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생방송 뭐든지 해결단]] [include(틀:평일 오후 6시 생방송 시리즈)] ||<-3>
{{{#white '''[[EBS 1TV|{{{#white EBS 1TV}}}]] 어린이 프로그램'''[br]{{{+2 '''생방송 뭐든지 해결단'''}}}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뭐든지 해결단 포스터.png|width=100%]]}}} || ||<-2> '''{{{#ffffff [[영상물 등급 제도|{{{#white 시청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000 '''7세 이상 시청가'''}}}]] || ||<-2> '''{{{#white 방송 시간}}}''' ||매주 월~금 오후 6:00~7:00 || ||<-2> '''{{{#white 방송 기간}}}''' ||[[2021년]] [[10월 4일]] ~ [[2023년]] [[2월 24일]][* [[그린조끼구조대]], [[최고다! 호기심딱지]]와 비슷한 시기에 함께 종영했다.] || ||<-2> '''{{{#white 방송 횟수}}}''' ||353부작 || ||<-2> '''{{{#white 채널}}}''' ||[[EBS 1TV]] || ||<|3> '''{{{#white 제[br]작[br]진}}}''' || '''{{{#white CP}}}''' ||이선희 || || '''{{{#white 연출}}}''' ||고영준, 김윤영, 김대현, 강민, 정경민 || || '''{{{#white 작가}}}''' ||김효진, 김지연, 유수진, 오가영, 박송담, 김영수, 문미솔, 김나래 || ||<|3> '''{{{#white 출[br]연[br]진}}}''' || '''{{{#white 진행}}}''' ||[[김재훈(방송인)|김재훈]], 채효진 || || '''{{{#white 출연}}}''' ||[[조래훈]], [[오마주(개그우먼)|오마주]], 이정규, 이시후, [[김서희]], 정우재 || || '''{{{#white 성우}}}''' ||[[김예령(성우)|김예령]] || ||<-2> '''{{{#white 링크}}}''' ||[[https://home.ebs.co.kr/solver/mai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ebs_anythingsolv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 '''친구들, 안녕!'''[br]- 방송 시작 후 인사말 > '''내일도 본.방.사.수! 점점 더 훈훈해질 후니와 상큼발랄 지니와 함께하는 생방송 뭐든지 해결단! 안녕!'''[br]- 방송 종료 전 인사말 전신인 [[생방송 방과후 듄듄]]의 후속편이자, 2021년 10월 4일 월요일부터 매주 월~금 오후 6시에 방영되는 [[EBS1]]의 생방송 어린이 예능 프로그램이다. 현재 모델 김재훈과 방송 연예인 채효진이 진행을 맡고, 듄듄의 보조 출연자들인 [[조래훈]], [[오마주(개그우먼)|오마주]], [[최고다! 호기심딱지]]와 [[역사놀이패 아리아리]]에서 조연으로 출연한 [[김서희]], 이시후, 개그맨이자 가수인 이정규, EBS 인터넷 강사들인 이선희, 김보미, 연극 배우 정우재, 음악인 도디가 보조 출연한다. 듄듄의 코너들이 이 프로그램으로 넘어왔다. === 역대 MC === ||<-4>
{{{+1 {{{#ffffff '''역대 남성 MC'''}}}}}} || || {{{#ffffff '''대수'''}}} || {{{#ffffff '''이름'''}}} || {{{#ffffff '''진행 기간'''}}} || {{{#ffffff '''회차'''}}} || ||<|2> 1대 ||<|2> 정엽[* 1년 10개월, [[생방송 방과후 듄듄]]도 포함] || 2021년 10월 4일 ~ 2022년 3월 18일 || 1회 ~ 112회 || || 2022년 3월 28일 ~ 2022년 8월 26일 || 118회 ~ 227회 || || 2대 || [[김재훈(방송인)|김재훈]] || 2022년 8월 29일 ~ 2023년 2월 24일 || 228회 ~ 353회 || ||<-4>
{{{+1 {{{#ffffff '''역대 여성 MC'''}}}}}} || || {{{#ffffff '''대수'''}}} || {{{#ffffff '''이름'''}}} || {{{#ffffff '''진행 기간'''}}} || {{{#ffffff '''회차'''}}} || ||<|2> 1대 ||<|2> 채효진 || 2021년 10월 4일 ~ 2022년 11월 2일 || 1회 ~ 273회 || || 2022년 11월 10일 ~ 2023년 2월 24일 || 279회 ~ 353회 || ||<-4>
{{{+1 {{{#ffffff '''임시 MC'''}}}}}} || || {{{#ffffff '''이름'''}}} || {{{#ffffff '''진행 기간'''}}} || {{{#ffffff '''진행 사유'''}}} || {{{#ffffff '''회차'''}}} || || [[최초룡(배우)|최초룡]] || 2022년 3월 21일 ~ 25일 || 정엽의 개인 사정 || 113회 ~ 117회 || || [[김나예]][* 전전작인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 종영 이후 약 1년 8개월 만에 출연] || 2022년 11월 4일 ~ 9일 || 채효진의 건강 사정 || 275회 ~ 278회 || === 역대 로고 === ||
[[파일:뭐든지 해결단 1세대 로고.png|width=65%]] || [[파일:뭐든지 해결단 2세대 로고.png|width=70%]] || || '''{{{#ffffff {{{+1 1세대 로고 {{{-2 (2021년 10월 4일 ~ 2022년 8월 28일)}}}}}}}}}''' [* 전작 프로그램인 [[생방송 방과후 듄듄]]의 로고와 거의 유사하다.] || '''{{{#ffffff {{{+1 2세대 로고 {{{-2 (2022년 8월 29일 ~ 2023년 2월 24일)}}}}}}}}}''' [* 2022년 가을 개편을 맞이해 새로운 로고에는 새로운 글꼴과 파란색 테마를 적용했다.] || === 역대 타이틀 오프닝 === >'''1세대 타이틀 오프닝: 2021년 10월 4일 ~ 2022년 8월 28일 '''[* 전작 프로그램인 [[생방송 방과후 듄듄]]의 타이틀 오프닝과 유사하다.] ||[youtube(qlU6tnZ06Do)]|| >'''2세대 타이틀 오프닝: 2022년 8월 29일 ~ 2023년 2월 24일 '''[* 새로운 메인 MC 김재훈이 합류한 이후 새로운 타이틀로 교체되었다.] ||[youtube(xos0bpPHMwE)]|| === 역대 오프닝 노래 === > '''우리가 누구? 엽이랑 지니 뭐뭐뭐 뭐든지 해결단 궁금한 건 물어봐! 답답할 땐 찾아와! 엽이에게 물어봐~ 지니가 알려줄게! 궁금해~ 알려줘! 뭐든지 해결단 궁금해~ 알려줘! 뭐든지 해결단 '''[br]사용 기간: 2022년 3월 28일 ~ 2022년 08월 28일 > '''우리가 누구? 후니랑 지니 뭐뭐뭐 뭐든지 해결단 궁금한 건 물어봐! 답답할 땐 찾아와! 후니에게 물어봐~ 지니가 알려줄게! 궁금해~ 알려줘! 뭐든지 해결단 궁금해~ 알려줘! 뭐든지 해결단 '''[br]사용 기간: 2022년 8월 29일 ~ 2023년 2월 24일[* 새로운 메인 남성 MC인 김재훈이 합류한 이후 이름의 맨 끝 따서 후니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 역대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생방송 뭐든지 해결단 포스터.jpg|width=150%]]}}} || || {{{#ffffff '''1세대 포스터: 2021.10.04 ~ 2022.08.28'''[* 정엽, 이효진 체제]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뭐든지 해결단 포스터.png|width=150%]]}}} || || {{{#ffffff '''2세대 포스터: 2022.08.29 ~ 2023년 2월 24일'''[* 김재훈, 채효진 체제]}}} || === 역대 코너 === > '''1세대 (2021년 10월 4일 ~ 2022년 8월 28일)''' [[파일:뭐든지해결단 코너소개.jpg]] || 출처: EBS - 생방송 뭐든지 해결단 공식 홈페이지 || > '''2세대 (2022년 8월 29일 ~ 2023년 2월 24일)''' [[파일:뭐든지 해결단 2022 - 코너.jpg]] || 출처: EBS - 생방송 뭐든지 해결단 공식홈페이지 || == 코너 소개 == === 월요일 === * '''오늘의 출석 체크''' * '''알쏭달쏭 진실의 O,X''' * '''[[한자로 통하는 삼국지]]''' * '''로빈후드''' * '''돌리Go! 선물받고! 뭐든지 자랑해''' === 화요일 === * '''오늘의 출석 체크''' * '''이야기 숲의 비밀''' * '''[[한자로 통하는 삼국지]]''' * '''로빈후드''' * '''돌리GO! 선물받고! 뭐든지 자랑해''' === 수요일 === * '''오늘의 출석 체크''' * '''마이스쿨 다이어리''' * '''고고다이노 우리동네공룡''' * '''[[우당탕탕 은하안전단]]''' * '''[[이얍! 스페이스 정글]]''' * '''돌리Go! 선물받고! 뭐든지 자랑해''' === 목요일 === * '''오늘의 출석 체크''' * '''별별 우주 탐정단''' * '''[[우당탕탕 은하안전단]]''' * '''허풍선이 음악쇼''' * '''[[우리는 비트몬스터]]''' * '''돌리GO! 선물받고! 뭐든지 자랑해''' === 금요일 === * '''오늘의 출석 체크''' * '''황금오락관''' * '''뭐든지 플레이''' * '''[[이얍! 스페이스 정글]]''' * '''돌리Go! 선물받고! 뭐든지 자랑해''' === 종영된 애니 === * '''[[허풍선이 과학쇼]]''' * '''올리 앤 문''' * '''[[마샤와 곰]]''' * '''[[티시태시]]''' * '''[[세미와 매직큐브]]''' * '''[[블루이]]''' * '''[[플라워링 하트]]''' * '''엉뚱남매 요리조리쇼''' * '''[[최강전사 미니특공대]]''' * '''동그리섬의 버네사''' * '''[[강철소방대 파이어로보]]''' * '''[[소피루비]]''' * '''[[시간을 달리는 세계사]]''' * '''세계의 비밀 수호대 번개맨''' * '''[[몰랑이]]''' * '''[[최고다! 호기심딱지]]''' * '''[[번개맨과 안전맨]]''' == 출연자 소개 == [[파일:생방송 뭐든지 해결단 2022 출연자.jpg]] || 출처: EBS - 생방송 뭐든지 해결단 홈페이지 || == [[생방송 뭐든지 해결단/방송 역사|방송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생방송 뭐든지 해결단/방송 역사)] == 결방 안내 == 2022년 1월 26일: 방송사 내부 사정으로 인한 결방. [[https://home.ebs.co.kr/solver/board/5/30000001511/view/30000074390?hmpMnuId=101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022년 1월 27일 ~ 2월 4일: 제작팀 사정으로 인한 결방. [[https://home.ebs.co.kr/solver/board/5/30000001511/view/30000074593?c.page=1&startPage=0&hmpMnuId=101&sortType=&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Value=0&sortTypeValue=0&searchKeywordValue=0&searchKeyword=&bbsId=30000001511&#none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022년 9월 9일,12일: 추석 연휴로 인한 결방. 2023년 1월 23일 ~ 1월 24일: 설날 연휴로 인한 결방. == 여담 == * 전신 프로그램인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에서 2011년 [[재성]], [[주아름]]이 당시 MC로 데뷔했을 때가 10대였는데, 지난 2021년 이후 [[생방송 방과후 듄듄]]부터 약 10년 만에 20대 MC들로 환원되었다. * 생방송 뭐든지 해결단이 종영하면서 EBS의 모든 어린이 생방송 프로그램들[*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 [[생방송 방과후 듄듄]], [[생방송 판다다]], [[생방송 우리집 유치원]].]은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죄다 생방송이 아닌 프로그램으로 대체되었다.[* 참고로 뭐든지 해결단 종영 당시 새로운 생방송 프로그램이 나올 것이라고 수많은 팬들이 예상했으나, 결국 [[뿡뿡빵빵 부부맨]]으로 확정이 났다.] 남아있는 어린이 대표 실사 프로그램은 [[모여라 딩동댕]]과 [[딩동댕 유치원]] 이렇게 두 작품 뿐이다.[* 여담으로, [[NHK 교육 텔레비전]]의 어린이 실사 프로그램은 일일이 언급하기 벅찰 정도인데다 그 중 일부는 일본 내에서 성인 마니아층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에 비해 EBS의 어린이 실사 프로그램은 재정 문제 등에 발목 잡힌 터라 양적이나 질적이나 매우 초라하기 그지없다. 그나마 2023년 8월에 [[딩동댕 유치원]]에 자폐아 캐릭터 '별이'를 투입하여 화제를 모으고 있는 상황이다.] 사실상 EBS 생방송 프로그램의 계보는 완전하게 마무리된 듯 하다.[* 아무래도 한국의 어린이 생방송 프로그램은 이제 여러 대중매체들의 발달로 사실상 쇠퇴한 탓이 큰 것으로 보인다. 또한 종영 당시 관련 커뮤니티, 홈페아지에서 많이 언급되었던 보니하니조차 시청률과 화제성이 많이 낮아진 상태였고, 다른 유아 프로그램들도 대중매체의 발달로 대중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상황이다. 반면 일본에서는 '천재 테레비 군([[NHK E]])'과 '오하스타([[테레비 도쿄]])'등의 어린이 생방송 프로그램이 여전히 방영되면서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일본의 문화적 특수성과 일본 특유의 주거/교육환경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