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PLC 제어 관련 자격증)] |||| {{{+2 {{{#FFFFFF '''생산자동화기능사'''}}}}}}[br]{{{+2 {{{#FFFFFF '''生産自動化技能士'''}}}}}}[br]{{{#FFFFFF '''Craftsman Production Automatic Operation'''}}} || || 중분류 || 162. 기계장비설비·설치 || ||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며 가장 기초적인 [[자동화]] 관련 국가기술[[자격증]]이다. 기존의 메카트로닉스기능사와 생산자동화기능사를 통합하여 2008년, 생산자동화기능사로 개정하였다. 컴퓨터나 전기장치, 로봇이나 자동화 라인 등을 이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이다. [[https://www.q-net.or.kr/crf005.do?id=crf00505&gSite=Q&gId=&jmCd=6415&examInstiCd=1|상세 정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자기계과(메카트로닉스과), 자동화설비과, 전기·전자과 학생들이 주로 취득하는 자격증이다. 전신이 메카트로닉스기능사인 만큼 자격증 중에서는 메카트로닉스 기술에 가장 부합하는 편이다. 현재 1, 2, 3, 4회차와 의무검정이 실시되고 있다. 상위 자격증으로 [[생산자동화산업기사]]가 있으며, 기사로는 메카트로닉스기사가 사실상 직속 상위 자격증이었으나 수요 저조로 폐지되었다. 2024년부터 자동화설비기능사로 이름이 바뀐다. == 필기 == 1.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2. 기계제도 3. 메카트로닉스 일반 총 3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60점 이상을 받으면 합격이다. 여타 기능사 필기와 마찬가지로 과락은 없다. 기계분야 기능사 필기 시험 중에서 난이도는 전반적으로 평이한 수준이다. 1과목과 2과목의 경우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와 과목이 중복되기 때문에 위 기능사 중 하나를 취득했거나 동시에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부담이 적은 편이다. 3과목이 복병이 될 수 있는데 순수 기계 전공자이거나 그외 전공자가 아니면 초반에는 이해하기 힘들 수 있다. 그러나 이론 자체의 독학은 어렵지 않은 편이며, 개념만 알고 가면 기계과목과 마찬가지로 과년도 기출로 커버가 가능한 수준이다. == 실기 == 작업형 총 3시간 30분이며 기계요소설계작업(1시간 30분)과 PLC제어작업(2시간)으로 나뉜다. 두 과목 중 하나라도 응시하지 않거나 0점인 경우 실격되어 채점 대상에서 제외된다. PLC제어작업 채점이 세분화되어 테스트 동작, 단속동작, 연속동작과 부가조건 3개가 동작 사항으로 나가며 공정순서도를 활용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 기계요소설계작업 [* 22년 4회 기준 큰 변경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 지급된 도면을 보고 3차원 모델링 및 2D 도면 작업하여 출력하면 된다.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쉬운 난이도로 말이 CAD작업이지 사실상 따라그리기 수준에 가깝다. 한 번씩 투상이 까다롭거나 처음 보는 유형의 도면이 나와 당황할 수 있다. 심지어 수험자 본인의 상식선에서 최대한 정상적인 방법으로 작업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문제 도면이 잘못된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결과물이 시원찮을 때가 종종 있다. [* 사실 이런 경우는 실제로 꽤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주서에는 모따기가 명시돼 있는 반면, 도면상에는 육안상으로 누가 봐도 라운드 처리된 형상인 경우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당황하지 말고 문제 도면과 최대한 유사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 PLC제어작업 === 주어진 조건대로 동작이 되도록 컴퓨터로 PLC 프로그래밍을 하는 작업이다. 테스트동작, 단속동작, 연속동작, 부가조건1 2 3, 총 4가지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며, 작업순서는 테스트동작→단속동작→연속동작→부가조건1 2 3 순으로 해야 한다. 부가조건1 2 3은 기존의 응용동작②처럼 모두 정상 작동되어야 점수가 부여되는 것이 아닌 각 조건마다 점수가 부여된다.[*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의 반도체장비제어작업에서 부가조건과 동일하며 [[공유압기능사]]의 시스템 유지보수를 생각하면 된다.] (부분점수가 존재한다.) || '''기존''' || '''22년 4회부터''' || || 기본동작(변위단계선도) || 테스트동작(변위단계선도) || || 응용동작①(서술방식) || 단속동작, 연속동작[br](공정순서도) || || 응용동작② || 부가조건1 2 3 || 작업의 검사 방식은 각 동작이 프로그래밍될 때마다 감독관에게 검사를 받는다. 감독관이 보는 앞에서 프로그램을 운전하고 통과하면 다음 프로그래밍으로 넘어가는 방식이며 프로그램의 작성 방법은 한 파일에 모든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한다. ==== PLC제어작업 시스템 구성도 ==== * 서비스 유닛 * CYL1 공급실린더 * CYL2 가공실린더 * 가공모터 * CYL3 송출실린더 * 컨베이어 * 유도형센서 * 용량형센서 * CYL4 배출실린더 * 배출상자 * 저장상자 * 타워램프(적색, 황색, 녹색) == 우대현황 == 주로 각종 공기업 고졸공채에서 기계분야 필수 또는 가산 자격증으로 자주 쓰이나, 목록에 올라가는 빈도는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용접기능사 등의 자격증에 비해 밀리는 편. 그러나 [[기계직 공무원]], 한국조폐공사[* 특히 한국조폐공사의 기계•전자기술 지원 시에 가장 유용한 자격증 중 하나이다. 기존에는 이 자격증을 포함한 기계정비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등 대략 6개 정도의 자격증만 인정되었는데, 차후 [[전기기능사|전기]], [[설비보전기능사|설비보전]] 등 다양한 자격증이 인정되고 있어 굳이 생산자동화를 꼭 취득해야 하는 건 아니지만, 취득 난이도로는 가장 무난한 편이다.], 한국도로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보통 마이스터고 2학년 대상 채용 시에만 사용된다. 고졸공채 전형이 거의 사라지다시피 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는 전기와 기계에서 둘 다 인정한다.] 등 많은 기계직 공•특채에 널리 쓰인다.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대기업 특채에 지원할 때 인정받는 자격증이기도 하다. == 관련 문서 == * [[기능사]] * [[CAD]] * [[PLC]] [[분류:기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