③: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다.|| 원작에서는 데미지 감소 효과가 생아발론의 링크 마커 수를 따지는 효과라서 아예 전투 데미지를 안 받을 수도 있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생바인 힐러 ===== [[파일:聖蔓の癒し手.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생바인 힐러, 일어판명칭=聖蔓の癒し手(サンヴァイン・ヒーラー), 영어판명칭=Sunvine Healer, 속성=땅, 레벨=1, 공격력=600, link8=, 종족=식물족, 소재=식물족 일반 몬스터 1장,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가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필드의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그 링크 마커의 수 × 300 LP를 회복한다., 효과3=③: 자신의 식물족 링크 몬스터가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600 LP 회복한다.)] '성만의 치유사'라 쓰고, '생바인 힐러'라 읽는, LP 회복 효과로 무장한 생바인 몬스터. 소환시의 회복은 링크 마커 하나당 300으로, 링크 4 기준으로 1200 밖에 되지 않아 높다고 하기는 어려운 수치이다. 전투 데미지를 줄 때마다 LP를 회복하는 효과도 있지만 역시 회복 수치가 심하게 낮다. LP 회복은 어드밴티지로 즉시 환원되지도 않으므로 쉽게 손이 가는 몬스터는 아니다. 생바인 가드너가 공세에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효과이므로, 생바인을 소환 가능한 상황인데 스래셔를 소비하기 곤란할 때에 소환해서 소소한 LP 회복이라도 챙기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가장 큰 의의는 회복을 한다는 행위 자체에 있는데, [[아로마(유희왕)|아로마세라피-재스민]]과 생아발론이 필드에 있을 때 소환하면 회복을 트리거로 재스민의 식물족 서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사용하고 남은 힐러는 재스민의 효과로 필요한 식물족 몬스터로 교체할 수도 있다. [[파일:SunvineHealer-JP-Anime-VR.png|width=300]] ||원작 효과|| ||<-5>식물족 일반 몬스터 1장[br]①: 이 카드가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파괴된다.[br]②: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가 링크하고 있는 "생아발론"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수 × 300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원작에서는 ③의 효과의 존재가 밝혀지지 않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생바인 스래셔 ===== [[파일:聖蔓の剣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생바인 스래셔, 일어판명칭=聖蔓の剣士(サンヴァイン・スラッシャー), 영어판명칭=Sunvine Thrasher, 속성=땅, 레벨=1, 공격력=800, link2=, 종족=식물족, 소재=식물족 일반 몬스터 1장,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가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필드의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그 링크 마커의 수 × 800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해 묘지로 보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효과를 무효로 하고 특수 소환한다.)] '성만의 검사'라 쓰고, '생바인 스래셔'라 읽는 생아발론 덱의 전투를 전담하는 몬스터. ②의 효과에 의해 특수 소환시 최소 800, 최대 3200까지 공격력을 올릴 수 있다. 생아발론 드리아스만 있어도 공격력 1600으로 링크 1 몬스터로서는 파격적인 수치인데, 링크 3~4의 생아발론이 있으면 공격력이 3200~4000으로 웬만한 최상급 몬스터를 뛰어넘는다. 소환 조건도 식물족 일반 몬스터 1장으로 굉장히 느슨하고, 모든 효과에 같은 이름의 카드 턴 제약이 없어서 한 턴에 여러 장 소환해도 전부 공격력을 올릴 수 있다. 생아발론 블루밍이 있다면 공격력을 생아발론에 몰아주는 것도 가능하고, 자기 자신도 아래로 향하는 링크 마커를 가지고 있으므로 생아발론 블루밍이 발동되어 있다면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링크 소환하여 공격력 상승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가 아니라 특수 소환 전반에 대응한다는 점도 강력한 점. 더하여 ③의 효과로 전투로 파괴한 상대 몬스터를 빼앗을 수도 있다. 효과가 무효가 되기는 하지만 공격에는 전혀 제한이 없으므로 추가로 전투를 이어갈 수 있으며, 메인 페이즈 2에 각종 소재로 삼을 수도 있다. 이 효과 역시 생아발론의 존재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이 카드 1장만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소환하여 상대 몬스터를 자신 링크 앞에 탈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SunvineThrasher-JP-Anime-VR.png|width=300]] ||원작 효과|| ||<-5>식물족 일반 몬스터 1장[br]①: 이 카드가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파괴된다.[br]②: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링크 앞에 이 카드가 존재하는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공격력은, 대상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수 × 800 올린다.[br]③: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로 상대 몬스터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그 상대 몬스터를 자신 필드의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원작에서도 높은 공격 능력을 살려 사실상 스펙터 덱의 에이스로 활약했다. 스펙터는 이 카드로 SOL 테크놀로지 부장 키타무라를 쓰러뜨렸고 블루 엔젤과의 마스터 듀얼에서 [[트릭스터 홀리엔젤]]과 트릭스터 블러디마리를 쓰러트리고 컨트롤을 얻었다. 라이트닝과의 마스터 듀얼에서는 자체 효과 + 생아발론의 효과 + [[저지먼트 애로우즈]]의 효과를 병행해 링크 1 몬스터라고는 상상하기 어려운 활약을 보였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마법 카드 === ==== 일반 마법 ==== ===== 생바인 소잉 ===== [[파일:聖蔓の播種.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생바인 소잉, 일어판명칭=聖蔓の播種(サンヴァイン・ソウイング), 영어판명칭=Sunvine Sowing,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생시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고\,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 효과로 "생시드 게니우스 로키"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식물족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식물족 링크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에서 나온 OCG 오리지널 지원 카드. '성만의 파종'이라 쓰고, '생바인 소잉'이라 읽는다. 덱에서 생시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데미지를 받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데미지는 일반적으로는 디메리트지만 이 카드를 사용하는 상황은 드리아스로 서치한 직후가 될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드리아스의 효과로 라이프를 회복하며 생바인 몬스터 한 장을 특수소환해 소재를 한 장 늘릴 수 있다. 이때 효과로 생시드 트윈을 소환해서 묘지의 게니우스 로키를 살리면 필드에 몬스터 4장을 늘어놓을 수 있어 이후 아로마세라피 재스민과 드리아스, 생바인 힐러를 소환해 식물족을 서치하면서 전개를 이어갈 수 있다. 식물족 몬스터만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지만 생아발론 덱에서는 없는 것이나 다름없는 제약이고 2번 효과로 이 카드를 제외하면 드리아드란티에를 빼고는 내성이 전무한 생아발론, 생바인들의 안정성을 늘릴 수 있다. 지금까지 생아발론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들을 단번에 극복할 수 있는, 굉장히 좋은 지원 카드라고 볼 수 있으며 이 카드의 등장으로 인해 생아발론은 게니우스 로키 1장만 소환할 수 있다면 엑스트라 링크를 완성할 수 있게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BURST OF DESTINY]] || BODE-JP065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지속 마법 ==== ===== 생바인 슈라인 ===== [[파일:聖蔓の社.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생바인 슈라인, 일어판명칭=聖蔓の社(サンヴァイン・シュライン), 영어판명칭=Sunvine Shrine, 효과외1=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패를 1장 묘지로 보내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식물족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1턴에 1번\,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식물족 일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상대 엔드 페이즈에\,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자신의 묘지의 지속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한다.)] '성만의 사'라 쓰고, '생바인 슈라인'으로 읽는다. 생아발론이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 가능한 지속 마법 카드. [[생시드]] 게니우스 로키를 링크 소재로 생아발론 드리아스를 링크 소환하면 덱에서 서치가 가능하다. ②의 효과에 의해 매턴 묘지의 일반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카드의 발동에는 패 코스트가 들지만 소생 효과에는 따로 코스트가 없어서 손해 없이 일반 몬스터를 계속 소환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묘지의 지속 함정 카드를 재활용하는 효과. 발동 타이밍이 상대 엔드 페이즈로 굉장히 늦지만, 일단 성공만 하면 재활용이 어려운 함정 카드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생아발론 덱에서는 광역 무효 효과 및 타점 강화를 지닌 생아발론 블루밍이 효과 대상에 들어간다. [[파일:SunvineShrine-JP-Anime-VR.png|width=300]] ||원작 효과|| ||<-2>①: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패를 1장 묘지로 보내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생바인 슈라인"은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br]②: 1턴에 1번,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식물족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br]③: 자신 / 상대 엔드 페이즈에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자신 묘지의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한다.|| 원작에서는 엑스트라 덱에서 식물족 몬스터만 소환 가능한 제약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세트하는 함정도 지속 함정일 필요가 없었다. OCG화될 때 대부분 크게 강화된 생아발론 관련 카드 중에서 유일하게 하향된 경우. 대신 생바인 슈라인의 장수 제약이 없어졌으며, 생아발론 몬스터가 사라져도 자괴하지 않게 상향받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생바인 크로스브리드 ===== [[파일:聖蔓の交配.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생바인 크로스브리드, 일어판명칭=聖蔓の交配(サンヴァイン・クロスブリード), 영어판명칭=Sunvine Cross Breed,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링크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그 몬스터 이외의 자신 묘지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성만의 교배'라 쓰고, '생바인 크로스브리드'라 읽는다. 1링크의 생바인이나 생아발론 드리아스를 릴리스하고 묘지의 고링크의 식물족을 꺼내서 링크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카드가 효율을 보려면 묘지에 2링크 이상 식물족 링크 몬스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채용률이 낮고, 넣더라도 우선적으로 서치되지는 않는다. [[파일:SunvineCrossBreed-JP-Anime-VR.png|width=400]] ||원작 효과||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사용할 수 없다.[br]①: 자신 필드의 링크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자신 묘지의 그 몬스터 이외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6]] ||PP16-KR020|| [[노멀]][br][[패러렐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2021]] || 21PP-JP020 || [[노멀]][br][[패러렐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생아발론 == === 링크 몬스터 === ==== 링크 1 ==== ===== 생아발론 드리아스 ===== [[파일:聖天樹の幼精.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생아발론 드리아스, 일어판명칭=聖天樹の幼精(サンアバロン・ドリュアス), 영어판명칭=Sunavalon Dryas, 속성=땅, 레벨=1, 공격력=0, link2=, 종족=식물족, 소재=레벨 4 이하의 식물족 몬스터 1장, 효과1=①: 이 카드가 "생시드 게니우스 로키"를 소재로 해서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링크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생바인"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는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이 효과가 적용된 몬스터밖에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대의 공격은 자신에게로의 직접 공격이 된다)., 효과3=③: 1턴에 1번\, 자신이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입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수치만큼의 자신의 LP를 회복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생바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카드명의 루비는 '성천수의 유정'이라 쓰고, '생아발론 드리아스'라고 읽는다. 링크 소재는 레벨 4 이하 식물족 몬스터 1장으로 널널한 편. 굳이 효과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트라이커 드래곤]]처럼 식물족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주는 역할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생아발론 고유의 특수 소환 효과에 더하여, 게니우스 로키를 링크 소재로 링크 소환하면 생바인 마법 / 함정 카드를 서치하는 효과가 있다. 게니우스 로키는 [[원 포 원]], [[예상외]] 등으로 쉽게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어 효과 발동 기회는 많다. 소우잉으로 2번 효과와 연계하며 생시드 트윈을 소환하여 대량전개를 할 수 있다. 서치에 명칭 제약이 없기 때문에 엑몬존에 게니우스 로키를 소재로 소환한다면 몇번이고 서치할 수 있다. 참고로 현존하는 생바인 함정 카드는 미 OCG화 분량을 제외하면 아직까지 없다. [[파일:SunavalonDryas-JP-Anime-VR.png|width=400]] ||원작 효과|| ||식물족 일반 몬스터 1장[br]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한 턴, 이 카드는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다.[br]①: 이 카드는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이 효과가 적용된 몬스터밖에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을 상태로의 상대의 공격은 자신에게의 직접 공격이 된다.)[br]②: 1턴에 1번, 자신이 전투 / 효과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생바인" 링크 몬스터 1장을 자신 필드의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하고, 받은 데미지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원작에서도 기본적인 역할은 OCG와 같지만, 링크 소재 제약이 더 엄격하고 서치 효과가 없어 OCG화 시에 크게 상향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링크 2 ==== ===== 생아발론 드리아데스 ===== [[파일:聖天樹の精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생아발론 드리아데스, 일어판명칭=聖天樹の精霊(サンアバロン・ドリュアデス), 영어판명칭=Sunavalon Dryades, 속성=땅, 레벨=2, 공격력=0, link1=, link3=, 종족=식물족, 소재="생아발론" 링크 몬스터를 포함하는 식물족 몬스터 2장, 효과1=①: 이 카드는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이 효과가 적용된 몬스터밖에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대의 공격은 자신에게로의 직접 공격이 된다)., 효과2=②: 자신이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입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수치만큼의 자신의 LP를 회복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생바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1턴에 2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카드명의 루비는 '성천수의 정령'이라 쓰고, '생아발론 드리아데스'라고 읽는다. 효과의 횟수가 1회 더 늘어난 점을 제외하면 드리아스와 차이가 없다. 보통은 드리아노움을 소환하기 어려울 때 거쳐가는 정도지만, 생시드 섀도우로 복제 가능한 링크 2 몬스터이므로 드리아트란티에 소환 및 보조에 사용할 수도 있다. [[파일:SunavalonDryades-JP-Anime-VR.png|width=400]] ||원작 효과|| ||식물족 몬스터 2장[br]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한 턴, 이 카드는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다.[br]①: 이 카드는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이 효과가 적용된 몬스터밖에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의 상대의 공격은 자신에게의 직접 공격이 된다.)[br]②: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를 소재로서 링크 소환한 이 카드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br]●1턴에 2번까지, 자신이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생바인" 링크 몬스터 1장을 자신 필드의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하고, 받은 데미지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원작에서는 링크 소재 제약이 더 느슨했지만, 특수 소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서는 생아발론을 소재로 해야 했으므로 결과적으로 큰 차이는 없다. 일러스트로는 알기 힘들지만 나무에 있는 여성은 눈을 감고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생아발론 다프네 ===== [[파일:聖天樹の月桂精.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생아발론 다프네, 일어판명칭=聖天樹の月桂精(サンアバロン・ダフネ), 영어판명칭=Sunavalon Daphne, 속성=땅, 레벨=2, 공격력=0, link4=, link6=, 종족=식물족, 소재=식물족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이 효과가 적용된 몬스터밖에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대의 공격은 자신에게로의 직접 공격이 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생아발론 다프네" 이외의 자신 묘지의 식물족 링크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다.)] 카드명의 루비는 '성천수의 월계정'이라 쓰고, '생아발론 다프네'라고 읽는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묘지의 식물족 링크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를 지녔다. 링크 몬스터를 다수 소비하는 덱 특성상 도움이 되는 효과긴 한데, 링크 2 몬스터를 소환하고 추가로 코스트 1장이 필요해서 소모가 크므로 이 효과만 보고 채용하기는 아쉬움이 많다. 보통은 효과에 주안점을 두기 보다는 생시드 섀도우로 복제가 가능한 링크 2 몬스터라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수동적인 효과 뿐인 드리아데스에 비하면 비교적 효과를 발동할 기회도 있고, 마커 방향도 추가 전개나 엑스트라 링크 구축에 굉장히 유리한 좌우 방향이다. 이름의 유래는 그리스 신화의 [[월계수]]가 된 님프 [[다프네]]. 거목의 형태를 한 드리아 계열 생아발론과는 달리 덩굴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스펙터의 언급에 따르면 생아발론이 뻗는 가지를 모티브로 한 것이다. ==== 링크 3 ==== ===== 생아발론 드리아노움 ===== [[파일:聖天樹の大精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생아발론 드리아노움, 일어판명칭=聖天樹の大精霊(サンアバロン・ドリュアノーム), 영어판명칭=Sunvine Dryanome, 속성=땅, 레벨=3, 공격력=0, link1=, link2=, link3=, 종족=식물족, 소재=식물족 몬스터 2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는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이 효과가 적용된 몬스터밖에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대의 공격은 자신에게로의 직접 공격이 된다)., 효과2=②: 1턴에 3번까지\, 자신이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입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수치만큼의 자신의 LP를 회복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생바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1턴에 1번\, 이 링크 앞의 몬스터가 공격 대상이 되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공격을 무효로 하고\, 그 자신 몬스터의 위치를 다른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으로 이동한다.)] 카드명의 루비는 '성천수의 대정령'이라 쓰고, '생아발론 드리아노움'이라 읽는다. 생아발론 공통의 효과에 더해서 링크 앞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을 무효로 하는 ③의 효과가 추가되었다. 링크 앞의 몬스터를 이동시킴으로서 링크 앞을 비워 [[생바인]] 특수 소환 효과 및 생바인 스래셔의 컨트롤 탈취 효과를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파일:SunavalonDryanome-JP-Anime-VR.png|width=400]] ||원작 효과|| ||식물족 몬스터 2장 이상[br]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한 턴, 이 카드는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다.[br]①: 이 카드는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이 효과가 적용된 몬스터밖에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을 상태로의 상대의 공격은 자신에게의 직접 공격이 된다.)[br]②: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를 소재로서 링크 소환한 이 카드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br]●1턴에 3번까지, 자신이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생바인" 링크 몬스터 1장을 자신 필드의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하고, 받은 데미지의 수치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한다.[br]③: 1턴에 1번, 이 카드의 링크 앞의 몬스터 1장이 공격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 그 대상 몬스터의 위치를 다른 메인 몬스터 존으로 이동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작중에선 3회까지 가능한 LP 회복, 별도의 공격 무효까지 달린 높은 방어 능력으로 스펙터가 가장 많이 사용한 형태. 그 때문인지 링크 앞을 못 쓰게 만들거나 효과로 치워버리는 등 파훼법도 많이 나왔다. 마찬가지로 일러스트로는 알기 힘들지만 이 몬스터부터 나무에 있는 여성이 눈을 뜨기 시작한다. 유희왕 VRAINS 더빙판에서의 이름은 생아발론 드리아놈이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생아발론 멜리아스 ===== [[파일:聖天樹の灰樹精.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생아발론 멜리아스, 일어판명칭=聖天樹の灰樹精(サンアバロン・メリアス), 영어판명칭=Sunvine Melias, 속성=땅, 레벨=3, 공격력=0, link4=, link6=, link8=, 종족=식물족, 소재=링크 몬스터를 포함한 식물족 몬스터 2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생시드 게니우스 로키"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는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이 효과가 적용된 몬스터밖에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대의 공격은 자신에게로의 직접 공격이 된다)., 효과3=③: 1턴에 1번\, 이 카드의 링크 앞의 자신의 "생바인"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몬스터는 자신 필드의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의 수까지 공격할 수 있다.)] 프리미어팩 vol.16에서 등장한 신규지원. '성천수의 회수정'이라 쓰고, '생아발론 멜리아스'라 읽는다. 링크 3이라 소환에 드는 몬스터는 많은 편이지만, 링크 소환시 ①의 효과로 게니우스 로키를 소생 가능하므로 잃은 어드밴티지를 어느 정도 복구할 수 있다. 소생한 게니우스 로키로 생아발론이나 생바인을 링크 소환하면 ③의 효과와의 연계도 가능하다. 효과 발동에 같은 이름의 턴 제한이 없어서 여러 번 링크 소환해도 계속 소생이 가능하다. 링크 마커 또한 메인 몬스터존과 엑스트라 몬스터 존을 잇는데 특화되어있어 원작처럼 엑스트라 링크로 연계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생바인의 공격 횟수를 늘리는 효과. 주된 대상은 높은 공격력을 가지기 쉬운 생바인 스래셔일 것이다. 이 카드가 링크 3이라 스래셔의 공격력을 3200까지 끌어올릴 수 있고, 소환이 쉬운 드리아스만 소환해둬도 3200으로 2회 공격이 가능하다. 링크 소환시에 몬스터 전개도 해주며, 높은 링크 마커와 연속공격 효과까지 알뜰한 효과가 많아 생아발론 관련 카드군에서 상당히 비싼 가격을 자랑한다. 이름의 유래는 [[멜리아스의 목령]]과 같은 그리스 신화의 물푸레나무의 요정 '멜리아스'. 원작에서는 라이트닝과의 듀얼에서 2장 사용. 전개 효과와 연속 공격 부여로 라이트닝의 포진을 무너뜨리고 엑스트라 링크 받아치기->엑스트라 링크 풀 모드로 연결한다. 황홀해하는 스펙터와 썩은 표정의 라이트닝이 압권. ==== 링크 4 ==== ===== 생아발론 드리아트란티에 ===== [include(틀:유희왕/OCG/SELECTION 팩 커버 카드)] [[파일:聖天樹の大母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생아발론 드리아트란티에, 일어판명칭=聖天樹の大母神(サンアバロン・ドリュアトランティエ), 영어판명칭=Sunavalon Dryatrentiay, 속성=땅, 레벨=4, 공격력=0, link1=, link2=, link3=, link8=, 종족=식물족, 소재=링크 몬스터 2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생아발론"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이 효과가 적용된 몬스터밖에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대의 공격은 자신에게로의 직접 공격이 된다)., 효과3=③: 1턴에 1번\, 이 카드의 링크 앞의 자신 링크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링크 마커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카드를 고르고 파괴한다.)] 카드명의 루비는 '성천수의 대모신'이라 쓰고, '생아발론 드리아트란티에'라고 읽는다. 마지막 단계의 생아발론 몬스터. 생아발론 특유의 회복+특수 소환 효과는 사라졌지만, 대신 효과 파괴 내성을 얻어 필드 유지력이 향상되었다. ①의 효과는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때 발동 가능한 생아발론 마법/함정 서치 효과. 현존하는 서치 대상은 생아발론 블루밍 1장 뿐이다. 블루밍은 강력한 광역 효과 무효, 타점 상승 효과를 지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링크 앞 링크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발동하는 비대상 파괴 효과. 쉽게 소환 가능한 [[생바인]] 몬스터 덕분에 발동은 쉬운 편이며, [[생시드]] 효과 몬스터를 통해 링크 마커가 높은 링크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면 더 많은 제거를 노릴 수도 있다. 릴리스하는 몬스터 자체는 딱히 식물족이 아니라도 되는 점도 우수한 점. [[파일:SunavalonDryatrentiay-JP-Anime-VR.png|width=400]] ||원작 효과|| ||식물족 링크 몬스터 2장 이상[br]①: 이 카드는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고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이 효과가 적용된 몬스터밖에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을 상태로의 상대의 공격은 자신에게의 직접 공격이 된다.)[br]②: 1턴에 1번, 이 카드의 링크 앞의 자신의 식물족 링크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그 릴리스한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효과를 발동한 턴, 자신 메인 몬스터 존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원작에서는 링크 소재가 식물족이어야 했고 서치 효과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파괴 효과는 식물족 몬스터를 릴리스해서 앞면 표시 마법 / 함정 카드만 파괴할 수 있는 데다가 추가적인 디메리트도 존재했다. 범용성이 지극히 낮은 효과라 OCG에서 크게 상향되었다. 최종 진화인 만큼 벚꽃을 피우는데 커스트 리본을 보면 주위의 지력을 모두 흡수하며 파멸로 이끄는 듯. 작중에서 듀얼 내내 벚꽃을 흩날리는 모습이 상당히 우아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함정 카드 === ==== 지속 함정 ==== ===== 생아발론 블루밍 ===== [[파일:聖天樹の開花.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생아발론 블루밍, 일어판명칭=聖天樹の開花(サンアバロン・ブルーミング), 영어판명칭=Sunavalon Bloom,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 시의 효과 처리로서\, 자신 필드에 링크 4 이상의 식물족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자신의 식물족 링크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그 링크 앞의 몬스터의 공격력의 합계만큼 올린다.)] 카드명의 루비는 '성천수의 개화'라고 쓰고, '생아발론 블루밍'이라 읽는 것이다. 두 가지 효과를 지닌 지속 함정 카드. 드리아트란티에를 링크 소환하면 덱에서 패에 넣을 수 있어 발동 자체는 어렵지 않다. ①의 효과는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하는 효과. 링크 4 이상의 식물족 링크 몬스터는 현재 생아발론 드리아트란티에랑 [[회생의 벵갈란제스]]가 존재한다. [[스킬 드레인]]처럼 계속 효과를 무효화하는 것은 아니고 발동 시에만 한 번 적용되는 효과. ②의 효과는 식물족 링크 몬스터의 공격력 상승 효과. 공격력 상승치가 높은 생바인 스래셔의 존재 덕분에 생아발론의 공격력을 크게 끌어올릴 수 있다. 드리아트란티에가 필드에 있을 때에 스래셔를 1장만 소환해도 공격력 4000의 몬스터가 2장이 되는 셈이며, 링크 앞의 몬스터의 종족을 따지지 않으므로 스래셔로 몬스터의 컨트롤 탈취에 성공하면 타점이 더욱 높아진다. 공격력 상승 혜택은 식물족 링크 몬스터라면 누구든 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생아발론이 아니더라도 타점 상승이 가능하다. [[파일:SunavalonBloom-JP-Anime-VR.png|width=400]] ||원작 효과|| ||①: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고, 자신의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링크 마커의 수가 4개 이상인 식물족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데미지 계산시에만, 그 링크 앞의 몬스터의 공격력의 합계만큼이 된다. 대상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날 때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발동 조건으로서 상대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하는 이상한 처리를 재현하기 곤란했는지 효과가 2개로 나뉘었다. 원작에서는 발동에 링크 4 이상 식물족 링크 몬스터가 반드시 필요했으며 조건부로 파괴되는 디메리트까지 존재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ELECTION 10]]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 생바인 플런더 === || 한글판 명칭 ||'''생바인 플런더'''|| || 일어판 명칭 ||'''[ruby(聖蔓の略奪, ruby=サンヴァイン・プランダー)]'''|| || 영어판 명칭 ||'''Sunvine Plunder'''|| ||<-2> 지속 마법 || ||<-2>①: 800 LP를 지불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마법 카드의 컨트롤을 얻는다.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에 대상의 카드의 컨트롤은 원래 주인에게 되돌린다. 대상의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br]②: 이 카드와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컨트롤을 얻은 카드는,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상대의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 '성만의 약탈'이라 쓰고, '생바인 플런더'라 읽는다. 라이트닝과의 마스터 듀얼에서 등장. 이 카드로 저지먼트 애로우즈의 컨트롤을 얻어 라이트닝의 엑스트라 링크를 깨버리고, 저지먼트 애로우즈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반대로 자신이 엑스트라 링크를 성립시켰다. 그러나 다음 턴에 라이트닝에 의해 파괴되어 저지먼트 애로우즈를 잃고 자신의 진영이 무너진다. 스펙터의 말에 의하면 애초에 저지먼트 애로우즈를 빼앗기 위해 사용한 카드. 자신의 덱과 상성이 좋다는 이유로 저지먼트 애로우즈를 호시탐탐 노렸다고 한다. === 생바인 베리얼 === [[파일:SunvineBurial-JP-Anime-VR.png]] || 한글판 명칭 ||'''생바인 베리얼''' || || 일어판 명칭 ||'''[ruby(聖蔓の埋葬, ruby=サンヴァイン・ベリアル)]''' || || 영어판 명칭 ||'''Sunvine Burial''' (비공식 번역명) || ||<-2> 일반 함정 || ||<-2>①: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상대 마법 & 함정 존에 세트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확인하고, 함정 카드였을 경우, 그 카드를 제외한다. 그 후, 제외한 카드의 같은 이름의 카드를 상대의 패 / 덱에서 전부 제외한다. || '성만의 매장'이라 쓰고, '생바인 베리얼'이라 읽는다. === 생아발론 커스드 리본 === [[파일:SunavalonCursedReborn-JP-Anime-VR.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생아발론 커스드 리본''' || || 일어판 명칭 ||'''[ruby(聖天樹の呪精, ruby=サンアバロン・カースド・リボーン)]''' || || 영어판 명칭 ||'''Sunavalon Cursed Reborn''' (비공식 번역명) || ||<-2> 지속 마법 || ||<-2>①: 자신 묘지의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링크 마커의 수 × 1000이 되고, 효과는 무효화되고, 이 턴, 대상 몬스터는 링크 소재로 할 수 없으며, 공격도 할 수 없다.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날 때에 대상 몬스터는 파괴된다. 대상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날 때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br]②: 자신이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수치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 카드명의 루비는 '성천수의 주정'이라 쓰고, '생아발론 커스드 리본'이라 읽는 형식이다. 자신의 어머니를 파괴한 것에 이성을 잃은 스펙터가 묘지의 드리아트란티에를 부활시키는 데 사용. 데미지 반사 효과와 전뇌 바이러스가 심긴 덩쿨에 갇힌 [[자이젠 아키라]]를 인질로 LP 50의 Playmaker를 몰아세웠지만 Playmaker가 발동한 마법 카드 '링크 어트로시티'에 의해 드리아트란티에의 공격력이 0이 되고, 공격력 4000의 [[엑스코드 토커]]의 공격으로 패배하고 만다. 이 때 [[아이(유희왕)|아이]]가 날린 '''니 엄마의 공격력은 0이야!'''라는 [[패드립]]이 아주 진국이다. 효과로 부활한 생아발론 몬스터는 혀가 길어지고 갈비뼈가 드러나는 끔찍한 모습으로 변하며 모습이 끔찍하게 변해도 사용자는 계속 생아발론을 어머니라고 부르는 괴이한 장면을 연출했다. === 생아발론 글로리어스 그로스 === [[파일:SunavalonGloriousGrowth-JP-Anime-VR.png]] || 한글판 명칭 ||'''생아발론 글로리어스 그로스''' || || 일어판 명칭 ||'''[ruby(聖天樹の輝常緑, ruby=サンアバロン・グローリアス・グロース)]''' || || 영어판 명칭 ||'''Sunavalon Glorious Growth''' (비공식 번역명) || ||<-2> 지속 함정 || ||<-2>①: 자신이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에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생바인 토큰"(식물족 / 땅 / 레벨 1 / 공 0 / 수 0) 1장을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하고,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 1장을 링크 소환한다. 그 후, 받은 데미지의 수치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br]②: 자신의 LP가 회복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그 수치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br]③: 1턴에 1번,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그 공격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그 후, 대상 몬스터는 1회 더 공격 가능하게 되고, 자신 필드의 "생바인" 몬스터에게 이어서 공격해야 한다.[br]④: 자신 필드의 "생아발론"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 카드명의 루비는 '성천수의 휘상록'이라 쓰고, '생아발론 글로리어스 그로스'라 읽는다. 단숨에 큰 데미지로 듀얼을 끝낼 심산이였던 Playmaker를 막아선 카드로 자신의 LP 회복을 그대로 효과 데미지로 돌릴 수 있어 방어를 더욱 굳혔다. 이후 드리아트란티에가 파괴되자 동시에 파괴된다. === 생블룸 퓨너럴 === [[파일:SunbloomDoom-JP-Anime-VR.png]] || 한글판 명칭 ||'''생블룸 퓨너럴''' || || 일어판 명칭 ||'''[ruby(聖花葬, ruby=サンブルーム・フューネラル)]''' || || 영어판 명칭 ||'''Sunbloom Doom''' (비공식 번역명) || ||<-2> 일반 함정 || ||<-2>①: 자신 필드에 "생아발론"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 같은 종족의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의 합계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한다.[br]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서로의 묘지의 이 턴에 발동한 마법 / 함정 카드의 합계 이하의 레벨을 가진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고, 그 파괴된 몬스터의 컨트롤러는, 각각 파괴된 자신의 몬스터의 수 × 300 데미지를 받는다. || 카드명의 루비는 '성화장'이라 쓰고, '생블룸 퓨너럴'이라 읽는다. 블루 엔젤과의 마스터 듀얼 후반부에, LP가 0이 되어 패배하는 듯하면서 뒤통수를 친 카드. 1턴에 두 효과를 전부 사용해 원턴킬을 피하고 블루 엔젤을 쓰러트렸다. 효과 데미지가 텍스트에는 300이라고 적혀있지만 실제로는 데미지가 × 500으로 적용되었다. 어차피 블루 엔젤은 턴 종료시에 자멸할 상황이었으므로 듀얼의 결과에는 영향이 없긴 하다. 효과로 회복하는 LP 수치가 매우 파격적이다. 실제로 스펙터는 이 카드로 단번에 '''7200 LP'''를 회복했다. 생아발론이 존재할 시 발동하는 효과지만, 카드명은 생아발론이 붙어있지 않다. 때문에 ocg화 되더라도 드리아트란티에의 효과로 서치할 수 없는 카드. === 생아발론 포스 === [[파일:SunavalonForce-JP-Anime-VR.png]] || 한글판 명칭 ||'''생아발론 포스''' || || 일어판 명칭 ||'''[ruby(聖天樹の威圧, ruby=サンアバロン・フォース)]''' || || 영어판 명칭 ||'''Sunavalon Force''' (비공식 번역명) || ||<-2> 지속 함정 || ||<-2>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는 상대의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br]②: 상대의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는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한다. 필드의 링크 마커의 수가 가장 많은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수 × 100 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br]③: 필드에 "생아발론"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 카드명의 루비는 '성천수의 위압'이라 쓰고, '생아발론 포스'라고 읽는다. 생아발론에 대상 내성을 부여하고 Playmaker의 LP를 50까지 몰아붙였지만 드리아트란티에가 엑스코드 토커에게 전투로 파괴되어 동시에 파괴된다. ==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스포어(유희왕)|스포어]], [[론 파이어 블로섬]], [[장미걸]], [[제너레이드|빛의 제너레이드 마르델]] 식물족 범용 전개 카드. 아로마세라피 재스민의 효과로 서치와 특수소환 모두 용이하다. 특히 론 파이어 블로섬은 생시드 게니우스 로키를 불러오는 초동으로도 쓸 수 있다. *[[선인장 파이터#s-2|선인장 클로저]], [[나츄르#s-3.3.1|나츄르 로즈윕]] 강력한 식물족 락 카드. 생아발론은 아로마세라피 재스민을 통하여 식물족의 서치, 특수소환이 쉽기때문에 어렵지 않게 소환할수 있다. 선인장 클로저의 경우 특수소환이 불가능하지만 예상외 스타트로 일소권을 남긴후 재스민이나 육화현란으로 서치해온후 일반소환 하거나, 아로마지-재스민 또는 [[서클 오브 페어리]]의 효과로 추가된 일소권으로 소환할 수 있다. 하급인데 비하여 낮지않은 공격력을 가지고 있어 일반소환만으로는 뚫기 힘들고, 만약 타점을 넘는다하여도 세리온즈 링을 통하여 전투파괴를 막을수도 있다. *[[회생의 벵갈란제스]] 생아발론의 에이스 카드중 하나. 소환도 어렵지 않고 바운스효과의 디메리트 또한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와 연계하면 오히려 메리트로 바꿀 수 있으며, 대량전개를 하는 생아발론의 특성상 묘지에 링크 몬스터가 많이 쌓여 소생도 쉽다. 생아발론 블루밍에도 대응하는 건 덤. *[[아로마(유희왕)|아로마세라피-재스민]], [[아로마(유희왕)|아로마]] 식물족 전개의 중간다리를 하는 링크 몬스터. 생아발론에서는 이 카드를 소환한 후 드리아스와 생바인 힐러를 소환해 서치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다. 생아발론처럼 서치에 명칭 제약이 걸려있지 않아 재스민을 여러장 채용한 후, 첫번째 재스민의 효과로 로리에나 안젤리카를 불러온 후 두번째 재스민을 소환하면서 회복을 해 두번째 재스민의 효과로 서치를 하면서 링크마커를 불릴 수 있다. *[[육화]] 재스민의 효과로 육화정 보탄을 가져온 후 자체효과로 특수소환해 육화현란을 가져온 후 육화정 프리무,육화의 하얀공주를 가져오고 각각의 효과로 특수소환한 후 육화성 스트레나에를 통해 [[신수수 하이페리톤]]이나 [[육화성 티어드롭]]을 소환하여 퍼미션을 늘리거나, 현란대신 육화콩콩을 경유하여 현란을 가져오면 더욱 더 강력한 필드를 완성시킬수 있다.[* 육화콩콩을 통하여 현란을 가져오게되면 식물족 특수소환 제약이 걸려 세리온즈 킹을 소환하기가 힘들어짐으로 일장일단이 있다.] *[[세리온즈]] 세리온즈 릴리 보레아 1장으로 자체 특소로 링크소재를 보충해주고, 세리온즈 링으로 선인장 클로서나 나츄르 로즈윕 같은 하급 식물족 락 몬스터들을 전투파괴로부터 지킬수도 있고,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를 세움으로서 부족한 견제를 보충해줌으로 기존의 전 개용으로 사용되던 장미걸이나 스포어의 상위호환이다. 또한 식물족이기 때문에 아로마세라피 재스민을 통하여 쉽게 서치, 특소가 된다는것도 장점이다. *[[레스큐 래빗]], [[원 포 원]], [[예상외]], [[고통의 결단]], [[드라코넷]], [[피리 레이스의 지도(유희왕)|피리 레이스의 지도]] 초동인 게니우스 로키를 서치하거나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카드들. 드라코넷은 생아발론이 식물족 이외의 링크 몬스터를 쓰기 힘들어 링크 소재로 삼기 힘들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밀린다. 지도 또한 아로마와 섞은 레시피의 경우 아로마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시키기 힘들어 기피된다. * [[레스큐(유희왕)#레스큐 고슴도치|레스큐 고슴도치]] 위의 카드들과 마찬가지로 게니우스 로키를 특수 소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카드인데, 차별화되는 점은 게니우스 로키 외에 [[그로우업 벌브]]도 같이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전개에 사용할 소재가 한 번에 2장 모이는 것도 강력한데 같이 불러오는 게 묘지에서 덱 1장을 덤핑하고 부활하는 벌브이다 보니 초동 요원뿐만 아니라 전개 요원으로서도 매우 우수한 시너지를 보인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생시드, version=37)]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생바인, version=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